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 가축분뇨 처리 방안 고심 -경남신문
가축 분뇨의 해양투기가 오는 2012년부터 전면 중단됨에 따라. 각 자치단체가 가축분뇨의 재활용 등 효과적인 처리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9일 거창군에 따르면 군내에서 발생되는 연간 가축분뇨 규모는 한·육우와 젖소 2만6000여 마리에서 14만여t. 닭 126만 마리에서 4만3000여t. 돼지 6만4000여 마리에서 12만8000여t 등 총 31만2000여t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소와 닭에서 발생되는 분뇨는 대부분 퇴비로 재활용되고. 돼지분뇨 12만8000여t은 68%인 8만7000여t이 자가 및 전문업체를 통해 퇴비나 액비로 재활용되고. 나머지 4만1000여t은 위탁업체를 통해 해양에 투기돼 왔다.
군내 해양배출 양돈농가는 23호로. 투기를 위한 수수료만도 t당 2만4000원씩 연간 10억원이며. 20여 정착농원 축산농가들의 경우 연간 1만3000여t의 가축분뇨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경남도는 정부의 가축분뇨 해양배출 중단 방침에 따라 10일까지 도내 각 시·군에 가축분뇨처리 대책을 보고토록 지시해 놓고 있다.
거창군의 대책은 ‘자원화’와 ‘정화방류’ 등 2가지. ‘자원화 방안’은 사업비 25억원을 들여 거창북부농협의 현 퇴비공장을 증설. 축산분뇨를 퇴비와 액비로 생산해 재활용하는 것이고. ‘정화방류’는 150억원을 들여 현 거창읍 양평리 분뇨처리장 인근에 축산폐수 공공처리장을 설치해 축산분뇨를 수거 처리하는 방식인데, 비용과 효과면에서 볼 경우 자원화 방안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 같은 처리대책은 해양오염 방지 효과와 함께 현재 해양투기 중인 양돈농가는 물론 비교적 기반이 약한 정착농원 양돈농가들의 축분 처리비용 부담도 크게 덜게 돼 축산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