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서동처(猫鼠同處)
고양이 ‘묘(猫),
쥐 ‘서(鼠)’,
함께할 ‘동(同)’,
있을 또는 곳 ‘처(處)’라는
네 자로 조어돼 있다.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이다.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고양이와 쥐는 천적 관계다.
한 자리에 그냥 두면
쥐는 고양이의 좋은 먹잇감이 된다.
해서 굴을 파고 들어와 곡식을
훔쳐먹는 쥐를 잡기 위해
고양이를 키우곤했다.
과거에 쥐는 숨어 엎드렸다가
도둑질을 하는 놈으로,
고양이는 그런 쥐를 붙잡는
엄정한 관리로 빗된 이유였다.
한데 원수 사이인 둘이
서로 해치지 않고
함께 살고 있다면
도대체 무슨 일이 있는 걸까.
불보듯 뻔하다.
도둑을 지켜야할 관리가
그 직분을 포기하고
도둑과 한통속이 된 거다.
위아래가 부정하게 결탁해
나쁜 짓을 일삼고 있다는 얘기다.
통탄할 노릇이다.
구당서(舊唐書)는
중국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낙주(洛州)의 조귀(趙貴)라는 사람 집에
고양이와 쥐가 같은 젖을 빨며
사이좋게 지냈다고 한다.
이를 본 그의 상관이
쥐와 고양이를 임금에게 바쳤다.
그러자 대다수 중앙의 관리들이
상서로운 일이라며 기뻐했다.
그러나 오직 최우보(崔佑甫)란 사람만이
“이 사람들이 실성(失性)했다”라며 한탄했다.
도둑인 쥐를 잡아야 할 고양이가
쥐와 손을 잡고 있으니
능히 그럴 만하다.
묘서동처(猫鼠同處)의 유래다.
오늘날 쥐는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위법,탈법과 불공정 등을
서슴치 않는 범법자를,
고양이는 범법자를 처벌,감시,감독,하거나
공정하게 법을 만들고 집행하는 공무원,
국회의원, 검경, 법관, 등을 비유한다.
국정을 운영하고 책임지는 권력집단도
물론 고양이에 해당된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대장동 개발 의혹,
LH 사태, 부동산값 폭등,
나라 전체가 어려운 상황에서
각종 부정부패가 속출한 데 따른 것이다.
“입법·사법·행정의 삼권분립이
묘서동처 격이라면,
한 마디로 막 나가는
이판사판의
아사리판 나라,라
왠지 가슴에 찡하다.
-옮긴 글-
출처: 바람에 띄운 그리움 원문보기 글쓴이: 학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