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합 | 영 어 | 불 어 | 독 어 | 스페인어 | 중국어 | 일본어 | 기 타 |
진달래 꽃 (김소월) | 34 | 16 | 3 | 1 | 5 | 2 | 1 | 6 |
국화 옆에서 (서정주) | 31 | 18 | 2 | 0 | 4 | 1 | 2 | 4 |
꽃 (김춘수) | 27 | 17 | 4 | 1 | 3 | 1 | 0 | 1 |
님의 침묵 (한용운) | 25 | 12 | 4 | 1 | 3 | 3 | 1 | 1 |
산유화 (김소월) | 23 | 14 | 3 | 1 | 4 | 0 | 1 | 0 |
출처: 김흥규 편. 『한국문학 번역서지 목록』. 한국문학 번역금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시 분야에 있어 가장 많은 작품을 번역한 번역자는 김재현 (2328), Kevin O'Rourke (627), Brother Anthony (557),고창수 (436)
등인데, 이 분들의 진달래 꽃 영역시를 모두 소개하겠습니다. 안선재(Brother Anthony)의 7가지의 진달래꽃 영역시도 함께
올렸으니 그 다양한 맛을 음미해 보시길 바랍니다. David R. McCann (하바드대)의 “진달래꽃” 읽기의 일곱가지 방법은 외국인
이 수십년에 걸쳐 진달래꽃을 잘 이해하게 되는 여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아 번역이란 이 얼마나 어려운 작업이란 말입니까 !
나중에 우리 문학에 정통한 외국인 번역가 맥켄, 안선재, 오록 이 세분은 꼭 따로 한 번 포스팅 해 볼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
김소월(金素月)의 진달래꽃
-----------------------------------------------------------------------------------------------------------
1) 데이비드 맥켄 역 (from The Silence of Love)
Azaleas
When you leave,
weary of me,
without a word I shall gently let you go.
From Mt. Yak
in Yongbyon
I shall gather armfuls of azaleas
and scatter them on your way.
Step by step
on the flowers placed before you
tread lightly, softly as you go.
When you leave
weary of me,
though I die, I'll not let one tear fall.
※ 데이비드 맥켄 (David R. McCann)
하버드대 한국문학 박사, 하버드대 한국학 연구소 소장
국제펜클럽한국본부 28회 번역문학상(1994) (『김남조 시선』)
-----------------------------------------------------------------------------------------------------------
2) 데이비드 맥켄 역 (The Columbia Anthology of Modern Korean Poetry)
Azaleas by Kim So Wol
When you go away
Sick of seeing me,
I shall let you go gently, no words.
From Mount Yak in Yongbyon
An armful of azaleas
I shall gather and scatter on your path.
Step by step away
On the flowers lying before you,
Tread softly, deeply, and go.
When you go away,
Sick of seeing me,
Though I die; No, I shall not shed a tear.
-----------------------------------------------------------------------------------------------------------
3) 안선재 역
“Azaleas” by Kim Sowol
When you go away at last,
sickened with the sight of me,
know that I shall let you go,
saying nothing, make no fuss;
but climbing high on Yongpyon’s hills,
there I’ll pick azalea flowers,
armfuls of purple, just to spread
along the pathways as you go.
Then go, with muffled parting steps
trampling down those flowers you find
strewn before your departing feet;
and when you go away at last,
sickened with the sight of me,
know that for the life of me
I’ll not shed tears then, no, not one.
※ 안선재 (An Sonjae, Brother Anthony)
프랑스 떼제(Taize) 공동체 수사, 서강대 영문과 명예교수
국제펜클럽한국본부 30회 번역문학상(1996) (천상병 시집『귀천』영역 『Back to Heaven』)
-----------------------------------------------------------------------------------------------------------
4) 안선재 역
When seeing me sickens you
and you walk out
I'll send you off without a word, no fuss.
Yongbyon's mount Yaksan's
azaleas
by the armful I'll scatter in your path.
With parting steps
on those strewn flowers
treading lightly, go on, leave.
When seeing me sickens you
and you walk out
why, I'd rather die than weep one tear.
-----------------------------------------------------------------------------------------------------------
5) 케빈 오록 역 (from Looking for the Cow)
'Azaleas"
If you grow so sick of me
you want to go,
I'll let you go-gently-I won't say a word.
I'll pluck an armful of azaleas
on Yaksan, Yangbyon:
I'strew them in your path.
Tread gently
on these flowers:
they deck your parting steps.
If you grow so sick of me
you want to go,
Though I die, I won't shed a tear.
※ 케빈 오록(Kevin O'Rourke)
골롬반외방선교회 신부, 경희대 영문과 명예교수
-----------------------------------------------------------------------------------------------------------
6) 양주동 역
Azaleas
When you go away weary of me
Having not a word, I will let you go.
Young-Byun Yaksan azaleas,
An armful of them I will pluck and spread on your way.
Treading softly step after step, go your way on my flowers.
※ 양주동(梁柱東, 1903-1977). 호는 무애(无涯). 시인, 국·영문학자.
-----------------------------------------------------------------------------------------------------------
7) 김종길 역
When you go,
Weary of me,
I’ll fondly see you go.
I will gather
Armful of azaleas
From Yaksan to adorn your path.
Tread softly,
Step by step,
Upon the flowers as you go.
When you go,
Weary of me,
I’ll bite my lips to stop my tears.
※ 김종길(金宗吉, 1926~ )시인. 영문학자. 전 고려대 영문과 교수
-----------------------------------------------------------------------------------------------------------
8) 김재현 역
If you go away
Through with me
I will quietly let you go.
I will gather azleas in armfuls
At Yaksan hill in Yongbyon
To scatter them on your path.
Tread with a tread,
Light and gentle,
On the flowers as you go.
If you go away
Through with me
Never will I weep though I perish.
※ 김재현(金載玹, 1934 ~ ) 시인, 번역가, 아주대 영문과 명예교수
국제펜클럽한국본부 27회 번역문학상(1992) (『Traditional Korean Verse Since the 1900S』)
-----------------------------------------------------------------------------------------------------------
9) 고창수 역
When you hate to see me
And decide to leave,
I’ll quietly let you go.
I’ll pluck an armful of azaleas
In the Yaksan hills at Yungbyun
To strew over your path.
Tread softly on the flowers,
Each step soft and silent.
When you hate to see me
And decide to leave,
I’ll never never shed tears.
※ 고창수(高昌秀 1934 ~ ) 시인. 외교관(주파키스탄대사관 대사 역임)
국제펜클럽한국본부 39회 번역문학상(2006) 수상 (99 Modern Korea Poets)
-----------------------------------------------------------------------------------------------------------
10) 영문 위키피디아
When you’d leave in distaste of my show,
Without a word let me resign myself
Dearly to your departure.
Azalea flowers from Yaksan at Yong-Byun!
I will pluck them armful and bring,
To spread on your way to leave.
Step after step on your departure,
Be pleased to tread softly and gently
On those strewn flowers.
When you’d depart in distaste of my show,
Let me never, ever shed tears
Even to my black death.
http://en.wikipedia.org/wiki/Kim_Sowol
-----------------------------------------------------------------------------------------------------------
11~15) 무명 번역 5편
Kim Sowol - Azaleas
when seeing me sickens you
when you go
i will send you without a fuss
without a word
yongbyun's yakasan mountain's
azaleas
i will scatter by the armful in your path
your parting steps
on those flowers
tread lightly as you go
when seeing me sickens you
when you go
i'll die before i shed a tear
---
The azaleas
If you go away
Through with me
I will gently let you go
I will gather an armful
Of azaleas at Yaksan. Youngbyon
And scatter them on your path
Tread with a tread
Soft and light
On the flowers as you go
If you go away
Through with me
No tears I will show though I perish
---
Azaleas
If you would go,
Tiring of me,
Nothing will I say.
I shall pick azaleas
At Yaksan, Yungbyun,
And deck the path you tread.
Tread gently
On my azaleas
Where the path is decked.
If you would go,
Tiring of me,
No cry shall you hear of mine.
---
Azaleas
When you leave,
weary of me,
I'll bid you silent farewell.
An armful of azaleas
culled from the hill
I'll strew over your path.
Step after step,
on the flowers
Tread lightly, as you walk.
When you leave,
weary of me,
I'll not shed a drop of tear.
---
The Azaleas
When you leave if it is repulsive to see me,
I'll send you with no saying.
Azaleas, Yaksan in Yeongbyeon
I'll scatter them as much as I can hold them in my arms
when you leave.
Tread the flowers that is placed at your steps lightly.
When you leave if it is repulsive to see me,
I'll never weep if I die.
-----------------------------------------------------------------------------------------------------------
16~20) 안선재(An Sonjae; Brother Anthony)의 진달래꽃 번역 7편
from Translating Korean Poetry (Modern Poetry in Translation. Volume 13. 1998)
<2편은 앞서 소개(3번~4번)되었습니다>
A cycle of seven concise movements inspired by 7 translations by Brother Anthony (An Sonjae) of
the same poem ‘Azaleas’ by the Korean poet Kim So-Wol.
Chindallae-kkot (Azaleas)
Nae po'gi'ga yok'kyo'wo
ka'sil'tae'ei'nun
mal'opsi ko'hi po'nae tu'ri'u'ri'da
1) 원시의 어순 형식에 맞추어
Me seeing revolted
go-you-will-time-at
word-without quietly send you-I-will.
Yak-mountain in Yong'pyong
azaleas (object)
fill-arms you-will-go path-on spread-I-will.
Going-you footsteps
placed those flowers (object)
lightly crunch tread go-please.
Me seeing revolted
go-you-will-time-at
die-I-even not tears shed-I-will.
2) 아주 무난한 번역
When seeing me sickens you
and you walk out
I'll send you off without a word, no fuss.
Yongbyon's mount Yaksan's
azaleas
by the armful I'll scatter in your path.
With parting steps
on those strewn flowers
treading lightly, go on, leave.
When seeing me sickens you
and you walk out
why, I'd rather die than weep one tear.
3) 행(line)수를 조금 여유롭게, 약강격(iambic)을 살려서
When you go away at last,
sickened with the sight of me,
know that I shall let you go,
saying nothing, make no fuss;
but climbing high on Yongpyon's hills,
there I'll pick azalea flowers,
armfuls of purple, just to spread
along the pathways as you go.
Then go, with muffled parting steps
trampling down those flowers you find
strewn before your departing feet;
and when you go away at last,
sickened with the sight of me,
know that for the life of me
I'll not shed tears then, no, not one.
4) 각운(rhyme)을 넣어서
I know you'll leave me one fine day.
You're sick of me, is what you'll say;
dumb and numb, I'll send you on your way.
Ahead of you I'll scatter showers
great armfuls of azalea flowers
from Yongbyon mountains' springtime bowers.
And as you go, each step you make
lightly on the flowers that break
will echo as the leave you take.
I know you'll leave me one fine day.
You're sick of me, is what you'll say;
but I'll not weep then, come what may.
5) 쾌활한 풍으로
The day will come when you loathe me
and leave me;
Goodbye, that's all, it's over.
I'll have them strew your road with
azaleas
from Yaksan in Yongbyon
Then be off with you
marching briskly
over those withered petals.
The day will come when you loathe me
and leave me;
you think I'll cry? Not on your life. I won't!
6) 우울한 풍으
When you say goodbye
turn aside and walk away
I'll say farewell
and not ask you why.
I'll gather flowers for love of you
azaleas from some springtime hill
and scatter them beneath your feet
as you walk away.
Then go
crushing with your parting steps
my humble offerings of flowers.
When you say goodbye
turn aside and walk away
I tell you now that on that day
I'll not shed a tear.
7) 서구독자 취향에 맞추어
One day you'll walk out on me, I know,
saying you need a change of air;
you hope I understand, you do so hate a fuss.
I suppose you'd love to see me dancing
somewhere out ahead of you,
scattering azaleas in your path, perhaps?
I can just see you there, prancing along
squashing those poor flowers underfoot
as you fade away into the sunset.
Oh yes, you'll walk out one day, I know,
saying you need a change of air;
you think I'll mind? I won't, you know.
-----------------------------------------------------------------------------------------------------------
David R. McCann (하바드대)의 “진달래꽃” 읽기의 일곱가지 방법
하나의 완벽한 시는 흥미를 자아내고 저항적이면서 마음이 동하는 호기심과 감응, 그리고 연구의 대상임
과 동시에, 한편으론 몇 가지 궁극적인 측면에서 일체의 분석을 거부한다.
한국의 문학 비평에서, 소월의 시는 적대적인 거부와 찬사를 동시에 불러 일으켰다. 두 입장은 급진적으
로 다른 두 종류의 민족주의적인 해석에 기반 을 둔다. 칭찬하는 집단은 소월의 시를 일제 식민지 치하에
서의 한국인의 감 정 표현으로 언급하고, 다른 집단은 1980년대의 민주정부에 기반한 역사상의 수정주의
관점에서 소월과 그의 시가 한국인의 실제 상황을 도외시했다고 비판한다.
나는 1966편에 평화유지군 영어 선생으로 한국을 처음 방문한 이후로 몇 십 년 간 소월의 시들을 읽으면
서 다른 무엇보다 그 시들을 영어로 번역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나는 한국 비평 인식의 변
화를 주시해 왔다. 학교 교육에서 한국의 민족주의적인 교과 과정에 상당한 관심과 자원을 집중시킨 박
정희 정권에서는 소월과 그의 시가 일제 식민 치하에서의 한국인의 슬픈 목소리로 읽혔다. 매년 발간되
는 독학서인 자습서들은 소월의 시와 동시대의 다른 시들이 만해나 상화의 시에서처럼 일제에 대한 적극
적인 저항을 담은 한국인의 민족 감정의 표현으로, 혹은 소월이나 주요한의 간접 적이고 우회적이며 한
발 물러선 감정으로 설명했다. 최근 들어 더 많은 정 기 간행물들이 당시 시들에서의 말의 의미나 장르의
문제에 관여하고 있는 것 같다.
이 기간 동안 나 자신의 읽기는 계속 바뀌었다. 시의 이해에서 가장 구체 적으로 달라진 점이라면, 이 글
의 중심인 소월의 "진달래꽃"이 시의 의미를 문자 그대로 이해하는 한 대학원생의 관심 대상에서 시의 모
호한 의미를 낱말의 구성으로 읽을 줄 아는 중년층의 즐거움으로 옮겨갔다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이었다
는 것이다. 이 글의 제목을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간단한 질문이다. 이 외국 독자가
소월의 "진달래꽃"을 이해하는 데 어떤 성공과 실패를 해왔는가? 말할 필요도 없이, 이 시는 나의 최선이
자 최악의 노력을 들이게 했다.
처음 읽기: 산문의 의미, 그리고 소리의 초기 개념
내가 소월의 시를 처음 접한 것은 김 동성 교수가 번역한 소책자에서였다. 나근 그 책을 안동에 있는 한
가게에서 발견했고, 한국어를 연습할 좋은 방법이란 생각으로 그 시들과 번역된 글을 읽기 시작했다. 시
를 읽는 작업에 들어갔을 때, 종종 내가 이해할 수 없는 낱말이나 문구, 그리고 다른 문제들에 부닥치곤
했다. 이로 인해 나는 안동 농림 고등학교의 선생님들과 대구로 가는 기차나 버스에서 다른 여행객들과
많은 흥미 있는 토론을 벌일 수 있었다. 20세기의 여러 시인들의 이름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미
국의 시적 상황과 달리, 모든 사람들이 소월을 알고 그의 시들 가운데 몇 편 정도는 외우고 있는 듯했다.
나는 소월의 시의 의미, 시어, 이별이나 헤어짐의 시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나는 놀라운 음악성, 특히
첫째, 둘째, 마지막 연의 마지막 행의 음악성을 발견했다. 영변과 약산이 어디에 있는지를 물어보고서 북
한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즈려'의 의미를 묻고서, 그것이 어디 위를 살짝 밟는다는 의미를 배웠다.
나는 그 책을 계속 읽어 나가는 동안, 그 시와 다른 시들이 나로 하여금 내 손으로 번역해서 좀더 내 것으
로 만들고 간직하는 시도를 해보라고 부추기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내가 번역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것
을 알고 있었지만, 나는 지금도 진행 중인 번역 과정에 들어갔다. 나는 그 시를 외워서 쓰는 연습을 했고,
그리하여 어떤 안동의 막걸리 집에서 그 학교의 선생님들 몇 분과 저녁을 같이 했을 때, 나는 노래를 부
르는 대신 식탁보에 종이를 올려놓고 소월의 시를 다 쓸 수 있었다. 물론, 그렇게 할 때마다 내가 왼손으
로 쓴다는 사실 때문에 그 작업의 신비감은 더해갔다. 지금은 그 작업이 암기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
지 궁금하다.
두 번째 읽기: 한국인들의 목소리
소월의 시를 계속 읽으면서, 1920대부터의 다른 시인들과 일본의 한국 점령에 관하여 배우기 시작했다.
나는 이 육사, 한 용운, 이상화, 윤 동주를 비롯한 많은 시인들의 시를 읽었고, 일본 식민지 정부의 많은
제재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와 한국적인 시를 동시에 창조하려는 1세대 한국 시인들의 의식을 적으나마
종합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소월의 많은 시들에 등장하는 슬픔은 한국인들의 목소리, 즉 나라를 빼앗긴
데서 오는 슬픔과 실망의 목소리와 동일하다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몇 년 후, 대입 시험을 준비하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매년 발간되는 독학서인 자습서를 처음 읽고서, "진달래꽃"을 한
국인들의 슬픈 목소리로 보는 더욱 상세한 설명을 접했다. 또 만해의 "님의 침묵" 을 진짜 문자 그대로 해
석하여 그것을 1919년 3.1 독립 운동의 실패의 결과 한국에 이어져오는 침묵으로 읽었다. 이 시에서 '님'
은 한국인을 의미했다. 그러한 시 해석에 관하여, 전에 내가 다른 사람들과 그 시에 관해 이야기했을 때
들었던 설명과 일치했기 때문에, 나는 그러한 해석을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만족스러웠다. 그러나 소
월의 시나 만해의 시 자체 내에 한국이나 일본, 한국 사람들, 흑은 20세기에서 그 시가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해서 어떠한 설명도 없다는 것이 당시로서는 충격이었다.
세 번째 읽기: 사랑하는 젊은 남성, 혹은 젊은 여성
지금으로부터 상당히 오래 전인 대학원 2년 동안, 우리 과는 한국 문학에 관심 있는 대학원생들과의 만남
을 정중하게 제안한 비평가 이 어령 선생의 방문을 받았다. 방문 당시 대학원생들의 수는 예닐곱 명 정도
였다. 우리는 어느 날 오후 이 선생을 만났는데, 그는 얼마 동안 한국어로 한국 문학과 한국 문학의 특징
들에 관해 말했고, 우리에게 질문이 있냐고 물었다. 나는 달리 질문할 게 생각나지 않아서, 본인이 아주
좋아하는 시인데 소월의 "진달래꽃"에 관하여 몇 말씀 해 주실 수 있느냐고 크게 물었다. 이 선생은 말을
시작하면서, 모든 사람이 알다시피 그 시에서의 화자의 목소리는 여성의 목소리라고 거의 지나가듯이 말
했다. 순간 나는 머리가 아찔했다 꽤나 분명하게 포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면에서, 문체와 전체적인 어
조와 시적 태도가 남성이 아닌 여성이라는 생각이 내겐 한 번도 들지 않았었다. 나는 그것을 지각할 정도
의 한국어에 대한 깊은 이해력이 없었기 때문에 확신에 찬 이선생의 관찰을 받아들여야만 했다.
소월의 시를 다시 읽고 듣기 시작하자, 이보다 앞선 민요가 얼른 떠올랐다 "아리랑"과 "가시리"도 여성의
체념적이지만 끈기 있는 인내의 관점에서 비슷한 상실의 순간을 형상화한 것 같았다. <개벽> 잡지에 실
린 그 시의 원문에서, 그 시가 민요시, 즉 민요에서 수반되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주제, 어조, 목소리
, 관점 모든 것이 민요와 관련되는 것 같았다. 이러한 관련성으로부터 다음에는 운율 구조로 이 시를 읽
게 되었다.
네 번째 읽기: 3음보의 민요 운율
"진달래꽃"의 주제와 어조는 한국 민요와의 관련성에서 전통적일지 모르나, 운율의 구조는 한국 민요에
대한 교과서들이 "가장 특징적인"이라고 칭하는 4음보, 4강 운율이 아니었다. 그러나 "아리랑"과 "가시리"
도 4음보의 운율이 아니고, 둘 다 네 박자의 운율과 역할이 다른 세 박자의 율동적인 군, 즉 '3음보'를 가
지고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에서처럼 남는 음악적인 장단은 각 행의 마지막 말에 할당된다. "진
달래꽃"의 행들은 동일한 3음보 구조인데, 그 시에서 시구의 첫 두 줄은 2행 연구로 갈라지는 3음보가 된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 에 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다섯 번째 읽기: 민요 시인
다시 말해, 운율적인 구조의 작시법의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잡지 <개벽> 에서 말한 민요시라는 용어로
다시 되돌아갔다. 이 때쯤, 나는 김 억이 쓴 놀라울 정도로 감동적이고 지각 있는 평론을 통독했다. 김 억
은 오산 중학교와 그 후 서울의 백제 학원에서 소월의 은사였는데, 그 평론은 1934년 12월에 요절한 젊
은 시인을 기려서 1935년에 출판되었다. 그 평론에서 김은 그 젊은 시인이 민요 계통의 시에서 가장 현
저한 업적을 이루었고, 가장 멋있고 파급력이 큰 시들이 민요 형식으로 쓰여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시
인 자신은 민요 시인이라는 통칭을 싫어했다고 회상했다. 소월이 그 통칭을 싫어한 이유가 책에는 나와
있지 않았으나, 나는 좌익 작가이자 비평가인 김기진이 1925년에 <개벽>에 실은 "문학의 해" 라는 논평
을 읽었을 때, 하나의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소월에 대한 짧은 논평에서, 김기진은 소
월의 시가 민요 형식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예쁘장한 표현 외에는 고찰할 것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당연
히, 이후로 소월은 민요 시인이라는 통칭을 싫어했다. 이 주제의 범위는 김 종길 시인이 "진달래꽃"과 아
일랜드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그는 천국의 천을 소망한다"라는 시와의 밀접한 유사성을 논평한
덕분에 계속 확장되었다 마침내 나는 모든 한국 독자들이 이미 알고 있어야 했던 사실, 즉 김 억이 예이
츠의 시를 번역해서 "진달래꽃"이 첫 발간되기 직전인 1921년에 『고통의 춤』 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정말로 두 시의 행들에는 밀접한 유사성이 있었다. 예이츠는 연인의 발아래 펼쳐
놓기 위해 천국의 천을 가지기를 원하면서, 그녀에게 "당신이 내 꿈 위를 걷는 것이므로" --그대의 발에
내 꿈을 펴노니/내 생각 가득한 꿈을/그대, 가만히 밟고 지나라.--고 말하면서 언제든지 그 위를 밟으라고
부추긴다. 소월의 시는 진달래꽃을 따러 영변까지 갔다가 되돌아와서 뿌려 놓은 뒤 헤어지는 님에게 "사
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라고 말한다. 그러나 행위에서 나타나는 유사성 외엔, 두 시에는 커다란 차
이가 있다. 예이츠의 시는 의도적인 방법으로 시의 균형을 이루고 다소 현대적인 감각을 표현하는 천국
의 천, 달, 그 밖의 천상의 이미지를 시작으로 해서 시인의 꿈, 자신만의 소유로 나아가는 후기 낭만주의
나 빅토리아 시대의 감각의 흐름을 거의 따르고 있는 것 같다. "진달래꽃"은 전체적으로 주관적으로 보이
는데, 전통적인 이미지와 목소리, 운율 구조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주관적인 형식 때문에 거의 현대적이다
. "진달래꽃"에서 중요한 것은 수신인의 변하는 태도와 주관적인 마음 상태를 읽는 것이다. 이 시에는 이
별을 아무리 고통스럽게 표현해도 민요시의 특징처럼 보이는 객관성, 즉 제 3자가 없다 무엇보다도, 소월
과 김 억이 번역한 예이츠를 이어줄 수 있는 것은 시와 시인의 또 다른 현대적인 특징, 다시 말해 한국 문
학계의 세계주의적인 성질을 말할 수 있겠다. 당시 외국 시는 읽혀지고 번역되고 있었고, 김 억이 "소월
에 대한 기억"에서 언급한 것처럼 열광적으로 논의되었다. 다른 식의 표현, 다른 감각, 이미지, 흑은 구조
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들이 한국 문학계에서 실현되고 있었다. 한 한국 시인이 단순한 모방을 넘어서서
완성도가 높은 아주 감탄할만한 서정시를 쓸 수 있었다는 것, 또 20세기의 어느 시들 못지 않게 그 시인
이 한국어의 가능한 표현과 문학적인 자원을 최대한 이용했다는 것이 한국 대 아일랜드 시의 위상에서
문화적인 성취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들은 추상적인 개념이고, 현대 문학사에서 그 추상적
인 개념론을 구상화하여 행위자로 바꾸는 것은 요지를 놓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신, 우리는 소월이 젊
고 재능 있는 시인이며, 그의 작품 세계는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역사적인 상황을 넘나들 정도로 넓고 깊
다. 사실, 김기진은 소월이 잘못된 계획에 사로잡혀 있는 것을 비판했지만, 그의 비평이 소월의 시를 읽을
때와 역사적인 배경 지식에 유용한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월의 시는 시 자체로서 그 공격을 반박
한다.
여섯 번째 읽기 : 주문(呪文)
시 "진달래 꽃"의 주제를 구성하고 있는 이별은 그 시의 허구적 시기, 즉 문학적 시기에 일어났던 일이 아
니다. 시는 그 시의 사건이 만들어질 때, 미래의 어떤 시간을 예상하고 있다. 예상(豫想)하는, 앞을 내다보
는 시점은 매우 다른 읽기를 제시하는데, 이는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일어날 것이 염려되지 않
는 사건 혹은 순간과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별은 화자가 원하고 있는 무엇인가이며, 상상으로,
그는 아주 멀리 떠나고 그것을 기념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만약에 그렇다면, 아마 시는 이 시의 청자가 멀
리 떠나도록 하는 하나의 주문으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누구 혹은 무엇이 청자인가 하는 것이
흥미로운 질문이다. 사람일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그러나 이 시에 대한 모든 읽기와 내가 의문을 가졌
던 수년에 걸쳐 나에게 제공되었던 그 시에 관한 모든 해설을 기억해 보면, 그것은 전부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일제 강점과 한국인의 그에 대한 경험과 관계가 있다는 가정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 시의 주제
가 일본과 한국의 관계일까? 최소한, 일본이 물러가기를 바라는 소망을 표현하려고 한 것일까? 『진달래
꽃』과 비슷한 시기에 출판된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봄의 정신을 일깨우고 일본 침입
자를 쫓아내기 위한 주문이며 땅따기, 즉 땅밟기의 의식이다. 황진이의 유명한 시조 "청산리 벽계수야"도
적어도 그것이 어떻게 보수적인 유교주의 선비를 매혹하였는가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주문으로 작용한다.
삼국유사의 "처용가" 또한 그 이야기 속에서 처용의 아내를 공격했던 역신을 몰아내기 위한 주문이었던
것 같다. 주문 걸기는 한국 시에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진달래꽃" 역시 그 역사의 일부라고 이야기될
수 있다. 이런 식의 읽기로부터 상실에 대한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시가 다소 공격적이고 거의 반어적으
로 도전적인 시로 변하는 흥미로운 이차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이 시의 보다 공격적인 읽기는 3행의 다양한 변조의 표현에 의해서 강조 된다. 만약 '말없이 보내 드리오
리다' 대신 '그냥 갈게 새끼야'가 놓인다면. 이 시의 이러한 변조의 표현은 고 정병욱 교수가 처용가에 대
한 그의 연구에서 지적했던 한국문학의 특징인 억제를 생각나게 한다.
일곱 번째 읽기: 시 자체에 관한 완전한 서정시
"진달래꽃'에 대한 이러한 독서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실마리 중의 하나는 한국의 역사, 특히 일본 식민
지 강점의 역사이다. 그래서 모든 인기가, 이 시의 의미에 대한 이러한 의의를 포함하지 않는 에세이와는
관계가 적다. 시의 의미에 관한 이러한 설명의 결과로 끊임없이 나타나는 하나의 어려움은 외국인 독자
가 그 시와 그 의미에서 제외된다는 점이다. 식민지 시대를 직접 경험하지 못한 한국의 젊은 세대들이 점
점 더 많이 제외되고 있으나, 그들은 늘 역사 교과과정에 있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학교 교과과정이 매우
다른 곳, 이를테면 미국이나 북한에서 이 시를 인는 것은 또 다를 것이다. 일례로, 2년 전에 북한을 일주
일간 방문하는 과정에서 소월과 그의 시가 아마도 김 기진이 그 시들을 비판한 지점과 동일한 이유 때문
에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매우 놀랐다.
시가 반드시 그 시기에 관한 것일 필요는 없다. 우리가 시를 그 자체로서 시의 주제를 읽어야 한다면 단
순한 독자로서, 관계에 싫증이 난 청자로서 읽어야 한다면 어떻겠는가? 시 자체에 집중하면 우리는 시의
장치들과, 전환, 대조들에 또한 주목할 수 있다. 이 시의 3행은 말이 없을 것이라고 진술 혹 은 약속하면
서 여전히 말들은 시의 균형을 위해 계속된다. 이 시는 청자, 독 자를 멀리 보낼 것을 약속한다. 그리고 2
연에서 헤어짐을 위해 진달래꽃을 따고 뿌리는 엉뚱한 행동을 함으로써 이별을 연기시킨다. 3연의 행들
에서 독자는 꽃을 밟고 가는 자신의 길을, 마지막 연에 이르러 첫 번째 연을 상기시키는 반복으로 돌아가
게 되기 때문에, 그 순간 혹은 가는 행위는 꽃에 의해서 더욱 연기된다.
또한 꽃과 가는 행위 사이의 뒤집어진 반복에 주목할 수 있다. 즉, '가실 때에는'과 '진달래꽃' 사이, 순서
는 다르지만 아, 이, 애 모음이 반복되는 곳. 그 두 개의 문구는 단독으로 각각 서로의 시각적인 반영인
두 연들의 2행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시들이, 심지어 "진달래꽃"같은 서정시조차 단순히 그 차체일 수
있을까? 그 자체의 주제로서 읽힐 수 있는 시들 중에서 다른 예를 찾을 수 있다. 소월의 작품과 거의 같은
시기에 출판된 한용운의 "나룻배와 행인"은 교화 혹은 어떤 식으로든 한국에 관한 탐색에 "대한" 것으로
읽힐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탐색은 나룻배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는 시 자체에 관한 것으로 생각될 수
도 있다. 시에서 행인(行人)은 독파, 즉 사람 인(人)과 시를 따라 이동하는 행(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
생 편력과 시작품의 관점에서 서로가 크게 다른 시인으로 평가되어 왔던 소월과 만해 사이의 해석적 비
교 가능성이라는 점을 지적하기 위해 나는 이러한 수렴적 독서에 관해 말한 것이다. --만해는 맹렬히 투
신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로 평가받는 반면, 소월은 김기진과 1980년대의 비평적 반발, 그리고 데카당스
운동에 의해 낮은 평가를 받았다. 외국인 독자로서는 동시대의 시인 사이의 공통점에 집중할 수 있다는
사실이 때때로 1920년대의 한국 시인들에 관해 소급적으로 적용되어 온 과도한 국수주의적 독서에 대한
유용한 진정제 역할을 한다.
시 읽기, 시에 의해 읽혀지기
나는 수많은 사람들과 시인들과 교수들, 선생님들과 독자들과 대화하고 만나면서, 김동성의 소책자 "진달
래꽃"의 여정을 따라왔다. 나는 몇 가지 나의 길잡이들을 언급하였다. 이제 여기에 안 선재 수사를 추가
해야 한다. 안 수사가 몇 년 전에 출간한 논문에서 소월의 시를 한꺼번에 여러 가지 판본으로 소개한 뛰
어난 번역은 이후로 줄곧 나를 사로잡았다. 시적 구조와 그 시인의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나는 시조와
가사, 그리고 민요에 대한 공부로 돌아갔다. 나는 천이두 교수의 충고와 우정어린 도움을 기억한다. 그는
"전통과 소월"이라는 당신의 논문 사본을 내게 보내 주었고, 아주 흥미로웠던 전북대학교 방문을 몇 년
전에 주선해 주셨다. 대화를 짧게 끝낸 후, 그 도시에 있는 음식점에서 교수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노래하
고, 한국시와 "노란 샤쓰 입은"과 같은 대중가요에서부터 민요, 가곡, 판소리, 그리고 다른 장르들을 천 교
수가 직접 노래하는 것을 듣는 동안 그날 저녁 시간이 정말 빨리 지나갔던 것을 기억한다. 그런 저녁 시
간이 노래방에서 가능할까? 의심스러운 일이다.
소월의 시는 나를 다시 한 번 서울로 이끌었고, 나는 또 다시 다른 사람들의 친절로 거듭 태어났다. 나는
소월의 "진달래꽃" 같은 시가 어떤 것이며,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지를 확실하게 깨달았다. 나는 미국
에서 영어 번역판을 가지고 돌아다니면서 그곳에서 새로운 독자들, 그러니까 소월 시의 형식과 패용, 소
리, 그리고 복잡하고 상반된 논쟁에 사로잡힌 자신들을 발견하는 코넬대학과 하버드대학의 학생들을 차
례로 만났다.
생각해보면, 내게 소월의 시나 한국 시나 한국 문화와 역사를 꾸준히 설명해준 많은 선생들과 교수들과
작가들과 다른 사람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말이 우연한 기회에 소월에 관한 책이나 논운을 읽게 될 학생
들이나 다른 이들에게 전해지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느낌이 든다. 문학적인 양식을 단순히 따라간
것이지만, 그것이 문학이 발전하고 살아남는 길이 되리라는 것을 당시의 우리는 누구도 알지 못했을 것
이다.
한국 문학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참여는 향국 문학의 생명력의 척도이다. 미국을 방문하는 사람이 로버
트 프루스트에 대한 질문에 기꺼이, 기분 좋게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을 그렇게 많이 만날 수 있을까? 분
명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읽고 암송하는 애송시들을 기록하고 그들이 그 시들을 좋
아하는 이유를 설명하여, 애송시 기록 보관소를 설립하려는 현 시대의 국민적인 계관시인 로커트 핀스키
의 성공적인 노력은 미국에서조차 시를 살리려는 시도이다.
시인 지망생으로서, 번역가로서, 온갖 종류의 시의 독자로서, 내가 이 나 라에 오게 된 것과, 김소월 같은
시인과 그의 시를 잘 아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 것은 정말로 행운이었다.
_____________________
국제펜클럽 한국본부에서 개최한 제7회 국제심포지움(2000.8.25)에서 발표된 것.
-----------------------------------------------------------------------------------------------------------
|
삭제된 댓글 입니다.
레오형제님 반갑습니다.
안선재(안토니) 수사님이나 오록 신부님..
우리 문학의 세계화에 가톨릭인이 기여하는
모습에서 자긍심을 느끼지 않을 수 없군요.
아오스팅님! 정말 감사합니다.
어린시절 처음 진달래꽃을 접하고 한동안 머리속에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란 시구가 떠올라 잠 못 이르던 때가 생각나...
무지한 제 부탁을 귀하고 소중한 시간까지 기꺼이 할애하시어...고맙습니다. 너무도 큰 기쁨으로 잘 보았습니다....
협맘님, 기쁘게 보셨다니 저도 기쁩니다.^^
"Poetry begins in delight, and ends in wisdom!”
(시는 기쁨으로 시작하여 지혜로 끝난다!)
로버트 프로스트의 유명한 시론입니다.
협맘님, 어린시절 기쁨으로 접한 저 진달래꽃이란 시가
오랜 세월 거친 후 드디어 지혜로 승화되었을 것 입니다.
데이비드 맥켄 같은 분은 수십년 동안 진달래꽃을 읽으며
자꾸 새로움을 발견했다죠. 심지어 화자가 여성인 줄
이어령 교수님을 통해 들었을 때 아찔했다죠. 우리에게
너무도 당연한 사실이 번역으로 접하는 외국인에게는
새로운 사실이 되는 것이죠. 번역이 그 여성적 뉘앙스를
전하지 못한것이죠. 아직 한국에서 노벨문학상이 못나오는
이유이기도
정리와 검색의 도사이신 우리 아-팅님이 또 열받으셨나보네요. 저는 다 읽지는 못하고 그림만 감상하고 숙제하러 갑니다. 천천히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