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서 론
1 제 절 연구 목적
티벳불교 닝마(rnying ma)1)파( ) 派 2)의 독자적인 교법이자 닝마의 최
상승에 해당하는 족첸 에 대한 연구와 이해는 두 가지 면에서 (rdzog chen) 大圓滿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첫째는 티벳불교 중에서도 인도의 중기 밀교와 후기 밀교의 모습을 가장 직접적으로 담고 있는 전통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다. 둘째는 족첸의 성취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동아시아 불교의 사상과 수행법을 비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인도에서 불교는 석가모니불의 등장 이후 초기 년 동안 원시불교 500에서 부파불교와 중관과 유식 등의 대승 교학으로 발전하였다 인도불교중에서 밀교는 가장 후기에 등장하였는데 늦어도 세기경에 출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3)
인도밀교는 세기부터 세기 중엽까지의 초기 밀교와 세기에 성립한 대일경大日經 과 금강정경 金剛頂經에 의지해 유행한 중기 밀교 세기경 딴뜨라 중심의 밀교경전의 유행에 의지한 후기 밀교로 구분된다.4) 인도밀교는 대중들의 생활에 더 가까운 실천적 행법으로 발전하면서 인도 내 불교의 존립이 어려워진 13 세기까지 이어졌다 5)
인도에서 티벳으로 불교가 처음 전해진 7 세기 무렵에는 인도 내에 이미 현교와 밀교가 공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티벳에는 현교와 밀교가 동시에 전해졌다.
이러한 영향으로 티벳불교는 기본적으로 소승의 율장과 경장에 해당하는 현교를 중심으로 교학을 익히고, 교학을 기반으로 실천적인 차원에서 밀교 수행을 하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티벳불교의 다양한 전통 중에서도 닝마의 밀교 사상은 인도로부터 7세기경부터 10세기 전까지 유래된 밀교 번역 문헌에 근거한 고밀교(古密敎) 를 토대로 한다.
반면 닝마 외의 다른 모든 전통의 밀교 사상은 10 세기 후반부터 새롭게 번역된 신밀교新密敎 를 토대로 한다. 따라서 닝마의 밀교 교의 및 토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도의 밀교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중기와 후기 밀교의 변이 양상도 직접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닝마의 독자적인 족첸 사상의 토대와 수행법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무작 과 무념 을 통해 개개인에게 내 () () 無作 無念 재되어 있는 본래 청정한 지혜인 구생지( , ye 俱生智 shes)6)를 완전히 드러내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구생지를 드러냄으로써 명 明 vidyā (릭빠)7)가 완전히 드러나고 이 릭빠의 성취는 곧 법신의 깨달음과 불이 인보신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사상은 삼신관 三身觀과 더불어 밀교의 다양한 사상들의 실천적인 행법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제3장 족첸의 교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족첸 사상의 토대와 수행도와 그 성취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닝마만의 독자적인 사상이자 수행법인 족첸을 이해하고자 한다 족첸은 밀교에 해당하지만 밀교의 각종 의례와 행법에 나타나는 신비주의적 요소들은 본 연구의 주 관심사가 아니다.
그 보다는 족첸으로 대표되는 닝마의 밀교 사상과 그 형성 과정에 대한 역사적 개관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하여 동아시아 불교의 사상과 수행법을 비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한국의 티벳불교 연구의 확장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지금까지 국내에서 티벳불교 닝마 전통의 족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적이 없다.
티벳불교에 대한 . 국내 선행 연구는 티벳불교 겔룩 전통에서 수행체계를 설명하고 있는보리도차제론( 菩提道次第論 lam rim) 에 대한 연구8)나 닝마적 관점으로 삼율의 사상을 기술한 삼율의결정론(三律儀決定, rang bzhin rdzogs pa chne po’i lam gyi cha lag sdom pa
gsum rnam par nges pa zhes bya ba’i bstan bcos)µ에 대한 연구9),
특정 수행법에 대한 연구 정도가 있고 닝마 , 또는 족첸사상 및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없다. 해외 연구 논문의 번역본인 「티벳에서 여래장의 토대들」10)이 닝마와 족첸사상에 대해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유일한 연구이다. 국내 출간서 중에는 닝마의 가행도 에 대한 내 加行道 용을 담은 위대한 스승의 가르침 11), 대원만 수행 요결 12),
족첸의 수행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쉼의 기술 13)등의 번역서가 있지만
이 또한 닝마 및 족첸 사상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 외에 닝마의 사상이나 역사를 다루는 연구 논문으로는 티벳불교학파들의 유식에 대한 견해14)가 있으며, 단행본으로는 티베트 밀교 개론15), 티벳밀교 16)등의 번역서와 밀교 관련 국내 출간서인 밀교학의 기초지식17)이 있다
이 책들은 티벳밀교와 관련된 내용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닝마에 해당하는 내용은 단편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미권에서 활동한 닝마 족첸 전통에 속해 있는 승려 또는 학자들의 영문 출간서를 두루 참고하였다 그 중에서도 닝마 족첸과 관련된 다양한 티벳 문헌을 영어로 번역하여 정리한 뚤꾸 돈둡(sprul sku don grub) (1 린포체 의 939- ) 저서18)를 주로 참고하였다. 또한 족첸의 사상과 교법에 대한 것은 닝마 교법관 , 확립에 큰 기여를 한 롱첸 랍잠(klong chen rab 'byams, 1308-1363)의 족첸 해설 영문 번역본19)과 직메 링빠('jigs med gling pa, 1730-1798)의 족첸에 대한 광범위한 해설서인 공덕장(功徳藏, yon tan mdzod)µ의 티벳어 원문20)과 영문 번역본21)도 주로 참고하여 연구하였다.
닝마 족첸의 전승과 교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티벳불교 내의 밀교의 지위에 대한 이해이며, 둘째는 티벳 내의 여타 전통들과 차별되는 닝마 고유의 교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역사적 이해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티벳 내 밀교의 수용과 정착 과정을 닝마 전통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티벳의 밀교 전파 과정과 문헌의 기원을 검토하고자 한다.
제3 ‘ ( )’ 장에서는 닝마 고유의 교판인 구차제승 의 九次第乘 각각의 승을 입문 관점 수행 행 ···· 위 성취를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써 닝마에서 현교와 밀교 전반을 어떤 관점으로 분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후 구차제승의 마지막 승인 족첸의 교의를 공덕장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족첸의 토대와 수행도와 성취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4 장에서는 족첸의 특수한 전승인 지시 指示 승 과 비장경秘藏經 전승 의 다양한 전승 형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닝마의 고유한 족첸 전승의 종류와 그 역사적 사례를 확인할 것이다.
본문 중의 티벳어 및 산스크리트어는 번역어 또는 한글 발음 표기 옆괄호 안에 로마자로 표기하였다 티벳어의 로마자 . 표기법은 와일리식 표기법 을 따 (Wylie transliteration) , 랐으며 한글 발음 표기는 티벳장경연구소의 ‘티벳어 한글 표기안’ 을 따랐다.
========================================================
제 장3 족첸의 교의
(rdzog 족첸 은 족빠 첸뽀 의 줄임말로 대원만 大圓滿 으로 번역된다.
(rdzog 족빠 란 s pa)’ 자각 안에 윤회와 열반의 제법 실상이 구족되어 있다는 뜻이다.
(chen 여기에 큰 위대한 이라는 뜻의 첸뽀 po)’가 붙는다 이렇게 합성된 위대한 원만함 이란 내면의 본래 성품인 구생지俱生智 가 윤회와 열반에 구족되어 있음을 윤회와 열반의 본래 성품이 바로 구생지임을 뜻한다.49)
족첸은 닝마의 독자적인 교의로 닝마 전통에서 교의와 그에 따른 수행론을 분류하는 교판인 구차 ( 제승 九次第乘theg pa dgu)’50)중 최상승의 지위에 있다. 제 절1 에서는 먼저 닝마의 독자적인 교판인 구차제승의 분류와 설명을 살펴봄으로써 하위승들과 최상승인 족첸의 차별성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후 제 절2 , 에서 족첸 교의의 토대와 수행도 성취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족첸 교의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 절1 , ( 닝마의 독자적 교판 구차제승 九次第乘, theg pa dgu)
신밀교에서 가장 보편적인 밀교의 차제 구분 체계는 부뙨(bu ston, 1290-1364)의 사분설 四分說 所 이다 사분설은 밀교를 크게 소작 딴뜨라 행 딴뜨라 유가 (瑜伽)딴뜨라, 무상유가 - (無上瑜伽)딴뜨라의 네가지로 분류한다
구차제승 은 사분설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띄고 있지만 차이점이 두 가지 있다.
첫째 밀교뿐 아니라 족첸 교의의 바탕이 되는 현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고밀교 (snagsrnying ma문헌에 기반한 세 가지 내밀교승 으로 구성되어 內密敎乘있으며 닝마의 독자적 교의인 족첸이 맨 마지막인 최상승의 지위에 있다는 점이다.
구차제승은 교의를 크게 현교 외밀교 내밀교의 세 가지로 구분하며 각각 , 세 가지로 세분되어 차례로 이어지는 아홉 단계의 승으로 구성되어 있다. (a 알락 센깔 린포체 lags gzan dkar, 1943-)51)의 구차제승 해설에 따르면 아, 누요가의 중심 문헌인 모든 밀의의 집합 경전(dus pa mdo / mdo dgongs pa 'dus pa)µ은 세 가지 승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확정된 승은 세 가지로 나뉜다.
근본승과 베다 금 (Veda) , 욕주의승 그리고 강력한 변형 방편의 승이다.52)
무구참회속無垢懺悔續 bzhags rgyud)에서는 다음과 같이설명한다.
아홉 개로 이어지는 승들의 사마야들은,
[ ] 앞의 세 개의 승은 , 삼장의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끄리야 요가 등의 외삼승은 고행의 딴뜨라와 관련이 있고,
세 개의 요가들은 방편의 딴뜨라와 관련이 있다.53)
이에 따라 닝마 전통에서는 아' ' 홉개의 연속되는 승 을 크게 현교승 1) :
[ ] 고통의 근원에서 발생한 외승이 2) 며 삼장의 특성과 관련된 삼승과
외밀교승: , , 3) 베딕 금욕주의의 내승이자 세 개의 외밀교의 삼승 내밀교
승 강: 력한 변형의 방편의 비밀승과 내밀교의 삼승의 세 가지로 분류한
다 닝마의 구차 . 제승과 부뙨의 신밀교 사분설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닝마의 구차 3 – 제승과 신밀교 사분설>
-------------------
아홉 개의 각 승은 입문 관점 수행 행 ···· 위 성취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1. 현교 3 : , , 승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
1) ( 성문승 Śrāvaka)
성문은 스승에 의지하여 자신의 스승이 말씀하신 바를 다른 이들에게
전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 입문 성문들은 출리심으로 인해 윤회하는 세계에서 홀로 벗어나고
자 한다 이러한 동기로 그들은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 우바이 우바새 식차마나니 , 7종의 별해탈계 別解脫戒 prātimokṣa) 중 하나를 받아 지닌다.
- 관점: 오온 五蘊 自空 에 포함된 모든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자 공(空)을 깨닫지만, 타공 他空은 깨닫지 못한다. 성문승의 수행자들은 모든 물질적 의식적 현상에 실체가 實體 없음을 이해하지 못하며 인식 대상과 불가분한 찰나식刹那識 이 실체로서 존재한다고 여긴다.
- 수행 지관 (止·觀) 수행을 함께 한다. 성문 수행자들은 장애가 되는 것들을 끊고 삼매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을 취함으로써 차9 제정(九次第定)을 이루고 제 행상에 대해 6 참구(參究)하여 관 (觀 vipaśyanā)의 지혜를 이룬다.
- 행위: 쾌락주의와 고행의 극단을 피하는 두타행을 유지한다.
- 성취: 탐진치의 삼독을 다스리는 정도에 따라 향 과 를 四向四果
얻는다.
2) ( 연각승 Pratyekabuddha)
연각 또 緣覺 는 자각 自覺 이라고도 불리는 연각승은 성문보다 더 심오한 깊은 지혜를 가진 존재로 다른 , 스승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지혜의 힘을 통해 스스로 깨닫는다.
- 입문 성문승과 마 : 찬가지로 연각승도 일곱 가지 별해탈계 중 하나를 받아 범계하지 않고 지닌다.
- 관점 자공 을 : 自空 他空 완전히 깨닫지만 타공 은 절반만 깨닫는다. ( ) 여전히 인식 대상과 불가분한 찰나식 이 실체로서 존 刹那識 재한다
고 여긴다.
- 수행: ( ) ( ) 십이연기 의 발생을 十二緣起 順 순관 으로 觀 살피고 역관
( ) . 逆觀 을 통해 연기하는 윤회를 멈추는 것에 대해 참구한다.
- 행위: 12 . 성문승과 동일한 두타행을 한다
- 성취 연: 각승의 성취에서 상근기를 가진 수행자는 코뿔소와 같은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하고 그보다 낮은 근기를 가진
수행자는 앵무새와 같은 아라한54)이 된다.
또한 세 가지 서원 기도의 결과로 최종적인 존재가 된다.
연각들은 붓다가 출현하지 않은, 붓다와 성문이 없는 세상에 머무르며 어떤 스승에
게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깨달아 최종적인 연각을 이룬다 연각들은 말이 아닌 행위를 통해 법을 설한다.
3) 보살승(Bodhisattva)
대승의 특징을 가진 보살승은 광활한 방편과 심오한 지혜를 통해 광대
한 영역을 경험한다. 단기적으로는 더 높은 계 界 에서 완전한 선 善 의
경지를 이룸으로써 중생에게 행복과 이익을 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각각의 도 와 지 를 거치면서 더 () () 道 地 욱 위대한 품성을 갖도록 이끌어
준다 때문에 . . 보살승에 한번 들어가면 큰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이다
궁극의 과인 불지佛地를 얻을 수 있는 길로 직접 이끌어 주는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승의 특징을 모두 갖춘 승이라 한다.
- 입문: 보살승의 수행자들은 모든 중생이 행복의 원인과 결과를 지
님으로써 고통의 원인과 결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완전한 성불을 이룰
수 있기를 염원하는 보리심으로 동기를 세워 수행한다 이러한 동기를 .
가지고 보살 서약을 하며, . 서원을 이루기 위해 방편행을 한다 그런 다
음 취하고 끊어야 할 바가 무엇인지 관찰하여 수행한 후 모든 장애를 정
화하고 치유한다.
- 관점: 보살도의 기초로서 일체가 유심 唯心 임을 앎으로써 이원적
인 어떠한 것도 존재하지 않음을 자각하는 견해를 수립한다 중도中道
적인 접근을 통해 모든 현상은 연기에 의한 것일 뿐인 공한 것임을 알
고, 팔부중도八不中道 를 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자공 과
타공他空을 완전히 인식한다.
수행: 보살도의 수행자들은 참구를 통해 이제 二諸 를 각각 익히고
지 관 수행을 · 결합한 요가 수행을 기반으로 37조도품 三十七助道品 수행
을 한다.
- 행위: 자리 自利 를 위해 육바라밀六波羅蜜을 수행하며 이타利他를 위해 사섭법 四攝法 을 실천한다.
- 성취 습기와 번 : 번뇌장 煩惱障 과 소지장所知障 을 모두 끊고 제법의 실상을 깨닫는 궁극적인 불과를 성취한다 자리를 위해 두 가지 종류의 법신( , 法身 Dharmakāya)55)을 성취하고 이타를 , 위해 두 가지 종류의 색신( , 色身 Rupakāya)56)을 성취한다.
2. 외밀교승 끄리야 딴뜨라승 짜리야 딴뜨라승 요가 딴뜨라승
세 개의 외밀교승은 정화 의례와 청정행 등의 금욕적 행위를 강조하기
때문에 브라만의 베다 전통과 유사하다 때문에 . ' ' 베다 금욕주의의 승 이
라고도 한다.
4) ( 끄리야 딴뜨라승 소작所作 딴뜨라 kriya tantra):
끄리야 딴뜨라 혹은 소작所作 딴뜨라 라고 불리는 이 승은 정화, 의
례, 수행 등의 외적인 행위에 집중되어 있다.
- 입문 비밀 : 진언 금강승에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은 관정을 통해
수행자를 성숙시키는 것이다. ( 끄리야 딴뜨라승에서는 보병 관정 寶甁灌
頂bum pa'i dbang) ( ch 의 일종인 수 관정 水灌頂 u'i dbang)을 통해 법신
을 성취하도록 하고 보관 관정( , cod 寶冠灌頂 pan gyi dbang)57)을 통해
색신을 성취하도록 한다 관정을 . 받은 후에 끄리야 요가의 사마야(samaya)58)를 수지한다.
- 관점 : 정화의 토대인 마음의 본성이 공성의 명징한 지혜임을 발견
함으로써 관점을 확립한다 이는 존재와 비존재 현상과 공성으로서의 존재라는 모든 조작적 극단을 넘어선 것이다 이. 렇게 하고 나면 수행자는 정화되어야 하는 상대적인 현상을 완전히 청정한 본존의 특성으로 볼수 있게 된다.
........................
..............................
- 수행: . 끄리야 딴뜨라의 수행은 네 가지 실체를 중심으로 한다
①자기 자신의 실체를 관한다 자기 자신을 사마 . ② 야의 형태로 관상하고
자신의 앞에 있는 지혜로운 존재에게 자신이 스승인 본존을 섬길 수 있
도록 청한다 그럼으로써 공성 종자음 소리 형태 수인 특성의 측면에
서 본존의 실체를 관한다 진언 염송 소리의 실체와 마음과 토대에 집
중한다. ④계속하여 소리와 소리의 정점 을 이어가는 불 頂點 꽃 으로 된
집중의 실체에 대해 관한다.
- 행위: 끄리야 딴뜨라의 수행자는 정화하는 의식과 행위를 통해 신·
구 의를 · 청정하게 한다. , 감로수로 관상한 물로 신체를 씻으며 몸의 정화,
말의 정화, 생각의 정화 의식을 한다 . 외의 내의 비밀 의복의 환복59)을
하고 세 가지 백색 음식인 요거트 우유 버터를 섭취하며 오후 불식
진언 염송을 한다.
- 성취: 단기적인 성취과로 욕계의 릭진60)이 된다.
궁극적으로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깨달은 몸과 아미타불 의 ( ) 阿彌陀佛 깨달은 말
과 아, 촉불( ) 阿閦佛 의 깨달은 마음 중 하나를 지닌 금강총지( 金剛總持
Vajradhāra) . 의 인식을 획득한다
5) (chariya tantra) 짜리야 딴뜨라승 행 딴뜨라 : ( ) 行
짜리야밀교 혹은 행 딴뜨라 라고 불 ' ' 리는 이 승에서는 몸과 말의 외적
인 행동과 내적인 삼매를 얻는 것 모두를 중요하게 여긴다. 짜리야 딴뜨
라의 관점은 요가 딴뜨라와 일치하고 행, 위는 끄리야 딴뜨라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중 딴뜨라 라고도 불 ' (ubhaya tantra)' 린다.
- 입문: 짜리야 딴뜨라승의 수행자는 수 관정과 보관 관정에 금강저 관
정( , rdo r 金剛杵灌頂 je'i dbang), ( , dri 금강령 관정 金剛鈴灌頂 l bu'i
dbang ), ( , ming 명 관정 을 더한 다 名灌頂 kyi dbang) 섯 개의 관정을통해 성숙된다. . 짜리야 딴뜨라의 사마야를 수지한다
- 관점: . 짜리야 딴뜨라의 관점은 요가 딴뜨라의 방식과 동일하다
- 수행 수행자는 자신을 사마 : 야의 존재로 관상하고 자신의 앞에 지혜
본존을 관상한다 그 후 진 . , 언 음절과 수인 본존의 형태에 대한 개념적
수행을 하고, ( ) 궁극적인 보리심에 들어감 머 入駐起 · 무름( )·일어남( )에 대
한 비개념적 수행을 한다.
- 행위: . 끄리야 딴뜨라에서의 행위와 동일하다
- 성취: ( ) 궁극적으로는 앞에 언급된 삼종불에 보생여래 가 더 寶生如來
해져 사종불의 금강계( ) . 金剛界 의 경지에 도달한다
6) (yoga tantra) 요가 딴뜨라승 유가 딴뜨라 : ( ) 瑜伽
요가 딴뜨라승은 지혜와 방편을 결합하는 것으로 현실에 기반한 내적 ,
인 요가 수행을 강조한다.
- 입문: . 총 열한 개의 관정을 통해 성숙됨으로써 입문한다 열한 개
관정은 다섯 가지 제자 관정인 수 관정·· · 보관 관정 금강저 관정 금강령 관
정·명 관정과 여섯 가지 스승 관정인 불퇴( ) 不退 관정 현실의 비밀을 · 보
는 관정···· 허가 관정 예언 관정 확인 관정 찬사 관정이다. 요가 딴드라의
사마야를 수지한다.
- 관점 모든 현상을 금강 : . 계의 본존으로 관한다 공성과 정광명의 가
피를 통해 모든 현상을 개념적 조작을 넘어선 궁극적 차원으로 관한다.
- 수행: . 방편의 요가와 지혜의 요가를 수행한다 방편의 요가에서는
자기 자신을 본존으로 관상 한다 ( ) . 觀想 여기서 관상하는 본존은 다섯 가
지 깨달음과 네 가지 신비로움인 삼매, , , .
.................
..........................
........................원문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