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이해하기 아래 공식만 기억하세요. 첫번 목요일이 포함되는 주가 그 월의 첫번째 주이다. 예1: 2018년 12월의 첫째주는 12월 3일부터 9일까지이고 2018년 11월의 마지막주는 11월 26일부터 12월 2일까지이다. 예2: 2018년 6월의 첫째주는 6월 4일부터 10일까지이고 2018년 5월의 마지막주는 5월 28일부터 6월 3일까지이다. 예3: 2018년 2월의 첫째주는 2월 1일부터 7일까지이고 2018년 2월의 마지막주는 2월 19일부터 25일까지이다.
설명보기 때는 2018년 6월. 에피소드1 주부A: OO마트는 매 월 첫째주와 셋째주 일요일에 휴장이래! 주부B: 어머? 그래? 그럼 3일이랑 17일에 쉬니까 그 날은 마트에 가지 말아야겠어! 주부A: 아냐~ 10일이랑 24일에 쉰다는거지! 주부B: 왜? 6월 첫째주에 1일, 2일이 금요일 토요일이니까 그 날이 첫째주지! 에피소드2 김차장: 이대리 6월 넷째주 수요일에 고객사 미팅있으니 장소 미리 예약해 놔요 이대리: 네 차장님~ 6월 20일(수) 이대리: 김차장님? 오늘 고객사 미팅있지 않아요? 김차장: 이대리 무슨 소리야? 이대리: 김차장님 오늘 고객사 미팅있다고 하셨잖아요? 김차장: 아니 이대리 고객사 미팅은 27일이지 왜 오늘이야 이대리: 차장님께서 넷째주 수요일이라면서요.... --------------------------------------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이 처럼 아주 애매하고 난감한 상황이 간혹 생깁니다. O월의 첫째주.. 둘째주.. 누구는 이게 첫째주라고 하고, 누구는 저게 첫째주라고 하고.. 그냥 달력 맨 위에 하루라도 있으면 그게 첫째주 일까요? 아니면 꽉~~ 차야지만 첫째주 일까요? 뭐가 맞는걸까요? 얼핏보면 이런 애매한 상황에도, 분명 표준과 기준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의 KS X ISO 8601이죠. https://www.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503&topMenuId=502&ksNo=KSXISO8601&tmprKsNo=KSXISO8601&reformNo=03 위 의 2.2.8을 보면 한 주의 시작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2.2.10에서는 한 해의 첫째 주는 첫번째 목요일을 포함하는 주라고 나와 있습니다.
2018년 1월 첫째주는 언제일까요? 2018년 1월 첫째주는 1일(월)부터 7일(일)까지네요. 이 기간이 2018년의 첫째주가 됩니다.
그렇다면 2017년의 첫째주는 언제일까요? 달력을 보니 2017년 1월 1일은 일요일이군요? 한 주의 시작과 끝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이니 2017년의 첫째주는 1월 2일(월) 부터 8일(일)까지 입니다.
A주부: 엥? 그럼 2017년 1월 1일(일)은 뭔가요? .. 위의 표준 3.2.2에 따르면 2017년 1월 1일(일)은 2016년 12월의 마지막 주에 속하게 되는것이지요. 위 처럼 월(月)도 마찬가지입니다. 2018년 2월을 볼까요?
2018년 2월의 첫번째 목요일은 1일(목)이군요? 그렇다면 2월 1일이 속하는 주는 1월 29일(월)부터 2월 4일(일)이며 이게 2월의 첫째주가 됩니다. 위 에피소드의 2018년 6월을 보시죠.
2018년 6월의 첫번째 목요일이 속하는 주가 첫번째 주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6월의 첫번째 목요일은 7일이네요.. 7일이 속하는 주는 4일부터 10일까지. 이 주가 6월의 첫째주가 됩니다. 그러므로 6월 첫째주와 셋째주 일요일은 10일과 24일이되며, 넷째주 수요일은 27일이 되는 거지요 이해 되셨나요? 이대리: 표준, 기준.. 그런거 너무 많고 복잡해요..ㅠ 쉽게 생각하세요~ 목요일이 포함되어 있는지만 확인하면 쉽습니다!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