員 : 원(인원 원)자를 한국 사람들은 "원"으로 읽었고
옛 베트남 사람들은 viên(비엔)으로 읽었습니다.
둘 다 중국 발음을 자신들의 귀에 들리는 데로 표기한 것이니
어느 것이 맞다 틀리다라고 할 수 없습니다.
미국 사람들에게는 Jordan이 "ʤɔ́ːrdən"으로 들리지만
우리에게는 '조던'으로 들리니까요.
員(원) 자는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순경음 ㅸ' 이 붙은 '붠' 으로 읽었습니다.
"붠 = 비엔" 발음이 비슷하지요?
우리나라는 순경음 ㅸ 이 'ㅇ'으로 순화되었고,
베트남어에는 순경음 ㅸ 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발음 차이가 생긴 것입니다.
員원(인원 원)자를 사용한 베트남어를 한번 볼까요?
生員(생원 - 날 생, 인원 원) : sinh viên - 학생 이라는 뜻입니다.
우리는 생원과에 합격한 학생만 생원이라 불렀지만
베트남에서는 대학생이면 대학입시를 치뤘으니 "생원"이라 불렀지요.
敎員(교원-가르칠교, 인원 원): giáo viên - 교사 라는 뜻입니다.
우리나라도 교원을 교사라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한국어 교원 자격증, 영어 교원 자격증 이라는 말을 아직도 사용합니다.
베트남에서는 가르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교사 대신 "교원"이라 불렀습니다.
같은 내용의 한자를 발음만 giáo viên이라고 달리 읽은 것 뿐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員이 viên으로 읽힌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viên을 보면 員이라고 추측할 수 있는 눈이 있어야 합니다.
人員(인원 - 사람 인, 인원 원) : nhân viên - 회사원 이라는 뜻입니다.
한국에서는 단체를 구성하는 사람의 수를 의미하지만
베트남에서는 회사의 구성원이 직원이니 직원이라는 뜻으로 사용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비행장이라 부르고 중국은 기장이라고 부른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한자의 뜻을 생각하면 모두 같은 뜻이 됩니다.
이 발음은 중국 발음과 매우 흡사합니다. 중국 친구에게 이 한자를 보여 주며 읽으라고 해 보세요.
베트남 발음처럼 "년 비엔"으로 읽을 것입니다.
學員(학원-배울 학, 인원 원) : học viȇn - 직업훈련을 받는 사람, 연구소 연구원, 선임 교수 등을 이르는 말입니다.
앞으로 viȇn을 보면 사람을 의미하는 '인원 원'자로 추측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모든 viȇn이 '인원 원'자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베트남의 선조들은 모두 16가지의 한자를 viȇn이라는 발음으로 읽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원' 이라고 말하면 인원원, 멀원, 동산원, 으뜸원 다양한 '원'이 있지요.
그러나 우리에게 희소식이 있습니다.
베트남어에서 16자 한자중 자주 쓰는 '원'자는 3글자 밖에 되지 않습니다.
員 인원 원 member, person
園 동산 원 garden, park - 公園(공원) - công viên
圓 둥글 원 circle, round; to complete - 圓卓會議(원탁회의) - viȇn trác hội nghị
이 3글자 뿐입니다. 3자 뿐이니 이 참에(참외 냠냠) 외워두면 좋습니다.
또 기쁜 소식은 둥글 원자는 잘 쓰지 않으니 2자만 외우도 됩니다.
앞으로 viȇn 글자를 보았다면 이 3글자 중에 한가지 뜻일 확율이 95% 이상 일 것입니다.
나머지 13 한자의 뜻은 몰라도 문제 없습니다.
<날로 먹는 팁!>
우리나라 한자의 다른 '원'자도 viȇn과 철자는 같습니다. 성조만 다릅니다.
遠 멀 원 far - 永遠(영원) - vĩnh viễn
院 집 원 court, hall - 예)病院(병원) - bệnh viện
오늘은 여기까지 공부하겠습니다.
출처: http://hanpu.tistory.com/1 [한자로 푸는 베트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