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에 비해 연비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제외하면 시동이 꺼질 염려가 없고 조작이 간편하여 운전 편의성 부분에서는 확실히 앞섭니다.
하지만, 자동변속기가 편리한 시스템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자동기어만을 단순히 이용하여 주행한다면 자동차의 숨겨진 힘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에 자동차를 훨씬 더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하기위해 자동변속기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를 보면 보통 P, R, N, D가 있고 차종에 따라 2L(또는 S, 2), L(또는 1)이 구분되어 있거나 세미오토라 하여 +,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나 R, N 그리고 D는 모든 운전자들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패스하고 다른 나머지 기능들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도 몰랐던 자동 변속기!!

보통 2L이나 L을 사용하시는 분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요즘은 숫자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2L이나 L, 또는 숫자 표시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단을 특정 변속단 이하로 고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D에서는 자동변속기가 차량의 속도에 따라 1속에서 4속까지 자유롭게 변경되는 것에 반하여, 2L로 표기되어 있는 변속단에서는 1속과 2속 사이에서만 변속되게 됩니다.

그러므로 2L은 경사가 심한 내리막 길 운행 시 엔진브레이크가 필요할 때 사용하고, L은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1단으로 운행되는 단으로 속도보다는 힘이 필요한 언덕길을 오르거나 웅덩이, 진흙길 통과할 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변속레버를 2, 1 등에 놓고 3속 이상의 무리한 속도를 내게 되면 자동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므로 한시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버 드라이브(O.D, Over Drive)

오버 드라이브는 4단 기준으로 스위치 OFF일 때는 3단까지, 오버 드라이버 스위치 ON일 때는 4단까지 자동적으로 변속됩니다. 정체지역이나 시내 주행 등 50~60km/h 이하로 주행하는 경우 오버 드라이브 OFF 상태로 주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통사정이 원활하거나 고속주행을 할 경우, 추월을 위해 급가속이 요구될 경우에는 오버 드라이브 ON 상태로 주행하면 되는데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정체가 심한 시내주행 때에도 O.D 스위치를 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잘못된 운전습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3→4단으로의 쓸데없는 변속이 일어나 연비 등 여러모로 손해 보는 면이 많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제동이 필요한 경우, O.D OFF 때에는 약한 엔진 브레이크가 걸린다는 사실도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스포츠모드, 세미오토란?

스포츠모드란 자동변속기의 또 다른 기능입니다. 자동변속기는 운전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변속하는 미션이라고 한다면, 스포츠모드란 수동 변속기처럼 운전자의 의도대로 체인지레버를 이용하여 변속하는 기능입니다. "D" 모드에서 +, -가 있는 곳으로 체인지 레버를 이동하시면 계기판에 현재의 기어단이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2단이 표출되었다면 +로 레버를 움직이면 3단으로 변속이 되고 -로 움직이면 1단으로 다운 됩니다. 이처럼 수동변속기처럼 단을 자유롭게 변속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세미오토는 어떻게 보면 스포츠 모드와 비슷하지만 스포츠 모드는 자동미션을 기본으로 수동의 재미를 느끼게 한 것이라면 세미오토는 반대로 수동미션의 구조에 클러치를 없애 보다 쉬운 변속이 이뤄지도록 한 것입니다. 수입차에는 수동구조에 클러치를 없앤 세미오토를 시퀀셜이라는 말이나 폭스바겐에서 개발한 DSG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이코노미(Economy), 파워(Power), 홀드(Hold)란?

자동변속기의 경우 적절한 변속이 이루어지고 연비 및 가속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코노미(Economy), 파워(Power), 홀드(Hold) 등 3가지 변속패턴을 설정해 두고 있습니다.
이코노미 모드(노멀 모드라 부르기도 한다)는 주로 일반적인 주행 때 사용하며 양호한 연비로 부드럽고 조용한 주행이 가능합니다. 이코노미 모드일 경우 일반적으로 계기판에 아무런 표시등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파워 모드는 이코노미 모드에 비해 저속구간(2, 3속)이 길어 가파른 언덕을 오를 때나 추월하는 등 강력한 엔진 힘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모드는 연료 소모량이 많으므로 필요할 때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워모드 스위치를 누르면 계기판에 PWR이라는 표시등이 들어옵니다.
홀드 모드는 윈터 모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겨울철 눈길에서 출발할 때 1단으로 출발하게 되면 구동력이 순간적으로 너무 강해 타이어가 미끄러집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강제로 2단 출발을 하게 하는 장치입니다. 눈길, 빗길과 같은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출발 때 효과적입니다. 홀드 상태에서는 레버를 L위치에 놓으면 1속으로 고정되고 2위치에 놓으면 2속으로 고정됩니다. 홀드모드를 누르면 계기판에 HOLD라는 표시등이 켜집니다.
자동변속기의 올바른 사용법
1. 신호대기 시 적당한 기어상태

이미 빨간불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신호등 앞에 서게 되면 그냥 D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것이 연료를 절약하고 변속기의 수명에 도움이 됩니다. 반면, 막 주황색 불에서 빨간불로 바뀌어 예상 정차 시간이 1~2분 이상 넘어가게 되면 기어를 N 상태로 두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N 상태에서 신호가 바뀜과 동시에 D로 놓고 급출발을 하게 되면 그동안 전달되지 않았던 동력이 갑작스럽게 전달되면서 트랜스미션에 충격이 가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습관으로 충격이 계속되면 트랜스미션의 손상으로 차량은 망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완전한 정지 상태에서 N에 놓아야지 바퀴가 아직 굴러가는 상태에서 N에 놓는다면 역시 변속기에 손상이 갑니다.
2. 변속할 때 항상 버튼을 누르고 옮긴다?
레버가 움직이는 방향이 일직선으로 돼 있지 않은 계단식 변속기(스텝 게이트)는 버튼 자체가 없지만 계단식이 아닌 일직선 모양의 변속기는 레버 옆이나 앞부분에 버튼이 있고, P, R, N, D 등으로 레버를 옮길 때 이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버튼을 안 눌러도 옮겨지는 부분이 있다는 것은 생각보다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P에서 R로 갈 때는 버튼을 누릅니다. 왜냐하면 잘못 건드려서 P상태가 풀어지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R에서 N으로 갈 때는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그냥 레버만 붙잡고 움직이면 덜커덕 N으로 옵니다. 그러나 N에서 R로 갈 때는 다시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N에서 D, D에서 N으로 갈 때는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수동겸용 변속기의 경우에도 D에서 수동모드로 갈 때 버튼을 누르지 않습니다.
<베르나의 자동 변속기는 엄지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게 돼 있다>
<아반떼의 계단식 변속기(스텝게이트) 버튼이 없다>
혹시 P, R, N, D 등으로 기어를 바꿀 때 매번 버튼을 눌러 오셨다면,
죄송하지만, 그 동안 헛수고 하신 겁니다.....ㅋㅋ
3. 유류비를 줄이는 경제 운전법
수동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자동 변속기 연비를 극복하는 경제 운전을 하기 위해선 급출발, 급정거 당연 안 됩니다. 연료낭비를 막으려면 주행을 시작할 때 액셀을 가볍게 서서히 밟아 주고, 그 후 어느 정도 속도가 붙게 되면 액셀러레이터에 발을 띄고 차량의 흐름에 따라 가능한 브레이크를 밟지 않도록 하며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주행합니다. 매우 간단한 방법이지만 자주 잊고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액셀을 밟을 때는 rpm이 3000rpm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무엇보다 최적의 상태의 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변속기 오일의 교환주기를 절대 지나치지 않는 것입니다.
첫댓글 음.. 좋은 정보이군요. 전 궁금한게 자동변속기가 자동차산업에 도입된지 한참 지났는데, 아직도 자동변속기가 수동변속기보다 비싸다는게 이해가 안가더군요. 오히려 희소성있는 수동변속기가 더 비싸야 하는거 아닌가요? 원가측면에서 봐도 자동변속기가 싸진게 한참 됬다고 하던데 왜 자동변속기를 더 비싸게 파는지 모르겠네요.
더 많이 팔리고 소비자들 오토가 고급이라는 이미지가 머리에 박혀있으니 돈줄을 놓질 않겠죠...국내 자동차 회사들 아시자나요 ^_^
가격이 희소성에 의해서 결정되지는 않죠. 자동변속기가 일반 가격이고 수동 변속기가 싼 가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버드라이브, 파워모드, 홀드모드, 1~2분 정차지 N 상태.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기어의 기능과 기어조작에 관한건 대부분 알고있는 내용이지만 무심결에 잘 안쓰게 될 때도 있더군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아는 내용들이며 사용하긴 하는데 그래도 귀찮으면 기어가 D에서 떠나질 않네요 -_-ㅋ
아반떼 경우 아래 1 2 3 있는건 L 2L 3L 과 같은건가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