|
출처: 사단법인)한국전례원 원문보기 글쓴이: 根熙 김창호
중국의 역사 v • d • e
| |||||||
---|---|---|---|---|---|---|---|
신화와 고대 | |||||||
선사 시대 | |||||||
신화·삼황오제 | |||||||
하 기원전2000? – 기원전1600? | |||||||
상 기원전1600? – 기원전1046 | |||||||
주 기원전1122 – 기원전256 | |||||||
서주 | |||||||
동주 | |||||||
춘추 시대 | |||||||
전국 시대 | |||||||
제국의 시대 | |||||||
진 기원전221 – 기원전206 | |||||||
한 기원전206 – 서기220 | |||||||
전한 | |||||||
신 8 – 23 | |||||||
후한 | |||||||
삼국 시대 220–280 | |||||||
위, 촉, 오 | |||||||
진 265 – 420 | |||||||
서진 | |||||||
동진 |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 | ||||||
남북조 시대 420 – 589 | |||||||
수 581 – 618 | |||||||
당 618 – 907 무주 690 – 705 | |||||||
오대십국 시대 907 – 960 |
요 916 – 1125 | ||||||
송 960 – 1279 |
|||||||
북송 | 서하 1038 – 1227 | ||||||
남송 | 금 1115 – 1234 |
||||||
원 1271 – 1368 | |||||||
명 1368 – 1644 | |||||||
청 1644 – 1912 | |||||||
현대의 중국 | |||||||
중화민국 1911 – 현재 | |||||||
중화인민공화국 1949 – 현재 |
원나라(元 ; 중국 대륙에 있던 국가로서는 1271년~1368년, 유목국가로는 1271년~1635년)는 일반적으로 중국이 몽골의 지배를 받은 시기를 말한다. 몽골족의 정복 왕조 원나라는 중국과 몽골 고원을 중심으로한 영역을 지배하다가 명나라를 건국하는 주원장에 의해 북쪽으로 쫓겨난 뒤 ("북원"), 유목민 국가로 1635년까지 존속한 몽골인 왕조로서, 몽골 제국의 대칸 직할 세습령이었다. 정식 국호는 대원(大元)이었다.
원나라는 송나라 를 멸망시킨 이민족의 정복 국가이며, 중국을 식민 지배하였다. 이후 명나라에게 중국의 지배권을 물려주게 된다. 원나라는 중국을 지배했으되 한족화 되지는 않았으며, 지배층뿐 아니라, 제도 및 문화에서도 기존 몽골 제국의 유목 국가적인 특성을 유지했다. 그 때문에 원나라라는 호칭 대신 유목민의 나라를 가리키는 울루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대원 울루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에게 있어 이 시기는 몽골인에게 식민 지배를 당한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중국인의 인구가 급감하였으며, 극심한 민족 차별 정책으로, 중국인들은 하층 민족으로 구분되어서 노예와 같은 생활을 했다. 그로 인해 중국식 성명을 사용하지 못하고 몽골식 성명으로 이름을 바꿔야 했다.
역사
원나라는 1260년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으로 즉위한 쿠빌라이가 1271년 몽골 제국의 국호를 '대원'으로 고침으로써 성립되었으며, 몽골어로는 다이온 이케 몽골 울루스(Dai-ön Yeke Mongγol Ulus), 즉 '대원대몽고국'(大元大蒙古國)이다. 원나라는 유목 국가인 몽골 제국의 직계 국가다. 그러면서도 중국화된 명칭과 제도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쿠빌라이가 대칸의 지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쿠빌라이의 몽골 제국 전체에 대한 통솔력은 쇠퇴한다. 원나라가 성립된 전후에 중앙아시아에서는 오고타이의 후손인 하이두가 쿠빌라이에 대항하여 자립하는 등 칸의 권위가 크게 변화하면서 몽골 제국은 재편의 과정에 들어선다. 이러한 과정 끝에 원나라는 몽골 제국 중 쿠빌라이의 후계자로 이어지는 대칸의 직접 지배가 미치는 영역으로 사실상 한정된 지배력을 행사하는 쿠빌라이 가문의 세습령(울루스)이 되었다.
1259년 제4대 대칸인 몽케가 남송 원정 중에 병사하고, 몽골고원에 있던 수도 카라코람을 수비하던 막냇동생 아리크 부케는 몽케파의 왕족을 모아 쿠릴타이를 열어 서부의 차가타이 가문 등 여러 왕가의 지지를 얻어 대칸의 지위를 얻었다. 이에 몽케와 함께 남송 원정 중이던 둘째동생 쿠빌라이는 윤11월에 군대를 되돌려 내몽골에 들어서 동쪽 3왕가(칭기즈칸의 동생 가계)등의 지지를 얻은 다음, 이듬해 3월에 자신의 본거지였던 내몽골의 개평부(開平府;훗날의 상도(上都)에서 쿠릴타이를 열어 대칸의 지위에 앉았다. 이로써 몽골 제국은 사상 처음으로 몽골고원 남북에 두 명의 대칸이 들어서게 된다. 몽케의 장례를 치르고, 제도(帝都) 카라코람에서 즉위한 아리크 부케가 대칸으로서의 정통성은 확보한 셈이었으나, 군사력을 장악한 쿠빌라이 역시 아리크 부케를 배신자로 여기고 자신이야말로 정당한 대칸이라고 주장했다.
쿠빌라이와 아리크 부케의 양군은 여러 차례 격돌하였으나 승패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군사력과 화북의 물자를 장악한 쿠빌라이에게 전세가 유리해지기 시작했다. 서전인 1261년 시무토노르 전투에서는 쿠빌라이가 승리했으나, 아리크부케는 북서쪽 몽골의 오이라트의 지원을 얻어 저항을 계속했다. 그러나 아리크 부케 산하의 제후들이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가고, 차가타이 가문마저 아리크 부케에 대한 지원을 끊자, 1264년 아리크부케는 결국 쿠빌라이에게 항복했다. 이 일련의 전란을 승리자 쿠빌라이를 정통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아리크부케의 난이라고 불렀다.
아리크부케의 항복으로 인해 대칸의 지위는 다시 통합되었으나, 중국 서쪽의 중앙아시아의 여러 칸국에서의 대칸의 위신은 큰 타격을 입었다. 1269년 중앙아시아를 지배하던 차가타이 가문의 바라크와 오고타이 가문의 하이두, 그리고 주치 가문(킵차크 칸국 혹은 금장한국(Golden Horde))의 여러 왕이 탈라스 하반에서 모여 중앙아시아의 대칸령을 분할해 쿠빌라이에 대항해 자립의 태도를 명확히 했다. 이윽고 오고타이 가문의 하이두가 중앙아시아 여러 왕 사이에서 맹주의 지위를 확립하고, 하이두의 반항은 몽골 제국을 동서로 나뉘게 된 항쟁으로 발전하게 된다.(하이두의 난)
그 사이 쿠빌라이는 중국식 정치기관인 중서성(中書省)을 설치하고, 수도를 몽골 고원의 카라코람에서 중국 북부의 대도(大都; 현재의 베이징)로 옮겼다. 지방에는 몽골 제국의 금나라 공략의 과정에서 자립해 몽골에 귀의하여 화북 각지에서 호족 노릇을 하던 한족 현지군벌(한인세후)과 몽골인 귀족, 중앙정부와의 지배관계를 정리하고, 각 교통로에 총관부(고려의 쌍성총관부 등)를 설치하는 등 중국지배에 적합한 갖가지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271년, 국호를 대원이라고 하고 기존의 중국 통일 왕조의 맥을 잇게 된다. 이로써 칭기즈 칸이 세운 거대한 몽골 제국은, 서부의 여러 칸국들과 중국의 대칸령 사이의 느슨한 연합으로 재편되었다.
원나라 건국 당시 쿠빌라이의 세력은 몽골 고원과 기존 금나라가 점유하던 화북 지역에 불과했다. 장강 이남에 버티고 있던 남송은 뛰어난 경제력을 갖춘 것은 물론, 금나라 멸망 과정에서도 볼 수 있듯, 충분히 원나라를 위협할 만한 군사력도 갖춘 터라, 그대로 유지시켰을 경우 원나라의 지배가 불안해 지는 것은 당연했다. 이미 몽케 칸의 대에, 남송의 재상인 가사도에게 패퇴한 경험도 있었다. 그래서 쿠빌라이는 즉위 직후 남송공략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았으며, 1268년 한수의 요충 양양의 포위전을 개시했다.
쿠빌라이는 황후 차브이를 섬기는 인물로서 중앙아시아 출신의 상인 아흐마드를 재무장관에 발탁하여 증세를 꾀해 남송 공략의 준비를 진행시키는 한편, 이어서 복속한 고려를 통해 남송과 통상관계를 맺고 있었던 일본에도 몽골에 대한 복속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의 가마쿠라 막부는 이를 거부했고, 쿠빌라이는 남송과 일본이 연합하여 원나라에 대항하는 것을 막기 위해 1274년 원나라와 고려의 연합군을 편성하여 일본으로 보냈으나, 쓰시마 섬, 이키노시마, 규슈의 다자이후 주변을 석권하는 것만으로 끝났다. 일본원정은 실패로 끝났으나, 그 준비를 통해 원정 준비를 위해 설치한 출선기관인 정동행성과 고려 정부가 일체화되어, 새로 속국이 된 고려는 원나라 조정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1273년에 이르러 양양이 마침내 함락되고, 남송의 방위력은 붕괴되었다. 원나라는 병사가 각 성과 도시에서 약탈, 폭행을 저지르는 것을 엄중히 금지시키는 것과 더불어 항복한 적의 장군을 좋은 대우를 해주는 등 남송의 투항군을 아군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각지의 도시는 차례로 원나라에게 항복했다. 1274년 옛 남송의 투항군을 합친 대병력으로 공세에 나서자 방위 시스템의 붕괴된 남송은 이렇다 할 저항다운 저항도 하지 못하고, 1276년 수도 임안(臨安;항주)이 무혈 함락되었다.
공제를 비롯한 남송의 황족은 북쪽으로 연행되었으나, 정중한 대우를 받았다. 그 후 해상으로 도망친 남송의 유민을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전멸시켜 북송 이후 150년 만에 중국을 통일하였다. 쿠빌라이는 풍부한 옛 남송 지역의 부(富)를 대도로 모이게 하여 그 이윤을 국가에 흡수하였고, 각종 경제제도 정비를 통해, 화북을 중심으로 했던 정권으로서는 유례없는 번영을 맞이했다.
그러나 그 후 이루어진 군사원정은 특별한 성과 없이 끝났다. 1281년 다시 일본에 군대를 보냈으나 이번에도 실패로 끝났고(일명 가미카제의 도움), 1285년과 1288년에는 베트남에 침공한 군이 쩐 왕조에게 차례로 패배했다. 그 이전에는 1276년 중앙아시아에서 하이두와 대치하던 원나라 군대에서 몽케의 아들 시리기가 반란을 일으켜 하이두의 세력 확대를 허용시켰다.
그런데도 쿠빌라이는 3번째 일본원정을 계획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원정을 추진했으나, 1287년 즉위 때 지지모체였던 동쪽 3왕가가 나얀을 지도자로 삼아 반기를 들었고, 또한 중국 내에서도 반란이 빈발했기 때문에 만년의 쿠빌라이는 이에 대응하는데 시간을 보내 일본원정도 포기했다. 또 1292년 참파원정을 시도했으나 이것도 실패로 끝났다. 무엇보다도 동남아시아에 대한 원정은 상업로의 개척에 뜻을 둔 경우가 강해, 최종적으로는 해상루트의 안전이 확보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성공이라 말할 수 있었다.
쿠빌라이의 사후, 1294년 손자 테무르가 뒤를 이었고, 그의 치세 때인 1301년 하이두가 죽자, 1304년 긴 시간 동안 원나라와 항쟁을 벌였던 서쪽 여러 칸과의 화의가 성립되었다. 이 동서 울루스의 융화로 인해 몽골 제국은 대칸을 정점으로 한 느슨한 연합으로 다시 묶어지는 동시에, 실크로드 교역의 호황이 찾아왔다. 이 상황을 가리켜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 : 몽골의 평화)라고 불리었다.
원나라의 수도 대도는 전 몽골 제국의 정치 경제의 센터가 되어, 마르코 폴로 등 수많은 서방의 여행자가 방문하고, 그 번영은 유럽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강남의 항만도시에서는 해상무역이 융성하였고, 일본 원정을 통해 국교가 단절되었던 일본에서도 사적인 무역선 및 유학승의 방문이 끊이지 않아 어느 정도 교류가 지속되었다.
1307년 테무르가 후계자를 남기지 않고 죽자, 몽골 제국에서 되풀이 되던 후계자 쟁탈전이 다시 재연되어 황제의 자리를 둘러싸고 모후, 외척, 권신등 몽골 귀족끼리의 격렬한 권력다툼이 되풀이 되었다.
또 권력다툼의 중심이 된 이들은 칭기즈칸의 황후 보르테, 쿠빌라이의 황후 차브이, 테무르의 모친 코코진등의 출신부족에서 쿠빌라이, 테무르의 2대에 걸쳐 외척으로 권세를 누렸던 옹기라트부를 중심으로 결속된 원나라의 궁정귀족들이었다. 테무르의 황후 브르간은 옹기라트부의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귀족의 힘을 억누르기 위해 테무르의 종제였던 안서왕 아난다를 황제로 맞이했으나, 방계 즉위에 의해 기득권을 위협받는 것을 두려워한 중신들은 쿠데타를 일으켜 브르간과 아난다를 살해하고, 몽골고원의 방위를 담당하던 테무르의 조카 카이산을 황제로 맞이했다.
카이산의 사후는 동생 아유르바르와다가 제위를 이었으나, 그의 치세는 대대로 옹기라트씨 출신의 황후에게 상속된 막대한 재산의 상속자였던 곤기라트부 출신의 아유르바르와다의 어머니 다기 카톤이 궁정내의 권력을 장악하여 칸의 명령보다도 모후의 명령이 더 권위를 가질 정도라고 이야기 되었다. 그 때문에 비교적 안정된 아유르바르와다의 치세가 1320년에 끝나고, 1322년에 다기가 죽자 다시 정쟁이 재연되었다. 다음해 1323년 아유르바르와다의 뒤를 계승한 시데바라가 살해당한 것을 계기로 아유르바르와다가 죽은 뒤부터 1333년 토곤 테무르가 즉위할 때까지 13년간 7명의 황제가 차례로 교대하는 이상사태가 발생했다.
겨우 제위가 안정된 것은 다수의 황족이 황위를 둘러싼 항쟁에 의해 쓰러진 끝에, 광서에서 추방생활을 보내던 토곤 테무르의 즉위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토곤 테무르는 이 시기 권력을 장악하던 킵차크 친위군 사령관 에르 테무르에게 묶여있어, 에르 테무르가 병사할 때까지 정식으로 즉위할 수 없었다. 거기에 에르 테무르의 사후에는 아스트 친위군 사령관인 바얀이 에르 테무르의 유아를 살해하고 황제를 능가하는 권력을 장악했고, 1340년에는 바얀의 조카 토구다가 백부를 쿠데타로 살해하고 그 권력을 빼앗는 등, 원나라의 궁정은 거의 군벌의 내부항쟁에 의해 움직이고 있었다. 거기에 성인이 된 칸도 권력을 둘러싼 대립이 더해져 1347년부터 1349년까지 토구다가 추방당하는 등 중앙정국의 혼란은 계속되었다.
이 정치혼란 속에서 어느덧 유럽에 유행하던 페스트와 비슷한 것으로 보이던 전염병이 중국에 유행하였고, 차례로 천재지변이 농촌을 황폐화 시켰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권력다툼에 마음을 빼앗긴 권력자들은 이에 대한 유효한 대책을 충분히 실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내는 급속히 황폐화되고, 원나라의 차별정책 아래 놓였던 옛 남송인의 불만과 상업중시의 원나라의 정책이 만들어낸 경제착취에 괴로워하던 농민의 궁핍 등이 원인이 되어 지방에서는 급속히 불온한 움직임이 높아져만 갔다.
원나라는 자국인 제일주의라는 이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몽골인→색목인→화북인→남송인(계급순) 의 순서로 구성된 신분 제도를 실시했는데, 이때 중국인들은 3~4등급의 피지배층으로 분류되 노예 생활을 하였다. 10 가구의 중국인당 한명의 몽골 병사의 시중을 들어야 했으며, 몽골족은 이들의 반란이 두려워서, 10 가구에 오직 하나의 부엌칼만 가질 수 있게 하는등 민족 차별 정책이 극심했다. [1] 또한 새로 결혼하는 한족 여성의 초야권(여자노예가 결혼할 경우 영주가 먼저 여자와 동침하는 권리)은 몽골 병사의 몫이었는데, 이 때 90여년에 걸친 식민 지배 동안 한족 여성이 몽골 병사에게 처녀성을 바친 때문에, 한족의 유전자가 몽골족으로 상당히 대체되었다고도 한다. [2] 몽골에서는 라마승에게 처녀성을 바친 다음에라야 다른 남자와 혼인을 할 수 있는 습속이 있었는데, 몽골에게 직접 지배당한 중국 대륙에 거주했던 사람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고 보인다.[3]
1348년 절강의 방국진이 해상에서 반란을 일으킨 것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차례로 반란이 일어나, 1351년에는 가노에 의해 황하의 개수공사를 시키던 백련교도인 홍건당이 봉기했다. 1354년 대규모 토벌군을 이끈 토구다가 그가 강대한 군사력을 가지는 것을 두려워한 토곤 테무르에 의해 경질되어 살해당하자, 이것을 칸의 권력회복과 맞바꾸어 군벌에게 의지하던 원나라의 군사력을 크게 약화시키게 되었다. 이때 홍건당에서 두각을 나타낸 주원장이 기타 반란자들을 차례로 쓰러뜨리고 화남을 통일해 1368년 난징에서 황제로 즉위하여 명나라를 건국하였다.
주원장은 즉위하는 동시에 대규모의 북벌을 개시하여 원나라의 수도 대도에 육박했다. 여기까지 이르자 몽골인들 은 더 이상 중국을 지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간파하고, 1368년 토곤 테무르는 대도를 버리고 북쪽의 몽골고원으로 물러났다. 일반적인 중국사의 서술에서는 토곤 테무르의 북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원 왕조는 끝난 것으로 보았으나, 토곤 테무르의 대칸정권은 이후에도 몽골고원에서 존속하였다. 거기에 왕조의 연속성을 보더라도 원 왕조는 1368년을 기점으로 멸망이라고 말할 수 없었고, 이 이후의 원 왕조는 북원이라 부르면서 이때까지의 원나라와 구별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허나, 토곤 테무르의 두 아들이었던 아유르시리다라와 토구스 테무르가 차례로 황제의 지위를 이었고, 명나라는 당연히 이 즉위를 인정하지 않고, 별칭을 이용하였다. 1388년 토구스 테무르가 살해당하자 쿠빌라이 이래의 직계왕통은 단절되었다.
다만 이 과정을 단순히 한족의 승리, 몽골민족의 패주라는 관점으로 볼 것인가는 문제가 있다. 즉 화북에서는 먼저 황하의 개수 등에 의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로 인해 원나라의 구심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졌던 시기가 있었다. 주원장이 아직 화남평정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던 것도 배경이 되었다. 또한 한족의 관리 중에는 앞에서 나온 가노를 시작으로 원 왕조에 충성을 다하여 명나라군 과 반란세력과 싸우다 전사한 이들도 많았고, 1367년 명나라군 에게 붙잡힌 호부상서 장욱은 주원장의 항복권고에 대해 “몸은 강남에 있어도, 마음은 삭북을 생각하고 있다”라는 유서를 남기고 처형장으로 향했다고 한다. 청나라의 역사학자 조익은 원나라에 순사한 한족의 관리의 숫자는 격렬한 저항이 있었던 남송 다음으로 많았다고 지적하였다.
북원에서는 1388년 토구스 테무르의 자손이 끊어지면서 쿠빌라이 가문의 대칸세습이 끝나고, 쿠빌라이 가문 정권인 원나라는 단절되었다.
원나라의 정치제도, 경제, 재정제도는 몽골 제국 특유의 제도가 이어져 유지되었기 때문에 중국을 식민 지배한 다른 이민족의 역사와 비추어보더라도 상당히 특이한 것이었다.
대수 | 묘호 | 시호 | 성명 | 연호 | 재위기간 |
---|---|---|---|---|---|
제1대 | 원 태조 (元太祖) |
법천계운성무황제 (法天啓運聖武皇帝) (성길사한<成吉思汗, 칭기즈 칸>) |
패아지근철목진 (孛兒只斤鐵木眞) (테무진) |
- | 1206년 ~ 1227년 |
- | 원 목종 (元穆宗) (원 세조 추숭) |
도녕황제 (道寧皇帝) |
패아지근출적 (孛兒只斤朮赤) (쥬치) |
- | - |
- | 원 성종 (元聖宗) (원 세조 추숭) |
충무황제 (忠武皇帝) |
패아지근찰합태 (孛兒只斤察合台) (차가다이) |
- | - |
임시 | 원 예종 (元睿宗) (원 세조 추숭) |
경양황제 (景襄皇帝) |
패아지근타뢰 (孛兒只斤拖雷) (톨루이) |
- | 1227년 ~ 1229년 |
제2대 | 원 태종 (元太宗) |
영문황제 (英文皇帝) |
패아지근와할대 (孛兒只斤窩闊臺) (우구데이) |
- | 1229년 ~ 1241년 |
제3대 | 원 정종 (元定宗) |
간평황제 (簡平皇帝) |
패아지근귀유 (孛兒只斤貴由) (구유크) |
- | 1241년 ~ 1248년 |
제4대 | 원 헌종 (元憲宗) |
환숙황제 (桓肅皇帝) |
패아지근몽가 (孛兒只斤蒙哥) (몽케) |
- | 1248년 ~ 1259년 |
제5대 | 원 세조 (元世祖) |
성덕신공문무황제 (聖德神功文武皇帝) |
패아지근홀필렬 (孛兒只斤忽必烈) (쿠빌라이) |
중통(中統) 1260년 ~ 1264년 지원(至元) 1264년 ~ 1271년 |
1260년 ~ 1271년 |
대수 | 묘호 | 시호 | 성명 | 연호 | 재위기간 |
---|---|---|---|---|---|
제1대 | 원 세조 (元世祖) |
성덕신공문무황제 (聖德神功文武皇帝) |
패아지근홀필렬 (孛兒只斤忽必烈) (쿠빌라이) |
지원(至元) 1271년 ~ 1294년 | 1271년 ~ 1294년 |
- | 원 유종 (元裕宗) (원 성종 추숭) |
문혜명효황제 (文惠明孝皇帝) |
패아지근진금 (孛兒只斤眞金) (징김) |
- | - |
제2대 | 원 성종 (元成宗) |
흠명광효황제 (欽明光孝皇帝) |
패아지근철목이 (孛兒只斤鐵穆耳) (테무르) |
원정(元貞) 1295년 ~ 1297년 대덕(大德) 1297년 ~ 1307년 |
1294년 ~ 1307년 |
- | 원 순종 (元順宗) (원 무종 추숭) |
소성연효황제 (昭聖衍孝皇帝) |
패아지근답랄마팔랄 (孛兒只斤答剌麻八剌) (다르마바라) |
- | - |
제3대 | 원 무종 (元武宗) |
인혜선효황제 (仁惠宣孝皇帝) |
패아지근해산 (孛兒只斤海山) (카이산) |
지대(至大) 1308년 ~ 1311년 | 1307년 ~ 1311년 |
제4대 | 원 인종 (元仁宗) |
성문흠효황제 (聖文欽孝皇帝) |
패아지근애육려발력팔달 (孛兒只斤愛育黎拔力八達) (아유르바르와다) |
황경(皇慶) 1312년 ~ 1313년 연우(延祐) 1314년 ~ 1320년 |
1311년 ~ 1320년 |
제5대 | 원 영종 (元英宗) |
예성문효황제 (睿聖文孝皇帝) |
패아지근석덕팔랄 (孛兒只斤碩德八剌) (시디발라) |
지치(至治) 1321년 ~ 1323년 | 1320년 ~ 1323년 |
- | 원 현종 (元顯宗) (원 진종 추숭) |
광성인효황제 (光聖仁孝皇帝) |
패아지근감마랄 (孛兒只斤甘麻剌) (카말라) |
- | - |
제6대 | 원 진종 (元晉宗) |
치효황제 (致孝皇帝) (진왕<晉王>) |
패아지근야손철목아 (孛兒只斤也孫鐵木兒) (예순테무르) |
태정(泰定) 1324년 ~ 1328년 치화(致和) 1328년 |
1323년 ~ 1328년 |
제7대 | - | 덕효황제 (德孝皇帝) (폐황제<廢皇帝>, 유주<幼主>) |
패아지근아속길팔 (孛兒只斤阿速吉八) (라기바흐) |
천순(天順) 1328년 | 1328년 |
제8대 | 원 문종 (元文宗) |
성명원효황제 (聖明元孝皇帝) |
패아지근도첩목이 (孛兒只斤圖帖睦爾) (투그테무르) |
천력(天曆) 1328년 ~ 1329년 | 1328년 ~ 1329년 |
제9대 | 원 명종 (元明宗) |
익헌경효황제 (翼獻景孝皇帝) |
패아지근화세랄 (孛兒只斤和世剌) (쿠살라) |
천력(天曆) 1329년 | 1329년 |
제8대 (복위) |
원 문종 (元文宗) |
성명원효황제 (聖明元孝皇帝) |
패아지근도첩목이 (孛兒只斤圖帖睦爾) (투그테무르) |
지순(至順) 1330년 ~ 1332년 | 1330년 ~ 1332년 |
제10대 | 원 영종 (元寧宗) |
충성사효황제 (沖聖嗣孝皇帝) |
패아지근의린질반 (孛兒只斤懿璘質班) (린칠반) |
지순(至順) 1333년 | 1332년 ~ 1333년 |
제11대 | 원 혜종 (元惠宗) |
선인보효황제 (宣仁普孝皇帝) (순황제<順皇帝>) |
패아지근타환첩목이 (孛兒只斤妥懽帖睦爾) (토곤테무르) |
지순(至順) 1333년 원통(元統) 1333년 ~ 1335년 지원(至元) 1335년 ~ 1340년 지정(至正) 1341년 ~ 1368년 |
1333년 ~ 1368년 |
몽골제국의 칸국 |
---|
원 · 차가타이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킵차크 칸국 · 일 칸국 |
v • d • e | ||||||
---|---|---|---|---|---|---|
정치, 조직과 생활 | 군대와 침략 | 사람 | 용어 | |||
주요 도시 |
조직과 체계 군사 행동
|
주요 장군 |
작위와 직책 정치와 군사 용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