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2일 목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매우 오래 진행되었지요? 8시가 넘어가면서 육체적인 한계로 심사가 더 이상 어렵다고 주장하는 일부 위원들의 요구는 묵살되고 다수결로 회의가 11시까지 진행되는 기현상이 벌어졌습니다. 결정이 난 것이 없고 표결에 들어간 것도 아닌데, 갈 때까지 끝까지 가보자는 위원들의 주장은 무슨 마음, 무슨 의도인 것인지 의아했습니다. 겉으로는 그랬습니다. 다수 의원이 그리 하자는데 위원장이 어떻게 하냐고요.
표결까지 가자는 위원도 있었습니다. 같은 얘기가 반복된다, 더 이상 들을 얘기가 있겠냐, 질문이 있다니 오늘 다 해라, 한 두 사람이 계속 이해를 못하고 질문을 해 대면 그 사람 때문에 결정을 못하고 회의를 거듭하면서 질질 끌어야 하냐면서, 질문하고자 하고 뭐가 급하냐고 의견을 내 놓는 위원들을 압박했습니다. 김익중 위원의 질문 아홉 가지 가운데 세 가지 질의와 응답을 끝으로 11시에 회의가 끝났습니다. 결정은 보류되었고요. 장장 13시간 마라톤 회의였습니다.
2.
인원
보도에도 지난 달보다 20명이 더 많은 인원이 회의에 참여했다고 했는데요, 과연 그랬습니다. 조석 한수원 사장과 본부장이 보고를 위해 참석했는데 방청석에도 한수원 관계자들이 있었어요. 의견이 서로 다른 원자력안전위원회 전문위원들과(장순흥 이진한 외) 민감검증단(김현민 김성욱 외)이 또 열 명이 넘게 참여를 했고요, 오후에는 의견이 달랐던 전문가 토론회를 주장했던 서균렬 교수와 원자력 안전과 미래가 참여했습니다. 방청석에는 동경주 주민, 정당 관계자, 그린피스 국내외 관계자, 한수원과 경주시청 관계자, 기타 시민 몇 분이 참석해서 방청석엔 전처럼 테이블도 놓지 못할 지경이었습니다. 방청자가 많아 추첨을 하겠다더니, 전날 국회의원에게 비판을 받고는 다시 바꾼 건지, 아니면 정말 추첨결과인지는 모르겠는데요, 방청자가 꽤 많았습니다. 그만큼 월성1호기 수명연장심사가 초미의 관심사였다는 반증이기도 하고 논쟁이 격렬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전과 달리 회의 직전 언론에서도 꽤 많이 와서 온통 카메라 천지였어요.
3.
진행 과정
우선 한수원 조석 사장이 보고했습니다. 뒤이어 본부장이 보고 했고요. 그리고 나서는 위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캐나다와 비교되는 한수원의 자료비공개 문제, 불투명성을 집중 비판했습니다. 캐나다는 원전 내 직원들이 미끄러진 것까지 사고로 집계해서 정직하게 보고하는 데 우리는 그렇지도 못하고 자료도 전문가들이 검토하는 정보의 보고서를 일반 시민들이 볼 수 있게 다 공개를 하는데 우리는 국회의원이 요구해도 볼 수가 없을 정도라는거죠. 영업비밀이다 라면서요. 그런데 한 위원의 얘기가, 사업자가 자기 영업비밀을 숨기겠다는 건 이익에 관련된 것인데 어떻게 막냐, 질타로 한다고 해결되냐, 사람이 안 바뀌면 시스템이 바뀌어야 하는 것이니 법을 만들어라, 그건 국회 몫이니 국회의원들이 해결해라, 고 하더군요. 일면 일리가 있는데, 원안위에서는 질타 외에는 방법이 없다는 것인지 모호했습니다. 국회에서 법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원안위에서는 심사로는 그것을 견제할 수 없다고 여기는 것인지 태도가 불분명해 보였습니다.
캐나다에서는 월성1호기와 같은 기종의 원전을 수명연장허가를 한 바 있지만, 워낙 보완조치가 까다롭고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1조원이 넘는 설비변경 경비가 들어 손익계산상 손해가 나니 사업자 스스로 수명연장을 포기하였다고 하지요. 그런데 이 점에서 우리나라는 몇 가지 난 점이 있어요. 우선 캐나다만큼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캐나다는 정보 공개만이 아니라 주민이 문제삼아 질문하는 경우에도 아주 친절하고 자세하게 시간이 걸려도 설명을 한다고 하더군요)
캐나다처럼 원안위가 허가하는 게 안전한가 하는 점이고요, 게다가 설비변경 요구도 아예 안전하게 설비변경을 끝내고 그 후에 연장 가동하자는 것도 아니고 수명 연장 가동 후 설비변경을 얘기하는 것으로 보여서 조급한 결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경제성도 전력수급상 시급함도 없는 원전을 왜 이렇게 빨리 수명연장 결정을 해야하는 것인지 참 의아합니다. 오로지 기술상 하자가 없는데 왜 심사를 늦추냐, 원안위는 이것 하나만 얘기하는 듯 해요.
원안위가 한수원의 정보공개를 법제화할 수 있게 추진하겠다고 하는데요, 법제화 이후에 허가를 할지, 허가 내고 나중에 법제화할지 지켜볼 일입니다. 후자 가능성도 꽤 높아 보입니다.
두 번째는 전문위원들과 민감검증단 사이의 논쟁이 이어졌고, 그 다음에 서균렬교수와 원자력안전과미래의 공개토론회가 있었는데 그 과정이 끝나니 8시쯤 되었어요. 그리고 나서야, 실질적인 위원들의 심사와 질문이 이어지기 시작하는데, 끝내자 말자 한참 논란을 하다 계속 이어가게 된 것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쓰고 나중에 더 이어가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