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윤식 교수는“루카치를 공부하며 소설이 인류사와 더불어 진화한‘근대’의 장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허재성 기자 heophoto@chosun.com
겸사의 표현이지만 1973년 박사논문을 묶은 첫 책‘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이후 어림잡아 35년 동안 1년에 4권이 넘게 책을 냈다. 오직 앞뒤 돌아보지 않고 평생 공부하고 책읽고 글쓴 결과다. 시인 고은은 김 교수의 의식을 빗대‘온통 박물관 지하실 명제들이 줄 서 있다’고 했다.
“
고은 선생이 이런 말을 했어요. ‘한국에 독종이 둘 있다. 하나는
고(故) 박경리 선생이고 하나는 김 아무개다.’시인의 직관으로 그런 말을 했어. 어떤 면에선 제대로 봤구나 생각이 드는데….”
□ “교장 선생님이 돼라”“경남 마산이라는 조그마한 항도에서 학교를 다녔지. 총리를 지낸 노재봉씨는 마산중학에 다니고 난 마산상업학교를 나왔어. 서울대 상과대학에 진학하려는데 웬걸 아버지가 말리셨어요. 교장선생님이 되길 바라셨어요.”
김 교수는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에 진학한다. 고교시절, 시를 써서 중앙지에 실리기도 했고 대학생이 돼서는 소설가를 꿈꿨다.“ 아직도 습작 원고가 남아있다”고 했다. 한번은 당대 지식인들이 주로 읽던 월간 ‘사상계’에 소설을 투고, 최종 본선까지 오르기도 했다.
“글을 쓰고 싶은데 대학에서는 학문을 가르쳐요. 향찰식 표기법이니 순경음이 어떻고 반치음이 어떻게 변하고 아래아가 어떻고… 재미가 없어서 학교에 다닐 수가 없잖소. 2학년 때 군에 가버렸어. 자원해서.”
군복을 벗고 복학해 대학원에 적을 두게 됐을 땐 벌써 소설이나 시를 쓰겠다는 생각은 깡그리 떨쳐버린 뒤였다.“ 복학해서 돌아오니 친구도 없고…그래서 혼자 도서관에서 공부 할 수밖에”라고 했다. 그는 창작 대신 학문에 빠져든다. 당시 인문학도들에겐 민족적 사명감이 있었으니 ‘식민사관 극복’ 이었다.
“‘너희 민족이 못나 잘난 민족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는 게 식민사관 아닙니까. 이런 일본학자의 주장이 과학적으로 옳다면 할 수 없지만, 제국주의가 만든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면야 부숴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것 밝히는 게 당시 남북한 인문학도의 사명이었지요.”
당시 북한에서는 식민사관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속도를 내고 있었지만 남한은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그때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다. 규장각에서 18세기 대구지역 토지대장이 나온 것이다.
“우리가 얼마나 흥분했는지 모릅니다. 토지대장을 분석해보니 남한에서도 땅을 가지고 여러 사람이 자본주의적 방식으로 경영을 했다는 증거가 나온 거지. 김용섭 교수가 ‘조선후기농업경제사’연구를 통해 밝혀낸 것이었소. 우린 밤새워 토론하고 공부하며‘식민사관은 가짜’라고
외쳤지. 자생적 근대화론의 가능성을 열어 놨던 것이지요.”
그는 식민사관 극복이란 관점에서 1973년 김현 선생과 함께‘한국문학사’를 펴냈다. 두 사람은 한국 근대의 시점을 영·정조 시기인 18세기까지 끌어올려 한국문학사를 정리했다. 모든 장(障)과 문장을 석공처럼 고치고 다듬은 결과였다.
김 교수는 인문학의 식민사관 극복을 위해 열심히 공부했다. 문학과 상관없는 세계정치사를 조망해야 했고 근대라는 자본주의를 경제학을 통해 배워야 했다.
“그런데 공부를 하다 보니, 쩨쩨하게 식민사관이나 조선민족, 국가를 위한 공부보다 인류가 나가는 길을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것을 루카치가 가르쳐줬어요. 헤겔, 마르크스, 골드만 이 패들이 바로 인류를 위해 공부한 사람들이지.
□ “인류를 위해 공부하자”1970년 하버드대 옌칭 장학금으로 도쿄대에 유학간 30대 서울대 교수는 이 대학 정문 서점에서 루카치의‘소설의 이론’을 읽고 충격에 빠진다. 한국에서 금서인 그 책을 그 날 밤새워 읽었다고 한다. 루카치를 공부하며“소설이 인류사와 더불어 진화한‘근대’의 장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아울러“그런 공부 라면 해볼만 하지 않겠느냐”고 환호한다.
“루카치는‘소설의 이론’서문을 ‘복되도다’로 시작했어요. 시를 써버린 것이지요.‘ 우리가 갈 수 있고 또 가야만 할 길을 창공의 별이 지도가 되고 그 별이 우리가 가야할 길을 훤히 밝혀주는 시대는 복되도다’라고 했어요. 그때 식민사관 같은 이데올로기를 연구하지 말고 인류사를 위해 공부해야겠다고 깨달았소. 소설을 가지고도 인류사회가 나가야할 길을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루카치가 가르쳐 줬어요.”
김 교수는“인문학은 아직도 유효하고 위대하다”고 주장한다. 평생 소설과 문학공부에 빠져 살았지만“여전히 소설을 통해서도 인류사를 공부할 수 있다”고 외친다.
“지엽적이고 쩨쩨한 공부 대신 큰 공부를 하세요. 가령 소설로도 인류사를 공부할 수 있어요. 곤충학이나어류학도 인류를 위해 공부할 수 있지요. 처음부터 좁게 출발하지 말고 큰 포부를 갖고 공부하는 것이 필요해요. 비틀즈의 노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가 러시아의 무인 우주선에 실려 우주로 퍼지듯 자연과 우주, 인류사를 위해 공부하세요.”
조선일보/입력 : 2008.12.01 03:21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1/30/200811300038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