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 가는 말(Introduction)
필자는 지금까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20여 편 이상 집필하였다.
오동잎이 떨어지면 가을이 오고, 기러기 떼 날으면 겨울이 온다고 한다.
최근 푸틴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더 이상 미사일 공격을 하지 않겠다는 발언과 종전 협상 징후(徵候) 등은 러시아 푸틴 체제에 조종으로 보이는바 이와 관련 분야별 진단을 전한다.
■ 정치(政治)
ᆞ푸틴의 정치 목적 달성 실패(失敗)
푸틴이 모험한 우크라이나 침공 시 설정한 정치목표 달성(우크라이나에 친 러시아 괴뢰정부 수립)은 철저히 실패하였는바 이는 기업으로 보면 부도(不渡)난 것이다.
미국은 금번 우크라이나를 이용한 대리전쟁을 통해 단 한 명의 미군 병사 투입도 없이 미국의 정치 목적인 러시아군 궤멸(潰滅), NATO의 결속 및 미 방산업 활성 등을 100% 달성하였다.
미국은 NATO를 결속시킴으로써 이제 러시아 문제는 NATO에 맡기고, 미국은 중국 문제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미국 등 NATO국가들은 러시아가 2014년 크림을 침공하여 강제 합병 시 이에 강력히 응징(凝集)하지 못함을 두고두고 후회하여 이번만은 러시아에 분명한 책임을 물을 것이다.
최악의 경우 러시아는 패전국으로서 우크라이나에 그간 피해를 준 천문학적 전쟁 보상금을 지급해야 할 처지를 배제(排除)할 수 없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은 지금 상황에서 푸틴이 살아날 방안은 휴전협정(休戰協定) 외 다른 대안은 없다고 단언하였다.
ᆞ러시아 혁명사(革命史)
러시아 역사를 보면 전쟁에 패하거나 경제침체(經濟沈滯)가 심각하면 필히 혁명이 발생하였다.1905년 최초혁명(러일전쟁 패배(敗北)),1917년 볼셰비키혁명(1차대전 패전 분위기 / 경제침체(經濟沈滯))그리고 구소련 해체(解體)(아프칸 사태 나쁜 결과)였다.
ᆞ푸틴의 정치 위기(危機)
푸틴은 어떻게 해서라도 전쟁을 끝내야 한다는 강한 압박(壓迫)을 받고 있다.
러시아 국민들의 반전 분위기, 군부와 FSB갈등 및 군부 내 갈등은 푸틴의 무리한 전쟁 강행을 어렵게 하였다.
그래서 나온 푸틴의 카드가 종전(終戰) 협상인데,문제는 미국을 비롯한 우크라이나가 푸틴의 종전(終戰)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은 러시아의 붕괴(崩壞) 직전이라는 절호의 기회를 결코 놓치지 않을 것이다.
러시아 일부 고위층은 러시아에 혁명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는 설과 일부 서방 매스컴들도 푸틴의 정권 교체설을 보도하는 등 날이 갈수록 푸틴의 정치적 입지는 큰 위기에 봉착했다.
■경제
ᆞ최악의 경제 여건
러시아 경제는 외부제재 및 내부여건 등으로 어쩌면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직전보다도 더 어렵게 보인다.
러시아 경제는 가스와 원유의 유럽 수출 차단과 미국 등 서방세계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천문학적 전쟁 비용 소모 및 곪아 터질대로 터진 구조적 부패 등으로 최악 상황에 직면하였다.
최근 러시아는 EU에게 가스 공급이 가능하다고 제의해 왔으나 EU 27개국들은 내년 여름에 공동구매를 합의하였으나 러시아가 아닌 새로운 공동구매처를 고민 중인 것으로 보도되었다.
러시아 푸틴이 유럽에 가스와 원유 수출에 대해 순간적인 애먹임은 자칫 러시아에게는 회복 불가한 치명적인 재앙이 될 것이다.
ᆞ경제제재 효과 발생
미국 등 서방세계의 대 러시아 경제제재의 본격적인 효과도 올해 말부터 나올 전망이다.
푸틴의 정치자금도 올해 말이면 고갈될 전망이다.
러시아 경제 폭망은 국민들의 분노로 작용하여 푸틴의 정치적 입지를 크게 악화시킬 것이다.
■ 군사
지금까지 러시아는 연전연패(連戰連敗)하였으며 러시아군 전투력은 거의 소진(消盡) 된 것으로 보인다.
전투력= 병력수 × 무기/물자 × 훈련인데 여기서 훈련이 0 이면 전투력= 0이 된다.
ᆞ병력 부족
우크라이나에 투입된 러시아 군 총 병력수는 그간 20만 중 8만여 명 이상 손실이 발생하였고 동원 병력은 30만 계획에 22만 확보하여 크나큰 차질이 발생하였다.
※ 푸틴의 병력동원령 선포로 인해 러시아 징집
병력 30만~100만여 명의 해외 탈출은 푸틴에게는 크나큰 정치적 타격이었다.
병력의 양도 문제지만 병력들 질은 싸울 의지가 없고 도주에 바빠 더욱 큰 문제다.
※ 특히 동원 병력은 소수민족을 위주로 동원하다 보니 이들 중 중앙아시아에서 온 무슬림 계통들에 의해 훈련 중 총기 난사가 발생하는 등 민족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ᆞ장비 및 물자
우크라이나군은 지금까지 260여 대 러시아군 전투기와 240여 대 첨단 공격헬기 등을 격추시켰다.
러시아군은 미사일도 6,000여 발 사용했지만 우크라이나 방공미사일에 대부분 격추되거나 우크라이나 군사 표적 타격은 거의 실패하였으며 미사일 재고품도 거의 바닥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등 서방세계의 대 러시아 경제제재로 인해 러시아군은 첨단무기 생산뿐만 아니라 기존 무기 부속품 확보도 매우 어려운 처지다.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이 버리고 간 전차, 장갑차 등을 획득하여 자체 전투력을 대폭 보강하는 등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투력 강화에 일등 공신이었다.
러시아군은 싸우지 않고 도주하기에 바쁜 군대며 일부 군인들은 60억 원 전차를 8,000만 원에 밀매(密賣)하고 있다.
러시아 동원예비군 장비와 물자 150만여 명분이 증발된 것으로 보도되어 동원예비군 전력화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하였다.
ᆞ훈련
동원예비군을 전력화시키기 위해 충분한 훈련은 필수다.
심지어 러시아 전차병은 우크라이나니 군이 도로 위에 설치한 대전차 지뢰(地雷)를 보고도 그냥 통과하여 전차가 공중분해(空中分解) 되는 동영상이 보도되었다.
러시아 동원예비군 중 일부는 동원 3주 만에 전사하여 전사 통지서가 전달되기 시작했다.
러시아 동원예비군마저 총알받이가 된다면, 러시아 육군은 거의 궤멸(潰滅)된 것으로 봐야 한다.
※ 러시아 동원예비군이 궤멸시 푸틴의 정치 생명은 과연 가능할까?
그렇다면 상기 러시아군의 병력ᆞ장비와 물자 및 훈련 등을 고려 시 러시아군 전투력은 거의 궤멸수준으로 볼 수 있다.
ᆞ러시아 전술핵 사용 과연 가능한가?
러시아군의 전술핵 사용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울 전망이다.
첫째, 러시아가 핵을 사용하면 이는 대만, 한국 및 일본의 핵무장을 초래할 수 있다.
※ 일본이 핵을 무장하면 이는 1894년 청일전쟁과 1905년 러ᆞ일전쟁의 악몽이 부활 되며 대만의 핵무장은 중국이 지향하는 하나의 중국에 독침(毒針)을 가하는 격이다.
둘째, 러시아가 핵을 사용시 미국은 재래식 무기로 러시아 핵무기와 핵시설 90%를 파괴 시킬 것으로 보도되었다.
셋째, 러시아가 핵을 사용 시 NATO국가들의 참전이라는 새로운 전쟁 양상은 푸틴에게는 최악의 패착이 될 수 있다.
넷째, 러시아가 핵을 사용하면 방사능 피해는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러시아 농작물에도 치명적 피해가 예상된다.
다섯째, 러시아가 핵을 사용하면 친 러시아인 중국과 인도 등도 러시아에 등을 돌릴 것이다.
※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 가스와 원유 수입을 차단하면 러시아는 과연 생존할 수 있을까?
여섯째, 푸틴이 핵을 사용하면 푸틴의 군사적 카드는 전부 고갈되며 푸틴의 정치생명도 고갈 될 것이다.
예컨대 러시아군의 현 상황은 백약이 무효인 참담한 비극이다.
■외교
ᆞ완전 외교적 고립
러시아는 미국 등 서방세계로부터 완전 고립되어 있다.
※ 러시아가 외교고립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약 500조 원의 전후 복구 비용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해야 하는데 열악한 러시아 경제 여건상 과연 가능할까?
심지어 친러시아적인 중국과 인도 등도 푸틴의 전쟁을 반대하고 있다.
ᆞ구걸 외교
푸틴은 다음 달 G-20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원했으나 바이든 대통령은 일언지하에 푸틴 요청을 거부하였다.
※ 바이든 대통령은 미 상원의원 외교·안보 분야에 수십 년간 근무한 베테랑급 인사다.
러시아의 외교적 고립이 지속되는 한 러시아는 상당 기간 국제적 미아로 정말 보잘 것 없는 약소국으로 전락할 것이다.
■ 맺음말
푸틴은 정치ᆞ경제ᆞ군사ᆞ외교 등 명실공히 사면초과되어 있다.
독재자들은 지금까지 2억여 명 이상 인간들을 학살하는 등 인류평화를 파괴하는 콜레라 병원균이다.
따라서 독재자 한 명을 제거하는 것은 수천만 명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다.
푸틴 정치가 제거되고 러시아가 환골탈태(換骨脫退)함은 온 하늘의 명령이며 인류의 바람이다.
금번 독재자 푸틴의 야수성(野獸性)은 북한 김정은 체제를 흠모하는 쓸모있는 바보들에게 크나큰 경종이 되길 바란다.
한국문화안보연구원 부원장 김 명수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