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54 안강1
455 안강2
456 안강3
457 웅략1, 시변압반1
458 웅략2, 시변압반2, 7월 백제 지진원 죽음
459 웅략3, 시변압반3
460 웅략4, 시변압반4
461 웅략5, 시변압반5, 6월 무령왕 탄생, 7월 곤지 입경, 8~10월 지배층 몰살, 11월 웅략 즉위
462 웅략6, 3월 웅략 공립, 4월 오국 사신,
463 웅략7, 8월 전진옥 일족 70인 학살,
464 웅략8, 2월 오국 사신 파견, 신라가 고구려군 격파.
465 웅략9, 3월 신라정벌 실패,
466 웅략10
467 웅략11
468 웅략12, 4월 오국에 사신 파견,
469 웅략13
470 웅략14, 정월 오국 사신 도착,
471 웅략15
472 웅략16
473 응략17,18,
474 웅략19
475 웅략20, 한성을 함락한 장수왕이 더 이상 남하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 백제는 오랫동안 왜국의 관가(왕비족), 혼인동맹으로 왜국에서 백제 구원군 출발.
476 웅략21, 백제의 왕비족인 문주에게 웅진을 주었다고 함. 삼국사기에 금강유역 최초 출현, 왜국 각료들이 거의 다 사라짐. 다 어디로 갔지?
477 웅략22, 정월 후계(태자)를 세움, 7월 괴기 기록(웅략 사망).
*22년, 봄 정월, 기유삭(1일), 백발황자(白髮皇子)를 황태자로 삼았다. 가을 7월, 단파국(丹波國) 여사군(餘社郡) 관천 사람인 서강포도자(瑞江浦嶋子)가 배 를 타고 낚시를 하고 있었다. 이때 큰 거북이를 얻었는데, 갑자기 변하여 여자가 되었다. 이에 포도자(浦嶋子)가 반해서 부인으로 삼고 뒤따라 서 함께 바다로 들어갔다. 그리고 봉래산(蓬萊山, 죽으면 간다는 신선이 사는 곳)에 이르러 두루 신선들을 만났다.
478 <없는 연도>
479 웅략23, 5월 수군으로 고구려 공격, 8월 웅략이 죽었다고 함. 10월 태자가 옥새를 받음(장사지냄), 백제 동성왕 즉위.
480 청령1, 10월 웅략을 장사지냈다고 함. 대반옥실대련과 평군진신조대신을 제외한 웅략시대 각료가 다시는 안 보임.
475년 겨울에 고구려 장수왕이 한성을 함락한 후 더 이상 남하하지 않는 이유가 나오는데 백제가 오랫동안 왜국의 관가(왕비족)였다는 것입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보면 4세기 초 비류왕부터 두 나라가 혼인동맹을 맺고 있었으니 맞는 말입니다. 그러면 백제가 위험에 빠지면 왜국은 반드시 구원군을 보내야 합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보면 문주가 웅진으로 천도하는데 목협만치와 조미걸취가 도왔다고 합니다. 이 말은 한성이 공격받자 웅략이 백제에서 가장 가까운 큐슈지역 군대를 급파했고 그 지휘관이 목협만치와 조미걸취라는 뜻입니다. 왜국에서 혼인동맹에 의하여 구원군이 온다는 보고를 받은 장수왕은 더 이상 남하를 않고 돌아갑니다. 웅략이 급파한 백제 구원군 규모는 1~2만명으로 추정됩니다. 그래야 문주가 신라에서 데려온 1만 군대를 합하여 고구려군 3만과 맞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백제 왕실이 모두 죽어 대가 끊기자 웅략이 477년에 후계자를 세운 후에 모든 각료를 이끌고 백제로 천도합니다. 그래서 웅략조에 나오는 수많은 왜국 각료들이 웅진천도 이후에 모두 사라지는 것입니다. 고구려군에게 잔국이 토벌되는 396~397년에 왜국으로 천도했으므로 80년 만에 다시 백제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일본서기는 공립이 제때 안 되면 앞이나 뒤의 공립된 사람의 재위기간에 포함되어 버리므로 즉위 퇴위는 기록을 잘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웅략은 괴기 기록이 나타나는 477년 7월에 죽었습니다. 웅략이 475년에 파견한 백제 군대 지휘관인 목협만치(73세)와 조미걸취도 이때 죽었을 것입니다. 웅략이 갑자기 죽자 시신은 왜국으로 이송되고, 왜국은 후계자의 공립을 준비할 시간을 벌기 위하여 그의 죽음을 숨깁니다. 왜왕 무의 국서가 가는 478년은 일본서기에 없습니다.
이로부터 2년 3개월 후인 479년 10월에 장사를 지내고 태자가 옥새를 받았는데, 이때 장사를 지냈다고 하면 죽자마자 바로 장사를 지낸것이 되어 모순이므로, 옥새 받은 것은 그냥 두고 장사만 1년 늦추어 기록하였습니다. 일본서기는 해는 잘 속여도 달은 웬만해서는 속이지 않습니다. 무령왕릉 지석을 보면 당시 부여씨 왕실은 죽은 지 2년 3개월 후에 장사를 지냈습니다. 웅략은 부여씨 왕실의 법도에 따라 장사지내진 것입니다. 일본의 곤지신사는 지금도 매년 음력 10월에 장사(제사)를 지냅니다.
웅략의 재위기간: 461년 11월 즉위, 477년 7월 퇴위, 총 17년 재위.
이 재위기간은 앞의 " 1. 왜왕 무와 웅략천황의 재위기간 비교"의 송서의 왜왕 무의 재위기간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백제로 돌아간 곤지는 왕이 되지 못했습니다. 웅진으로 천도해보니 곤지로 대표되는 왜국 귀국 세력, 문주로 대표되는 친 신라 세력, 해구로 대표되는 전 백제 왕족 세력(한성백제의 해씨왕통은 구이신왕으로 끊기고 목지국 왕성인 부여씨가 비유왕으로 즉위), 거기에 백씨외 연씨등 웅진 토착 세력의 4대 세력이 맞서고 있었으니 내전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문주는 왜국에서 귀국한 곤지에게 제2인자인 내신좌평을 주고 백제를 공동 통치하자고 한 것입니다. 하지만 왕이 되기 위해 천도했는데 되겠습니까? 5월에 내란이 발생하고 7월에 곤지가 죽었습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문주왕 3년(477), 5월 웅진에 흑룡이 출현하였다. 7월 내신좌평 곤지가 죽었다.
일본서기와 삼국사기 정확히 일치합니다.
477년 내란에서 패한 곤지의 큐슈지역 군대는 부여씨의 근거지인 영산강유역으로 후퇴합니다. 부여씨는 영산강 중류에서 옹관묘를 쌓던 마한계 성씨로, 3세기 후반에 목지국 왕비족이 되고, 4세기에 목지국 왕족이 되면서 성이 필요해지자 자신들이 부여에서 왔다고 하여 부여로 성을 삼은 것입니다(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百濟는 본래 목지국(미추국) 국명이었습니다.
479년에 동성왕이 왜국에서 백제로 돌아와 즉위하는데, 곤지가 백제를 구원하기 위하여 파견한 큐수지역 군대의 무력이 그 배경입니다. 그래서 이후 영산강유역에 전방후원분이 나타나는데 큐슈 양식인 것입니다. 한성백제의 양대 지배층이 해씨(왕족)와 진씨(왕비족)였는데, 진씨가 해씨와 갈라져 웅진천도 후 왜국에서 돌아온 부여씨를 지지한 것이 내부적으로는 동성왕에게 상당한 힘을 보탰을 것입니다.
일본서기는 웅략이 갑자기 병이 깊어 태자가 국사를 보았다고 하는데 최고 권력자가 국사를 못 본다는 것은 이미 죽은 것입니다. 웅진에서 웅략이 갑자기 죽자 그의 시신을 왜국으로 실어오는데 그의 죽음을 숨깁니다. 후계자가 공립할 준비가 전혀 안 된 상태에서 왕의 죽음이 알려지면 내란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웅략이 477년 7월에 죽자 왜국 왕실은 웅략의 죽음을 숨기고 유송에 사신을 보내, 462년에 왕이 되었다고 유송에 통지한 왜왕 무가 마치 아직도 살아있는것처럼 해서 책봉을 간청합니다. 책봉으로 시간을 벌어보고자 한 것입니다.
462년에는 왜왕 무가 책봉 같은 것은 전혀 요구하지 않고 스스로 7국의 통치자(목지국 진왕)임을 자칭하는데 478년의 국서는 비통함이 전체에 흐르고 책봉을 간청함으로써 과연 이 두 왜왕 무가 동일인이지 의심스러다는 생각을 들게 합니다. 무의 국서로부터 무의 신변에 매우 안 좋은 일이 발생했음을 추정할수 있습니다. (나중에 무의 국서를 함께 읽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지요)
왜왕 무의 국서가 478년에 유송에 도착해했으므로 국서는 477~478년 사이에 보내진 것입니다. 누가 국서를 보냈습니까? "왜왕 무의 국서이니 무가 보낸 것이 아닐까요?" 라고 말씀하시는 분도 있는데, 백제 구이신왕 때 죽은 선왕인 전지왕의 책봉을 받습니다. 죽은 사람도 책봉을 받습니다. 국서를 보낸 사람은 "당시 외교권을 가진 사람입니다." 가 답입니다. 일반적으로외교권은 최고 권력자가 행사하기 때문에 477~488년 사이의 왜국의 최고 권력자가 누구냐를 보면 됩니다. 참고로 백제 구이신왕 때의 최고 권력자는 전지왕비인 팔수부인이었으므로 팔수부인이 남편이 책봉을 요구한 것입니다.
477년 7월 곤지 사후 왜국의 최고 권력자는 말다왕자(동성왕)였습니다. 그러면 왜왕 무의 국서는 동성왕이 아버지의 죽음을 숨기고 대신 보낸 것입니다. 이는 다른 방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479년에 외교권을 가진 동성왕이 백제로 가 버린 후에 왜국은 외교권을 상실하고 더 이상 중원국가에 사신을 보내지 못합니다. 왜국이 외교권을 회복하는 것은 소아마자가 북해도를 제외한 일본열도 전역을 통일하는 7세기 초입니다.
동성왕이 백제로 돌아간 후 청령이 왜국의 통치자가 되었으나 곧 461년 10월에 곤지가 죽인 우현왕 여기의 아들들에게 권력을 뺏깁니다. 무령왕이 즉위하마자 곤지의 5번째 아들인 남제왕자를 왜국에 파견하여 직할통치하게 한 것이 계체천황의 등장입니다. 동성왕 이후 6세기까지 왜국은 백제의 지방행정구역으로 22대 청령천황 이후는 모두 백제의 지방관들입니다. 응신-웅략까지의 왕들과는 전혀 위상이 다릅니다.
삼국사기=일본서기=송서=무령왕릉지석=곤지신사, 현존하는 모든 사료가 단 하나의 오차도 없이 정확히 일치합니다.
동성왕이 백제로 돌아가 왕이 되었는데 귀족들이 동성왕에게 왕비를 세우고 공립하라고 요구합니다. 아버지 때는 한성백제가 있어서 거기서 왕비를 데려왔지만 지금은 한성백제가 멸망하고 없는데 어디서 왕비를 데려오느냐고 하니 신라라도 가서 혼인동맹을 맺고 왕비를 데려오라고 합니다. 결국 동성왕은 그들의 등쌀에 밀려 구제도에 따라 신라와 혼인합니다. 공립제도는 왕을 압박하는 수단이 된 것입니다.
[추신] 어떤 한일고대사 전공 교수님이 동성왕이 왜국에서 와서 백제왕이 된 배경이 웅략 23년조에 나오는 5백 명의 축자국 군대 덕분이라고 했는데 5백 명으로 백제왕이 됩니까?
첫댓글 송서에서는 왜왕 무가 478년 전후로 즉위했다고 나와 있으므로 일본서기의 웅략의 재위 기간과 확실하게 다르지요 왜왕 무의 국서 내용에 부형 즉 아비와 친형이 갑작스럽게 사망해서 부형의 상을 치르는 상황이라는 표현 내용은 갓 즉위한 새왕의 정황을 담은 색채가 강한 내용이라 18년전에 즉위했다는 웅략 천황의 재위 정황과 거리가 먼 내용으로 웅략이 그래서 왜왕 무가 될수 없는게 자명한 법입니다 송서에 기록된 왜왕 무가 웅략이라는 주장은 왜왕 무의 국서 내용을 제대로 고려치 않은 무리한 주장일수밖에 없지요
"송서에서는 왜왕 무가 478년 전후로 즉위했다고 나와 있으므로"
=> 송서의 어떤 내용을 근거로 왜왕 무가 478년에 왕이 되었다고 하시는지 모르겠는데(처음 듣는 내용입니다) 송서에 왜왕 무는 462년에 이미 왕이 되었다고 나옵니다. 따라서 그의 즉위는 462년 이전입니다.
世祖大明六年(462) 「倭王世子興,奕世載忠 作籓外海 稟化寧境 恭修貢職。新嗣邊業 宜授爵號 可安東將軍 倭國王。」 興死 弟武立 自稱使持節 都督 倭.百濟.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 七國諸軍事 安東大將軍 倭國王。
송서에 왜왕 무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462년이나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478년을 뜻하는 연도가 안 나와도 삼국사기와 일본서기만 보면 유송에 사신을 보낸 이유를 알 수 있으므로 그 연도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462년의 자심감(7국제군사 자칭)과 전혀 다르게 비통함으로 가득찬 478년의 왜왕 무의 국서를 한 줄씩 검토해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과거와 미래 송서 왜전의 대명 6년(462년)의 잘못 해석하시는데 송서 왜전 ;"제(濟)가 죽자, 세자인 흥(興)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세조(世祖) 대명(大明) 6년(462)에 조를 내려 말하기를, "왜(倭)의 왕세자 흥(興)은 여러 대에 걸쳐 충성을 바쳐왔고, 바다 바깥에서 번국이 되어 교화를 받고 그 변경을 편안케 하였으며, 공손히 조공해왔다. 새로 변방의 업(業)을 이었으니, 마땅히 작호(爵號)를 내려 안동장군·왜국왕으로 한다."하였다."
흥(興)이 죽자 아우인 무(武)가 즉위하였는데, 스스로 칭하기를 사지절·도독왜백제신라임나가라진한모한칠국제군사·안동대장군·왜국왕이라 하였다.
위의 송서 대명6년의 기사는 남조 조정이 무의 형인 흥을 왕세자에서 왜국왕으로 승진 책봉시킨다는 성격의 내용이지
무가 그해에 즉위했다고 설명하는 기사가 아닙니다 왜국왕 책봉 이후의 다음 문장 내용에서 흥이 죽고 무가 즉위했다는 내용들은 대명6년(462년)이후에 벌어진 후속 연도에 벌어진 사건 팩트들을 언급 설명한 것이지 흥 책봉 당해년도인 462년에 벌어진 사건들을 언급한게 아니었습니다
@과거와 미래 님이 웅략의 왜왕 무 동일인 설의 근거로 인용하는 송서의 462년은 일본서기에서 웅략의 즉위연도로 기록된 456년과 6년의 연도차이가 너무 많이 날수밖에 없어서 전문 기록인 일본서기와 맞지 않은 송서의 연도 기록만 가지고 웅략을 왜왕 무와 동일인이라고 보기 힘든게 그런 이유입니다 그리고 연도차이뿐만 아니라 왜왕 무의 국서에 부형의 상을 치르고 있다는 내용은 462년 즉위설에 반대되는 내용이라 웅략 왜왕 무 동일인 논리대로 462년에 즉위한 왜왕이 재위 18년이나 될때까지 남조 송 같은 타국에 사신을 보내지 않다가 18년이 흐른 늦은 시점에 와서 부형을 상을 당하고 계승하는 사실을 늦게서야 알릴수가 있는지요 아무리 교통 거리상의 장시간을 이유로 들어도 그렇게 3,4년 이상을 걸린다는게 말이 안되지요 그래서 왜왕 무가 웅략이 될수 없는게 그 때문입니다 478년 국서에 부형을 상을 치르는 상황이라고 말한 왜왕 무가 그래서 웅략이 되기 힘들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