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문산계 품계와 위계(朝鮮 文散階 品階와 位階)
品 |
階 |
官 階 名 |
外 命 婦 |
位階區分 |
大監令監 |
官 職 |
정 1품 |
上階 |
大匡輔國崇祿大夫 |
貞敬夫人 |
堂上官 |
大監 |
대군, 군,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영사, 도제조 |
下階 |
輔國崇祿大夫 |
종 1품 |
上階 |
崇祿大夫 |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 |
下階 |
崇政大夫 |
정 2품 |
上階 |
正憲大夫 |
貞夫人 |
이조판서, 호조판서, 예조판서, 병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좌참찬, 우참찬, 5위도총관, 한성판윤, 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총리영사, 제조 |
下階 |
資憲大夫 |
종 2품 |
上階 |
嘉靖大夫 |
令監 |
대사헌, 동지사, 5위부총관, 한성좌윤, 한성우윤, 개성유수, 겸사복장, 내금위장, 상선, 제학, 관찰사, 수어청사, 부윤, 포도대장, 병사, 중군, 대장, 제조 |
下階 |
嘉善大夫 |
정 3품 |
上階 |
通政大夫 |
淑夫人 |
도승지, 좌승지, 참의, 대사간, 첨지사, 도정, 참찬과, 부제조, 부제학, 성균관대사성, 우림위장, 훈련원도정, 별장 천총 중군 기사장 진영장, 목사, 수사, 병마절도사, 병마수군절도사, 장예원판결사 |
下階 |
通訓大夫 |
淑人 |
堂下官 |
|
정, 직제학, 상호군, 승문원판교, 사옹원제거, 통례원좌통례 |
종 3품 |
上階 |
中直大夫 |
|
사간, 사헌부집의, 부정, 홍문관전수, 성균관사성, 승문원참교, 대호군, 도호부사, 사옹원제흥, 통례원상례, 병마우후첨절제사 |
下階 |
中訓大夫 |
정 4품 |
上階 |
奉正大夫 |
令人 |
|
의정부사인, 사헌부장령, 창수, 홍문관 예문관 응교, 성균관관사예, 예빈시제검, 군수, 만호, 호군, 병마동첨절제사 |
下階 |
奉列大夫 |
종 4품 |
上階 |
朝散大夫 |
|
경력, 첨정, 한성서윤, 제검, 호군 |
下階 |
朝奉大夫 |
정 5품 |
上階 |
通德郞 |
恭人 |
參上官 |
|
검상, 지평, 정랑, 이조정랑, 병조정랑, 헌납, 전수, 별좌, 직강, 찬의, 교리, 문학, 전훈, 세자익위사 좌익위 우익위, 장예원사의, 사직 |
下階 |
通善郞 |
종 5품 |
上階 |
承義郞 |
|
도사, 별좌, 고령, 서령, 부교리, 부사직, 좌어사 우어사, 현령, 종사관 |
下階 |
承訓郞 |
정 6품 |
|
宣敎郞 |
宜人 |
|
좌랑, 주부, 정언, 감찰, 별제, 수찬, 전적, 교검, 사서, 사모, 사과, 좌익찬 우익찬, 사평, 장원, 평사 |
종 6품 |
|
宣務郞 |
|
교수, 주부, 재부잡, 부전수, 별제, 부수찬, 사축, 선화, 부장, 부사과, 좌의솔 우의솔, 신화, 사지, 현감, 찰방, 병마절제도위, 감목관, 좌장사 우장사, 수문관, 종사관 |
정 7품 |
|
務功郞 |
安人 |
參下官 |
|
주서, 찬군, 사안, 박사, 봉교, 전율, 설서, 좌부솔 우부솔, 사정 |
종 7품 |
|
啓功郞 |
|
직장, 선부, 전회, 부사안, 산사, 부전율, 선회, 부사정, 조기, 공제, 명률, 신과, 좌종사 우종사 |
정 8품 |
|
通仕郞 |
瑞人 |
|
사록, 부직장, 사포, 별검, 저작, 시교, 학정, 전음, 사맹, 좌시직 우시직, 신금 |
|
봉사, 훈부, 전곡, 상문, 부사포, 계사, 공조, 부전음, 상도, 별검, 상사, 부사맹, 이기, 심율, 부신금 |
종 8품 |
|
承仕郞 |
정 9품 |
|
從仕郞 |
孺人 |
|
임부, 사소, 산학훈도, 부봉사, 정자, 검각, 학록, 전승, 천문훈도, 지리훈도, 명과훈도, 의학훈도, 한학훈도, 몽학훈도, 왜학훈도, 여진훈도, 사용, 좌세마 우세마, 율학훈도, 신수 |
종 9품 |
|
將仕郞 |
|
참봉, 팽부, 부사소, 회사, 공작, 학한, 부정자, 부전승, 지도, 부사용, 족기, 검율, 부신수, 역승, 도승, 권관, 초관, 척후, 심약, 현승, 별장, 진사, 생원, 초시, 학생, 처사 | |
첫댓글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낸 분의 부인을
정부인(貞夫人)이라고 부르나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통훈대부의(通訓大夫) 부인을
정부인(貞夫人)이라고 하면 잘못된것이고
숙부인(淑夫人)이 맞습니다~~~~~^^*
살아생전에 벼슬은 못했어도, 夫(사내부, 또는 지아비부) 한가정을 꾸리고, 가족을 먹여살리고, 후사를 잇고, 나라와 이웃을 위해서 한평생을 잘 살은 것에 그 은공의 보답으로 정이 아닌 종9품의 벼슬을 죽음에 받으니, 천부적인 추증? 동방예의지국에서나 볼 수 있지요? 유교사상에서 나온것이지요? 그리고 그 부인은 당연히.......
햐~~~그런 오묘한 뜻이 있었군요~~~~~^^*
호칭은? 존칭이 많으면, 참 좋은데, 명태는 그 호칭이 약40여종이 된다니, 참으로, 호칭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