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선도학교 지원: 전체 마이스터고를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로 지정하여 학점제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 마이스터고 연구‧선도학교: (’19년) 39교, (’20년) 51교
- 학점제 안내서 개발‧보급, 컨설팅 제공 등을 지원하고 전문교과Ⅱ 특성에 최적화된 수강신청 시스템을 보급한다. 또한, 특성화고 및 일반고 학점제 제도 도입 및 본격 시행을 준비하기 위하여 추가 과제를 검토하고,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모델 발굴 등 연구‧선도학교 운영을 통한 연구를 지속한다.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계고학점제지원센터 운영 중(’19~)
- 신산업 및 지역산업 수요 반영: 학점제 도입을 계기로 신산업 및 지역산업 수요 반영을 강화하여 마이스터고 취지에 부합하도록 한다. 현장 전문가가 참여한 위원회 활성화*, 산업체 협약 등 현장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하여 산업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직업교육의 현장성 및 취업률을 제고한다.
* 학교교육과정위원회에 산업체 현장전문가를 1/5 이상 참여 확대, 산업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산학협력위원회 운영 활성화 등
- 교육청‧지자체 등과 연계‧협력하여 지역산업의 인재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단위학교의 직무경로와 과목개설에 반영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마이스터고가 미래 신산업 분야로의 학과 개편을 추진할 경우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 (안)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하이파이브)을 보완하여 산업계‧학교 현장 간 플랫폼으로 활용, 교육청‧지자체의 연계가 활발한 혁신교육지구 등부터 시범 운영 후 확산
- 교원 및 시설 지원: 시·도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해 교원의 전문성 강화, 교·강사 수급 지원, 현장중심 실습환경 조성을 위해 힘쓴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진로‧취업지도, 다과목 지도를 위한 부전공 연수, 산업현장 직무연수(고용노동부 연계 등), 교육과정 전문 교원 양성 연수(’19~, 교당 2명) 등을 확대 실시한다. 학생 진로에 따른 다양한 직무경로‧과목개설 수요를 대비하여 산학겸임교사 등 현장전문가의 교육 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취업지원인력 및 진로전담교사를 확충**할 예정이다.
* 산학겸임교사 정교사(2급) 자격 취득 특별과정 활성화, 사범대학 재직자 특별전형 개설 및 신산업분야 전문가 임기제 채용 법적 근거 마련(’22.~) 등
** 취업지원인력: (’19.) 40교 → (’22.) 51교(100%), 진로전담교사: (’19.) 47교 → (’22,) 51교(100%)
- 한편,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공동실습소의 시설과 기자재를 정비·확충하고, 일반교실 및 실습실 등 직업교육에 특화된 교육 환경을 구축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을 지원한다.
※ 학교시설 안전 관리 기준을 개정하여 직업계고 실습 환경 개선을 통한 학생 안전 강화
- 학점제 홍보 및 인식 개선: 마이스터고 학점제 설명회 및 연수, 학생‧학부모 간담회 등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마이스터고 성과 공유를 통해 특성화고 및 일반고로 우수사례를 확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