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05월18일(토요일) 몽가북계 종주 산행일정
산행지 : 몽가북계 종주
[화악지맥
한북정맥상의 도마치봉에서 남동쪽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화악지맥이다. 이 능선이 경기 제1 고봉인 화악산華岳山(1,468.4m)~실운현~응봉(1,436.3m)으로 이어진다. 응봉에서 화악지맥은 잠시 남으로 방향을 바꿔 춘천시 사북면과 가평군 북면 경계를 이루는 촉대봉(1,125m)을 들어 올린다.
이후 화악지맥은 남동쪽 홍적이고개에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몽덕산夢德山(690m)으로 향한다. 몽덕산에서 화악지맥은 남쪽으로 향한다. 남쪽으로 향하는 화악지맥은 가덕산駕德山(857.4m)을 지나 북배산北培山(869.6m)을 빚어 놓는다. 북배산을 뒤로 하는 화악지맥은 약 4km 거리에 계관산鷄冠山(일명 큰촛대봉·733.6m), 약 1km 더 나아가 작은촛대봉(665.4m)을 들어 올린다.
작은촛대봉에서 남쪽으로 가치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이 약 5.6km 거리인 석파령席破嶺에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북한강에 막혀 불쑥 들어 올린 산이 춘천 삼악산三岳山(645m)이다. 작은촛대봉에서 석파령 방면 능선을 분가시킨 화악지맥은 방향을 서남쪽으로 바꾼다. 서남쪽으로 향하는 화악지맥은 남쪽 아래 북한강과 거의 평행선을 이루며 나아가다가 물안산(일명 앞산·441.2m)과 보납산(330m)을 빚어 놓은 다음, 여맥들을 자라섬 인근 북한강에 가라앉힌다.
북배산과 계관산은 수도권 등산인들에게 사계절 인기 있는 산이다. 이 두 산은 북쪽 몽덕산에서 시작되어 남쪽 가덕산~북배산~계관산까지 이어지는 방화선 능선으로 유명하다. 이 방화선 능선은 동쪽 춘천시 서면 서상리~방동리~덕두원리, 서쪽 가평군 북면 화악리와 목동리 경계를 이룬다.
강원도와 경기도 도계道界이자 화악지맥인 방화선은 사계절 옷을 갈아입는다. 봄이면 방화선을 따라 온갖 봄꽃들이 아지랑이와 함께 피어오른다. 여름에는 초록빛 비단을 보는 듯한 초원과 어우러진 유난히 많은 싸리나무들이 보랏빛 꽃들을 피워내 금수錦繡를 이룬다.
가을도 장관이다. 가을에는 지난여름 초록 비단으로 보였던 초원지대가 가슴을 쓸어내는 억새군락으로 변모變貌해 등산인들 마음을 거머잡는다.
겨울에는 서북풍과 함께 날아온 눈발이 억새풀을 뒤덮은 방화선 어디에서나 올려다 보이는 모산母山, 화악산 설경이 일품이다.]
산행코스: [ 이상원미술관 정류장~(1.1km)~홍적고개~(2.1km)~몽덕산~(2.2km)~가덕산~(2.6km)~북배산~(4.8km)~계관산~(3.7km)~상명월리 버스 정류장 ] (16.5km)
산행일 : 2024년05월18일(토요일)
날씨 : 청명한 날씨 [춘천시 사북면 : 최저기온 14도C, 최고기온 25도C]
산행코스 및 산행 구간별 산행 소요시간 (총 산행시간 7시간23분 소요)
* 05:50~08:25 구산역에서 6호선 지하철을 타고 신내역으로 가서 경춘선으로 1차 환승하여 춘천역으로 간 후 춘천역 1번 출구로 이동 [2시간35분 소요]
* 08:25~08:30 춘천역 정류장까지 도보로 이동 [5분, 251m 이동]
* 08:30~08:50 춘천역 정류장에서 이상원미술관 정류장으로 가는 사북2 버스 승차 대기
* 08:50~09:37 사북2 버스를 타고 춘천역 정류장에서 이상원미술관 정류장으로 이동 [47분, 44개 정류장 이동]
* 09:37~09:52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사북면 지암리에 있는 이상원미술관 정류장에서 산행출발하여 홍적고개까지 도보로 이동
* 09:52~10:42 몽덕산(690m) 정상으로 이동
[몽덕산(夢德山)은 가평군청에서 북쪽으로 20km 떨어진 높이 690m의 그리 높지 않은 산으로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춘천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몽덕산의 서북쪽으로는 화악산·응봉·촛대봉, 남쪽으로는 가덕산·북배산·계관산과 연결된다. 몽덕산의 북쪽과 동북쪽으로 흐르는 계류는 지암천으로 유입되어 북한강의 춘천호로 합수되고, 서남쪽의 홍적천은 화악천으로 흘러들어 북한강과 합수되는 가평천으로 연결된다. 몽덕산에는 참나무와 잣나무가 잘 자라고, 산행길에 싸리와 억새를 볼 수 있으며, 산세가 깊기 때문에 산새를 쉽게 만날 수 있다.
몽덕산은 홍적 고개를 출발점으로 하는 몽가북계의 시점으로 대체적으로 포근한 육산에 능선이 완만하고, 오르내림이 크지 않으며 조망이 좋아 산꾼들에겐 인기가 높은 산행지 중 한 곳이다. 몽덕산, 가덕산, 북배산, 계관산은 산악인들이 자주 찾는 등산 코스로 알려져 있다.
몽덕산 정상에서는 주변의 화악산(1,468m), 매봉(1,436m), 북배산(867m) 등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넓은 편이며 많이 가파르지 않고 오르막이 심한 곳은 안전 로프가 설치되어 있어 부담 없이 오를 수 있는 곳이다.
능선에는 싸리나무와 억새풀이 숲을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산길을 걸을 수 있고 전망도 매우 좋다.]
* 10:42~10:50 사진촬영 후 휴식
* 10:50~11:50 가덕산(858m) 정상으로 이동
[가덕산(駕德山)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와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가덕산(駕德山)은 북쪽에 위치한 몽덕산에서 받은 덕에 덕을 더 받은 산이라는 설과 가평에 있는 모든 덕은 혼자 다 차지하는 산이라는 설이 있지만 출처가 정확하지 않다.
가덕산의 북쪽으로는 몽덕산, 남쪽으로는 북배산·계관산과 이어진다. 가덕산의 동쪽으로 흐르는 계류는 지암천으로 유입되고, 서쪽으로는 계곡을 따라 경덕천이 흐르다가 화악천으로 유입된다. 가덕산은 정상 부근에 주능선을 따라 수백 평에 이르는 넓은 억새 군락이 펼쳐져 있다. 가덕산의 해발고도는 858m이다.
가덕산은 주변에 위치한 몽덕산과 북배산, 계관산을 함께 종주하는 등산 코스로 이용된다. 가덕산은 북면 목동리 큰멱골에서 계곡을 따라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또는 북면 목동리 작은멱골에서 북배산으로 오른 다음 1시간 정도 능선을 타고 가덕산에 이르는 방법과 북면 화악리 윗홍적에서 몽덕산으로 오른 후 능선을 타고 가덕산으로 가는 방법이 있다.
가덕산은 대체로 등산로가 넓고 굴곡이 심하지 않아 겨울철에도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한편, 2019년 1월 24일 가덕산 2부 능선에서 불이 나 낙엽송 묘목 등 임야 5ha를 태우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 11:50~12:00 사진촬영 후 휴식
* 12:00~13:20 북배산(867m) 정상으로 이동
[북배산(北倍山)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와 강원도 춘천시 서면 덕두원리·서상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북배산(北倍山)은 가평읍의 북쪽에 위치해 있어 유래한 지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배산의 북쪽으로는 몽덕산·가덕산, 남쪽으로는 계관산과 이어진다. 몽덕산에서 북배산을 거쳐 계관산에 이르는 주능선에는 폭 10m 정도의 방화선이 설치되어 있어 조망이 시원하다. 가을철에는 억새꽃이 피어나 풍경이 아름답다. 북배산의 해발고도는 867m이다.
북배산은 주변에 위치한 몽덕산, 가덕산, 계관산을 함께 종주하는 등산 코스로 이용된다. 북배산 산행은 주로 목동2리 맴내를 지나 작은멱골을 경유하거나 싸리재를 경유해 정상에 이른다. 가을철 억새를 즐기려면 작은멱골의 남쪽 계곡인 싸리재계곡으로 들어가 싸리재에서 북배산으로 올라가는 코스를 이용해야 한다.]
* 13:20~13:35 사진촬영 후 간식
* 13:35~15:40 계관산(664.7m) 정상으로 이동
[계관산(鷄冠山)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와 강원도 춘천시 서면 당림리·덕두원리에 걸쳐 있는 산.
계관산은 가평읍 개곡리에 있는 계간촌에서 유래한 지명이라 전해진다. 계간촌은 ‘모양이 닭처럼 보이는 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계관촌’이라고도 하여 ‘계관산’이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계관촌’보다는 ‘달개지’라는 지명으로 부른다.
계관산의 북쪽으로는 몽덕산·가덕산·북배산, 남서쪽으로는 월두봉과 이어진다. 계관산 서쪽의 개곡천은 가평천과 합수되어 북한강으로 유입되고, 남동쪽의 덕두원천은 북한강의 의암호로 흘러들며, 남쪽으로 흐르는 계류 역시 북한강으로 유입된다.
몽덕산에서 계관산으로 이어지는 주능선 마루에 폭 20여 미터의 방화선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곳에 억새가 빼곡히 들어서 있어 가을에는 황금빛으로 물든다. 계관산의 해발고도는 664.7m이다.
계관산은 주변에 위치한 몽덕산과 가덕산, 북배산을 함께 종주하는 등산 코스로 이용된다. 일반적인 등산 코스는 북배산으로 올라 능선을 타고 남동쪽으로 내려와 계관산을 들러 하산하기도 하고, 가덕산과 몽덕산까지 함께 종주하기도 한다.
계관산만 산행할 때는 가평군 북면 목동리 싸리재에서 시작하여 능선을 타고 계관산에 이른 다음 가평읍 개곡리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과 강원도 춘천시 서면 당림리에서 오르내리는 코스가 있다. 높이에 비해 등산로가 길어 4~5시간 정도 소요된다.]
* 15:40~15:50 사진촬영 후 휴식
* 15:50~17:00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덕두원리에 있는 상명월리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산행 완료
* 17:00~17:30 춘천시 서면 덕두원리에 있는 상명월리 버스 정류장에서 온의사거리 버스 정류장으로 가는 서면2 버스 승차 대기
* 17:30~18:00 서면2 버스를 타고 상명월리 버스 정류장에서 온의사거리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 [30분, 27개 정류장 이동]
* 18:00~18:06 남춘천역 1번 출구까지 도보로 이동 [6분, 359m 이동]
* 18:06~18:30 남춘천역에서 신내역으로 가는 경춘선 열차 승차 대기
* 18:30~21:05 남춘천역에서 경춘선을 타고 신내역으로 가서 6호선으로 환승하여 역촌역으로 이동 [2시간35분 소요]
몽가북계 종주 산행지도
몽가북계 종주 산행 고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