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놓고 천국을 이야기하다니!
그것은 지구를 모독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헨리 데이빗 소로(1817~ 1862)의 <윌든>의 한 구절이다. 1845년 3월 그는 윌든 호수 근처에 방 한 칸짜리 오두막을 짓고 2개월 동안을 혼자 살았는데 이때의 기록이다.
숲으로 들어가면서 그는 삶의 본질적인 것들만 대면해보고 싶었고, 죽음을 맞게 되었을 때, 헛되지 않게 살았음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칩거의 이유를 밝혔다. 지병이던 폐결핵으로 44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1862년 5월 6일, 병상에 누운 그는 여동생에게 자신이 쓴 <콩코드 강과 메리액 강에서의 일주일>의 마지막 장을 읽어달라고 부탁했다.
"나슈아 어귀를 지나쳤고, 곧 새먼 부룩도 지나칠 즈음, 우리의 배를 가로막는 것은 바람밖에 없었다."
이때 소로는 나직이 중얼거렸다.
"이제야 멋진 항해가 시작되는군."그리고는 잠시 뒤에 숨을 거두었다.
오랫동안 그를 사로잡았던 생각은 '큰 사슴'과 '인디언'이었다.
미국 원주민 역사를 마무리하진 못하겠지만 메인 주에 대한 에세이는 단행본으로 낼 수 있겠다고 생각하며 온 힘을 다해 글을 썼다.
이 원고는 사후에 <메인 주의 숲>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세계의 보전은 야생성에 달려 있다."는 그의 충고는 오늘날 우리가 각별히 되새겨야 할 경구라고 생각한다.
오래 전, 나는 그의 오두막을 찾은 적이 있다. 메사추세츠 주정부가 복원해놓은 예닐곱 평 정도의 작은 통나무집이다.
나무로 된 간이침대와 의자 하나, 거기에서 "모기의 울음소리에 호메로스의 진혼곡을 들을 수 있고, 이른 봄 얼음이 갈라지는 소리에서 우주 창조의 소리를 엿들었으며 조미료를 치지 않은 거친 옥수수빵과 쇠비름풀을 삶아먹는 소식으로 미각을 정화하여 산기슭에서 따먹은 몇 개의 산딸기로 영혼을 살찌우는 하늘이 내려준 식량을 얻어낼 수 있었다."고 한 그와 만나며 내 식량이 갑자기 부끄러웠던 걸 기억한다.
첫댓글 State of Maine
https://ko.m.wikipedia.org/wiki/%EB%A9%94%EC%9D%B8%EC%A3%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