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설명 예수를 배반한 유다가 목을 맨 나무에서 자랐다고 해서 ‘유다의 귀’, 그 모양이 마치 사람의 귀를 닮았다 해서 ‘목이(木耳)’라는 이름이 붙은 버섯. 중국에선 닭고기와 맞먹는 영양가가 있다 해서 ‘수계(樹鷄)’라 불리며 여러 요리에 다양하게 쓰인다. 우리나라에선 잡채나 볶음요리에 주로 이용하는데, 잡채를 먹다보면 쇠고기는 아닌데 검은색을 띠고 쫀득쫀득 씹히는 것이 바로 목이버섯이다.
흔히 보는 목이버섯은 검은색이지만 흰색에 가까울수록 상품으로 치며 이름도 ‘은이’라고 따로 부른다. 중국 사람들은 흰 목이버섯으로 끓인 국을 은이갱이라 하여 정력을 돋우는 훌륭한 강정제로 꼽는다. 은이갱은 물에 잘 불린 흰 목이버섯을 다시 물에 넣고 끓인 후 설탕을 첨가해 끈적거릴 정도로 졸여 먹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영양면에서는 검은색과 별 차이가 없다.
2, 효능 목이버섯은 무엇보다 비타민 D가 아주 풍부하기 때문에 체내의 칼슘 흡수를 도와 뼈를 튼튼하게 한다. 비타민 D는 육류나 우유, 달걀노른자에 들어 있지만 양이 너무 적어 좋은 공급원이 될 수 없다. 특히 자외선차단제가 함유된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여성, 주로 실내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에겐 목이버섯이 유용한 영양공급원이 된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는데, 당뇨병이 진행되면 비타민 D를 체내에서 활용하는 신장이나 간장의 기능이 저하돼 뼈를 만드는 능력이 더욱 떨어지는 까닭이다. 목이버섯에는 비타민 D 외에 칼슘도 충분히 함유되어 당뇨병 환자의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목이버섯은 철분 함량도 높아 빈혈 예방에도 좋다. 이때 철분은 비타민 C와 같이 섭취해야 흡수가 잘 되므로 목이버섯을 먹을 때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한 채소나 과일을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에서는 목이버섯에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빈혈이 있을 경우 검은 목이버섯 30g과 대추 30개를 물에 넣고 푹 달여 차처럼 마실 것을 권하기도 한다.
가을철 뽕나무나 딱총나무, 말오줌나무 등의 죽은 나무에서 많이 나는 목이버섯은 오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장기의 독기(毒氣)를 풀어준다 하여 한방 약재로도 쓰여왔다. 특히 혈열(血熱)을 내려주기 때문에 깡마른 체형에 신경이 예민한 사람들의 경우 밤마다 온몸이 아플 때 쓰면 매우 좋다. 또 기를 보충해주고 몸을 가볍게 하는 작용이 있어 뚱뚱하고 피부색이 하얀 사람들에게도 효과가 있다.
3. 간식거리 목이버섯을 잘 이용하면 아이들이나 노인들의 영양식으로 그만인데, 잘게 썬 목이버섯을 끓는 물에 넣고 부드럽게 익힌 다음 불린 쌀과 대추와 함께 푹 무르익혀 죽을 만들어 먹는다. 또 중국요리인 ‘목이 닭찜’은 피부를 젊게 해주고 살결에 윤기를 내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먼저 닭찜을 만든 후 그 닭찜 속에 마른 목이버섯을 열탕한 것을 한줌 가량 넣고 천연소금으로 간하여 가끔씩 먹으면 피부에 수분과 유분이 생겨 살결이 고와진다고 한다.
4. 변비치료에 목이버섯 변비처럼 괴로운 일도 없다. 자칫하면 치질로까지 번질 수 있는 변비를 치료하는데도 시금치가 좋다. 중국에는 시금치와 목이버섯을 이용한 요리가 있다. 바로 이 요리가 변비를 상당히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이버섯은 흰색과 검은색이 있으며, 이 가운데 흰색 버섯은 은이버섯이라고 부른다. 은이버섯은 중국 요리 재료상에서 구할 수 있다. 은이버섯은 검은 목이버섯에 비해스태미나와 미용효과가 뛰어나다. 시금치는 위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며, 목이버섯은 혈약 순환을 돕는다. 두 재료가 조화를 이루어 변비나 묵직하고 답답한 위를 시원하게 해 준다.
재료: 시금치, 목이버섯, 소금약간
이렇게 하세요. 1. 시금치는 흐르는 물에 30분 정도 씻는다. 2. 잘 씻은 시금치를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3. 물에 불린 목이버섯을 깨끗하게 손질한다. 4. 냄비에 물을 부어 (2)와 (3)을 넣고 30분 정도 삶는다. 5.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5. 자궁을 튼튼하게 하는 달래와 목이버섯 쌉싸래한 맛이 매력인 달래는 비타민C를 비롯해 갖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고, 특히 칼슘이 많아 빈혈과 동맥경화에 좋다. 날것으로 먹기 때문에 풍부한 비타민C를 그대로 섭취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인데, 조리할 때 식초를 곁들이면 비타민C를 조금 더 지킬 수 있다. 불면증, 장염, 위염에 효과가 있고 자궁출혈이나 월경불순 등 부인과 질환에 좋다. 목이버섯은 피를 맑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나쁜 피를 정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좋게 함으로써 자궁근종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자궁근종으로 인해 출혈이 있다면 목이버섯을 진하게 달여 마시거나 약간 맵고 단맛이 나는 채소와 함께 살짝 볶아서 먹으면 좋다.
달래 목이버섯 초무침 재료 달래 1/2단, 마른 목이버섯 7장, 양파 1/4개, 참기름 1작은술, 소금 약간, 무침장 (식초 2큰술, 간장 2큰술, 설탕 1큰술, 고춧가루 1작은술, 다진 마늘 1작은술, 깨소금 1작은술)
만들기 1. 달래는 불순물을 떼고 깨끗이 씻어 머리부분을 반으로 가르고 4cm 길이로 자른다. 2. 목이버섯은 미지근한 물에 불려두었다가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데쳐 작게 자른다. 3. 양파는 가늘게 채썬다. 4. 준비한 재료를 그릇에 담고 무침장을 뿌리거나 무침장을 넣어 무친다. 마지막에 참기름을 뿌린다.
6, 부연 설명 주로 활엽수의 고목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뽕나무 ·물푸레나무 ·닥나무 ·느릅나무 ·버드나무에서 발생한 것을 5목이라고 하며 품질이 가장 좋다. 표고와 같이 참나무류 원목에 종균을 접종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생산지에서는 생것으로 식용되나 일반적으로 건조품이 이용된다.
중국요리에 널리 쓰이고 있다.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맛과 검은 색깔로 시각적인 면에서 즐길 수 있는 식품이다. 시판되는 건조상품에는 목이와 유사종인 털목이가 혼입되어 판매되고 있다. 거의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