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두(斗)자는 곡식을 담아 부피를 도량하는 도구를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일두(一斗) 두곡(斗穀) 두곡(斗斛) 미두(米斗) 과두(科斗)
제기 두(豆)자는 제사 지낼 때 제물을 담아 놓는 제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제기 두(豆)자는 콩이 콩깍지 속에 들어 있는 그림과도 같다고 해서 콩 두(豆)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두부(豆腐) 두태(豆太) 두유(豆乳) 두장(豆醬) 대두(大豆) 소두(小豆)
머리 두(頭) 머리 두(頭)자는 머리 혈(頁)자 앞에 제기 두(豆)자를 해서 머리인데 두로 읽는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수(首), 백(白), 혈(頁), 면(面)자는 모두 상형문자(象形文字)인데 두(頭)자만 형성문자(形聲文字)입니다. 형성문자(形聲文字)란 글자의 한 부분은 뜻을 나타내고(形), 다른 한 부분은 발음(聲)을 나타내는 글자를 말합니다. 통(頭痛) 두부(頭部) 두상(頭上)
진칠 둔(屯)자는 배후(背後)에 방어선을 만들고 앞을 향하여 공격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진영(陣營)의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왼 손 좌(屮)자는 왼 손의 뜻이 아니라, 배후(背後)에 방어선을 만들어 놓은 상형(象形)입니다. 삐침 별(丿)자는 앞을 향한 공격 자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진칠 둔(屯)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둔병(屯兵) 둔군(屯軍) 둔졸(屯卒) 둔괘(屯卦) 둔사(屯寺) 둔복(屯卜) 둔진(屯陣)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