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소개
삼남길은 조선시대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지역을 총칭하는 삼남대로로 해남-강진-광주-익산-천안-서울을 잇는 1,000리 길을 말한다.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문화탐방로다.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다. 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6개의 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ㆍ평해로ㆍ영남로ㆍ삼남로ㆍ강화로가 있다.
이러한 원형길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성한 ‘경기옛길’ 중 2013년 5월 삼남길 경기도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ㆍ설화ㆍ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있어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영남대로
조선시대에 사용된 6대로 중 주요간선도로의 하나로 서울과 부산을 잇는 최단거리의 노선을 '영남대로' 또는 '동래로'라고 불렀다. 문경새재(643m)를 통과한 후 상주에서 대구를 경유하여 부산진에 이르는 이 도로는 현재 경기도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성남, 용인, 안성, 이천을 경유한다. 한강유역과 낙동강유역의 교통은 약 2세기 중엽부터 활발했던 것으로 보이며, 삼국통일 이후 경주를 중심으로 교통망이 본격적으로 정비되면서 영남대로가 본격적으로 성립되었다. 조선시대에 한양을 중심으로 하는 도로망이 체계화되면서 영남대로도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되었으나, 조선초기에는 충주, 말기에는 청주를 경유하여 문경새재를 넘는 것으로 노선이 일부 변화하게 되었다. 영남대로의 연장선은 서울에서 의주에 이르는 의주대로(관서대로)다. '의주-서울-부산'을 잇는 직선은 조선의 5대 도시 한양, 평양, 개성, 충주 상주를 비롯하여 의주, 황주, 광주, 선산, 대구, 밀양, 동래 등의 도시가 위치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간선도로였다. 또한 영남대로와 의주대로를 통해 일본으로의 통신사와 중국으로의 연행사가 왕래하였다. 영남대로는 국제적인 문화와 경제 교류의 허브로서 동아시아 문화가 왕래한 핵심적인 루트였다.
출처: 경기옛길 가이드북 & 패스포트
영남길 최고의 풍광, 구봉산길
구봉산길은 원삼면 독성리에서 백암면 석천리 황새울길로 이어지는 구봉산과 정배산, 조비산을 관통하는 길이다. 용인 동부지역 주민들의 정신적 중심산이 구봉산이고 정배산과 조비산은 구봉산의 지산이라고 할 수 있다. 정배산에서 조망할 수 있는 드라마 촬영 세트장인 드라미아 또한 좋은 볼거리 중 하나이고, 구봉산과 정배산을 지나 만나는 조비산은 수려한 경관과 멋진 암벽이 있어 암벽 등반을 즐기는 사람들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용인버스터미널에서 10-4 버스를 타고 이곳 독성리에서 하차한다.
버스정류장에서 하차 후 직진하다가 논길에서 회전하면 제7길인 구봉산길 시작점이다.
배낭에 잘 넣고 다니던 비옷도 우산도 집에 두고왔는데, 보슬보슬 내리는 비를 맞으며 걷는 중이다.
깊은산속 팬션 옆 산길입구에 마련되어 있는 스템프북 찍는 곳이다.
살살 내리는 비를 맞으며 본격적인 산길로 접어든다.
산속으로 들어왔더니, 내리는 비를 나무들이 잘 받아 준다.
구봉산은 원삼면과 안성시 고삼면의 분기점이 되는 산으로 용인시에 있는 산 중에서 높은 산에 해당된다. 옛부터 산새가 뛰어나 신령스런 산으로 여겨졌으며, 구봉산이라는 명칭은 봉우리가 아홉개라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구봉산 앞에는 무학이라는 마을이 있다고 하는데, 마을이 춤을 추는 지형이어서 무학이라고 부른다는 이야기와 조선의 도읍지를 정할 때 무학대사가 묵었다고하여 무학이라고 부른다는 두 가지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산 밑으로 살짝 보이는 한옥은 MBC 드라미아로삼국시대 이후 건축양식과 생활공간을 반영구적으로 지은 사극 촬영 세트장이다. 이곳에서 촬영한 드라마로는 <주몽>,<선덕영왕>, <이산>, <동이>, <해를 품은 달>, <무신>, <마의> 등으로 한류의 중심지로 떠오르는 관광명소라고 한다.
다행스럽게도 비구름이 걷히는 중이다.
언제 비가 내렸느냐는듯이 햇님이 놀러나왔다.
산길을 걷는 동안 계속 만나게 되는 이름 모를 버섯들이 어찌나 예쁜지. . .
산에서 내려왔더니, 느닷없는 산비탈이 눈 앞에 펼쳐진다. 여기서 우리는 조비산을 가기 위해 무조건 산비탈 위로 직진한다.
산비탈에 이름모를 나무들이 조림되어 있다.
주름치마 모양의 버섯이 예뻐서 한 컷!
산속에 동굴이 다 있다.
암벽등반 마니아들의 외줄 하나에 의지해 맹 연습 중이다.
조비산은 해발 260m로 백암면 용천리 , 석천리, 장평리에 접해 있는 정백산의 지맥으로 새가 나는 형상이라 명명되었다. 특히 다른 산들은 서울로 향하고 있는데 조비산 만큼은 머리를 남쪽으로 두고 있어 "역적신"이라고도 하였다는 재미있는 속설이 있다.
사방이 확트인 정상에서 내려다 보이는 황금 녘은 용인최고의 8경중 6경인 조비산 조망이다.
조비산에서 다시 내려와서 우리는 오늘의 목적지인 황새울입구로 gogo
김해김씨 가족묘라는데, 조비산을 병품삼은 대단한 명당이다.
산에서 내려와서 황새울마을로 가려면 우회전해야 하지만, 우리는 10-4를 타기위해 좌화전 한다.
용인에서 제일 아름답다는 조비산은 황금들판 가운데 한 봉우리가 우둑 솟아 돌을 이고 있는 형상으로 산이 높고 가파라서 빼어난 모양이 기이하게 보이고,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그 모습의 아름다음과 멋이 다양하고 변함이 없다고 한다.
차도로 나와서 좌측에 있는 고개를 넘어가면 10-4를 탈 수 있는 장평 삼거리 버스정류장이다.
이곳에서 10-4를 타고 용인버스터미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