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차 컴퓨터 사용이 늘어나면서, 특히 무선랜을 지원하는 노트북 보급이 증가하면서 한 가정내에서 여러대의 컴퓨터에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일반적인 현상으로 번져가고 있다.
다 아시다시피 유무선 공유기 한대만 구입하면 여러대에서 동시에 인터넷을 할수가 있다.
그러나 한국통신, 하나로, 파워콤, 엔토피아등등 인터넷 서비스업체마다 인증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유기만 있
다고 쉽사리 인터넷 공유에 성공할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서비스 업체는 인증과정이 필요없이 네트워크 카드에 연결하면 바로 인터넷이 되는 경우도 있고 다른 업체는 ID
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다른 업체는 IP 주소를 일일히 적어주어야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필자가 경험한 몇가지의 사례를 통해 아는데 까지만 설명해 보려고 한다(필자도 초보임)
먼저 공유기의 외관을 살펴보자.


뒷쪽을 보면 Internet(상단사진) 이나 WAN(하단사진), 출력포트(보통 1~4번)가 보인다.
공유기는 DC 아답터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reset 홀이 있는데 문제가 생겼을때 reset 을 눌러주거나 수초간 오래
눌러주면 공장 초기화 값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입출력에 랜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화선을 이용하는 ADSL 사용자들은 기본적으로 외장모뎀
을 먼저 설치한 후 공유기와 연결해야 한다(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요구하면 바꿔줌)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입출력에 랜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화선을 이용하는 ADSL 사용자들은 기본적으로 외장모뎀
을 먼저 설치한 후 공유기와 연결해야 한다(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요구하면 바꿔줌)
외장모뎀을 설치했으면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랜카드를 장착해야 유선으로 인터넷공유를 할수 있을것이다, 무선으로 연
결할수도 있지만 가급적 데스크탑 컴퓨터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게 좋다, 무선랜의 속도는 제한이 있으므로 데스크탑 만
이라도 최대속도와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연결용 랜 케이블은 다이렉트 케이블을 쓰면 된다, PC to PC 연결시에는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하지만...
랜케이블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가정이거나 또는 외장모뎀을 사용할수 있다면 거기서 나온 랜케이블을 Internet 이나 W-
AN 포트에 연결하고 1번~4번까지의 포트에서 유선랜 신호를 각각 나누어 받아 쓸수가 있다, 즉 최대 4대까지의 유선랜
을 각각의 컴퓨터와 연결하여 쓸수가 있는 것이다.
보통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유선랜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특별히 케이블 연결이 까다로운 경우에는 부득불 USB 나 PCI
형태의 무선랜 카드를 장착하여 이용할수가 있겠다.
유무선 공유기는 이와는 별개로 무선랜 신호가 기본적으로 날라가고 있다.
누구라도 주변에 무선랜을 쓸수있는 환경에 있는 사람이라면 신호가 도달하는 한도내에서는 무선랜 신호를 가져다 쓸수
가 있으므로 보안세팅을 해줄 필요가 있겠다.
1. 인터넷 접속방식 설정하기
개요: 1)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방식을 지정한다.
2) 타인의 접근을 막기위해 무선랜 보안설정을 한다.
이외에도 특정한 게임을 위해서 일부 설정을 건드려야 하는 부분도 있겠으나 필자는 위 두가지와 채널변경만 하고 그냥
사용하는 형편이다.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품 설명서를 잘 읽어보아야 한다.
제품에 따라서 설정화면에 들어가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먼저 전원을 연결하고 출력포트 1번과 컴퓨터를 랜케이블로 연결하여 설정 준비작업을 해놓는다(무선랜 노트북이 있으
면 무선으로 설정할수 있다, 유선이나 무선이나 설정방법은 똑같음)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별다른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하고 주소줄에 업체에서 요구
하는 숫자로 된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예를들면 http://192.168.1.1 이런식이다.

암호를 요구하는데, 보통 admin 을 쓰지만 다를수 있으므로 설명서를 읽어보아야 한다.
설정화면에 들어가면 맨먼저 인터넷 접속방식을 설정하는 화면이 나온다,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메인 설정화면에 나온
다고 볼수있다.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할당(DHCP) 방식인지, PPPoE(ADSL) 방식인지, 고정 IP 방식인지 등을 선택하는 화면
을 볼수있다.
이것만 올바르게 설정하면 곧바로 인터넷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설정값을 변경했으면 항상 저장을 해줘야 변경값을 기억한다.
한번 설정하고 저장시키면 환경값이 공유기 내부의 플래쉬롬에 기억되므로 전원을 끄거나 다른데 가져가서 다른 컴퓨
터와 연결해도 그 환경값은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물론 설정을 다시 변경하고 저장하면 변경값이 또다시 유지된다.
필자의 경험으로 하나로 ADSL 은 ID 와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메가패스 VDSL 을 사용할때는 인증과정이 없어서 그냥 연결하면 쓸수 있었다(유동 자동할당 방식)
공유기를 구입하면 기본적으로 자동할당(DHCP) 방식으로 설정돼 있기 때문에 인증과정이 없는 가정에서는 그냥 연결
만 해도 인터넷이 될것이다.
1) 자동할당(DHCP) 방식

공장출하시 초기값이다.
접속시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라면 그냥 이대로 사용하면 될것이다.
2) PPPoE 방식

ADSL 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으로 ID 와 Password 를 알고 있어야 한다, 모른다면 서비스업체에 문의하여 알아내야
한다.
하나로 ADSL 의 경우 특이하게도 ID 뒤에 @hanaro 를 붙여줘야 한다.
3) 고정 IP 방식

서비스 업체에 문의하여 여러가지 IP 값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대로 적어주면 될것이다, 단지넷이 여기에 해당된다.
설정이 끝났으면 항상 저장(Save) 시키는 걸 잊지 말도록...
위와같이 자신에게 맞는 인터넷 접속방식을 제대로 설정하여 인터넷이 된다면 다음에는 무선랜과 관련한 설정부분만
만져주면 끝이다.
즉 무선랜 주파수 채널을 원하는 채널로 바꿔 준다거나, 기본적으로 보안설정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나 우리집
인터넷을 공유할수 없도록 제한을 가하는 설정 정도만 해주면 될것이다.
이상 세가지가 필자가 건드리는 설정부분이다.
필자가 건드리는 셋업방식을 다시 정리하면
1) 인터넷 접속방식을 설정한다(자동할당, PPPoE, IP 고정...)
2) 채널을 바꿔준다, 기본채널로 놔둬도 상관없으나 일반적으로 6번채널이 좋다고 하여 CH6 으로 변경한다.
3) 보안설정으로 암호키를 지정하거나 특정한 무선랜 카드만 접근할수 있는 MAC address 를 지정할수 있는데 필자는
MAC Address 제한만을 이용한다, 암호키를 지정하면 보안을 더욱 강화시킬수 있지만 반면에 미소한 속도저하가 있
을수 있다.
2. 채널변경

기본적으로 지정된 CH1 번을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일반적으로 6번을 추천하는 경향이 많은것 같아서 무조건 CH6 번으
로 설정한다(필자의 경우)
속도(Network Mode) 설정은 802.11g(54mbps)만 사용할 경우라면 G-Only 로 바꿔주는 것이 좋을것이다.
필자의 경우 802.11b(11mbps)를 사용할 경우가 있으므로 Mixed 로 그냥 놔뒀다.
SSID 는 공유기 이름으로서 외부에서 검색했을때 나타나는 이름이다.
3. MAC Address 설정
기본적으로는 무선랜이 오픈되어 있으므로 사생활 측면에서 타인의 접근을 막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복잡한 64/128bits WEP 암호키를 사용할수도 있으나 필자의 경우, 간단한 MAC Address 필터링만 사용한다.
이 방식은 권한을 부여받은 무선랜 카드만 무선랜 공유기에 접근 할수있다.

위 그림처럼 MAC Filter 를 활성화시키고 어드레스 값을 적어준 무선랜 카드만 허용하도록 Permit Only 를 지정하였다.

Edit MAC Filter List 에 들어가 MAC Address 값을 지정해주면 된다.
** MAC Address 를 알아내는 방법

무선랜 카드의 뒷면에 고유의 코드값이 적혀있다, 하드웨어적인 코드값이기 때문에 유일한 값이라고 볼수있다.

노트북의 경우 바닥면을 살펴보면 MAC Address 가 적혀있다, 주의할 것은 유선랜 카드도 맥 어드레스 값을 가지고 있
으므로 서로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무선랜과 관련한 802.11b/g 등의 명칭 뒤에 따라오는 문자라면 무선랜 카드의 맥 어
드레스 값이라고 볼수 있을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윈도 프로그램에 들어가 시작줄-> 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명령프롬프트를 클릭하여(시작줄-> 실행
... 에서 cmd 를 치고 확인을 눌러도 똑같은 방법이 됨) ipconfig /all 을 치고 엔터하면 주르륵 나오는데 그중에서 Des-
cription 항목에 무선랜 카드와 관련된 하드웨어 이름인가 확인한 후, 맞으면 Physical Address 가 바로 MAC Address
값이 된다.
이상의 방법대로 설정하여 사용하면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용도로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것으로 사료된다.

설정이 끝나면 꼭 저장을 누르고 최종적으로는 reset 이나 전원을 껏다켜서 깨끗한 상태로 사용하면 좋을것이다.
여기서는 유명한 Linksys WRT54G 유무선 공유기의 설정화면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공유기도 이와 유사하기 때문에 기
본 베이스로 삼으면 참고가 될것으로 믿는다.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한글메뉴로 나오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수 있겠으나 영어와 한글의 차이, 그 이상도 이하도 아
님을 알수있다.
출처 : http://k.daum.net/qna/view.html?boardid=QCO001&qid=3OSLq&q=%C4%C4%C7%BB%C5%CD%C0%C7+IP%C1%D6%BC%D2%B8%A6+%BE%CB%BE%C6%B3%BB%B4%C2+%B9%FD&srchid=NKS3OSL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