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맹동초등학교제48회동창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식물과 꽃들 스크랩 농업용農業用 연蓮 기르기
옥렬 추천 0 조회 287 18.06.20 09:3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농업용 연근 재배 요령

 

□ 주요지역 재배면적

시도별

재배면적

농가수

주 재배지역

부 산

2.0

5

강서구

대 구

223.0

172

반야월116, 달성81, 동촌26

인 천

4.7

7

강화군

대 전

0.6

1

서구

광 주

1.9

5

광산구

울 산

0.4

1

울주군

경 기

11.8

7

시흥10, 안성1.8

강 원

0.8

3

원주0.5, 양양0.3

충 북

0.2

1

음성

충 남

14.1

16

아산3.8, 공주3.3, 태안3.0 등

전 북

23.2

38

정읍18.2, 김제4.3 등

전 남

71.7

66

함평30, 무안28.2, 곡성9 등

경 북

80.2

47

고령60, 칠곡12, 경산7.8 등

경 남

141.1

155

함안95.6, 창녕9.4, 창원8, 진주8

575.7

524

 

1.전남의 일부지역은 잎을 전용으로 하는 품종임.

    2. 이 자료는 2006년 농림부에서 각 시도를 통하여 조사된 수치이며,

        이후에는 공식적으로 조사된 자료가 없으므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친환경 인증에 대하여

○ 연근은 뿌리채소로 땅속에서 자라므로 농약에 오염될 염려가 적고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검사에서도

    검출된 사례가 없으나, 친환경농산물 인 증품을 요구하는 업체가 있으므로 인증기관에서 친환경농산물 생산

    인증을 받아 두는 것도 판매에 도움이 된다.

 

Ⅱ. 품 종 

○ 농업용으로 재배하는 연은 대구홍연과 무안백연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 최근 외국에서 많은 품종이 들어와 시험 재배되고 있다.

○ 각 지방에서 재배되는 품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종자연근은 무병지에서 채종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1. 대구 홍연 

○ 중 만생종으로 10월부터 정상 수확이 가능하다.

○ 분홍색의 꽃이 피는데 꽃수는 많지 않다.

○ 수확 시 3절이 보통이나, 큰 것은 4절 이상도 있다.

○ 마디의 크기는 중정도이다.

연근은 크고 타원형이며 색은 엷은 오랜지 색이다.

○ 육질은 분질이 많고 두꺼우며 내병성이 강하고 수량은 평당 8~12k 정도이다.

 

2. 무안 백연 

○ 만생종이다.

○ 연근은 대형종으로 마디가 길며 줄기도 길게 뻗는다.

○ 흰색의 꽃이 피는데 처음 필 때는 봉오리 끝에 약간 붉은 색을 띤다.

 

3. 다른 나라의 품종

 

가 일본  

재배면적이 많은 일본은 지역 및 재배 작형에 따라 여러 품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 주요품종은 시나종(支那種), 빗스쥬종(備中種), 카시마종(杵島), 조선종(朝鮮種), 가쥬사종(上總種),

   아이찌종(愛知種), 고부시종(小節種), 덴조종(天王種),도꾸라종(戶倉種),땅연(地蓮種) 등이 있다.

 

나. 중국 

○ 양자강이남 지역 즉 강소(江蘇)성, 절강(浙江)성, 안휘(安徽)성, 호북성(湖北)성, 호남(湖南)성,

    복건(福建)성, 강서(江西)성등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 용도는 식품과 약재와 관상용으로 구분하고 식용은 우리 와 비슷하게 반찬이나 과자류가 주이며

    연밥을 이용하여 탕과 떡을 만들며 마른 연밥은 영양제로도 쓰인다.

○ 약용으로는 꽃, 잎, 줄기, 수염, 마디, 연근이 지혈제, 보양제, 강정제, 진정제, 지사제, 이뇨제로 쓰인다.

○ 관상용으로서의 연꽃은 꽃이 흔하지 않은 계절에 피고 꽃대 자체가 가지도 아니며 넝쿨도 아니므로

    꽃 중의 君子로 칠 정도로 귀하게 여겼고

○ 연은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 주요품종으로는 홍화우(紅花藕), 응취우(鷹嘴藕 또는 長三節), 유월백(六月白), 대오자(大烏刺)

    또는 대모건(大毛巾),  대두백화(大頭白花), 세우각(細牛角), 백연우(白蓮藕), 설호공우(雪湖貢藕) 등이 있다.

 

Ⅲ. 재배기술

 

1. 정지 

○ 재배하는 흙은 부드러운 것이 좋기 때문에 겨울에 깊이 갈면서 퇴비와 마른풀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 부패병이 많이 발생하는 땅에는 겨울에 물을 넣어 두었다가 3월 중순 이후에 거칠게 갈기를 한다.   

○ 석회는 부패병 방제에 효과가 있으므로 상습지에는 시용한다.

○ 정식하기 3~4주전에 기비를 넣고 경운 하는 것이 좋다.

○ 그 후 물을 녛어 써레질을 하여 정지를 끝낸다.

○ 돌, 나무토막 등을 골라내고, 발/기계 자욱이 많이 나면 땅속줄기뻗음이 좋지 않으므로 주의 한다.

○ 트랙터나 경운기로 정지 작업을 할 경우 긴 나무토막 등을 로타리 뒤에 달아서 평탄하게 고른다.

 

2. 종자연근

○ 종근은 끝마디가 잘 비대한 3~4 마디에 1~2개의 가지연근이 붙 어 있는 것이 좋다.

○ 무게 1kg정도로 끝마디까지 충실 하고 병과 상처가 없는 것이 좋으 며 종근이 충실하면 생산량도 증 가한다.

○ 수확 작업 시 첫마디(눈이 붙은 부분)가 상한 것을 그대로 심으면 싹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종자 연근은 논에서 비배 관리를 잘하며 계획적으로 키우고 심기 바로 전에 수확하여 이용한다.

○ 소요량은 10a당 300~350kg 정도이다.

○ 종자연근을 확보하기 위해서 해마다 많은 면적의 씨 논을 두어야 한다.

○ 겨울동안 시장출하용 연근을 수확하면서 종근이 될만한 것을 골라 땅속에 묻어두는 방법을 연구하면

    연근 값이 비싼 초봄에 많은 량을 시장에 출하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관심을 갖고 연구해볼 과제다.

○ 이때 가식하는 깊이는 20cm정도로 하고, 겨울동안 물을 말리지 않아야 한다.

○ 특히 겨울에 수확작업을 할 경우 종근이 동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한다. 

        <중간에 있는 종근이 1kg정도임>           <종자연근은 앞부분의 눈이 온전항 것이 좋다>  

                        

○ 종근 포 관리요령

- 종근 논은 전체 재배면적의 1/5~1/6정도 확보 되어야 한다.

- 종근 논은 반드시 겨울동안에도 물이 있어야한다. 물이 없으면 병 발생이 심하거나 동해를 입기 쉽다.

- 종근 논은 겨울동안 그물을 씌워서 청둥오리 등 조류 피해를 막아야 한다.

- 방조망을 설치하지 않으면 물새들이 앉아서 연근을 쪼아 먹거나 새순을 따먹어 피해를 준다.

 

< 종근 논에는 항상 물을대어주고 그 위에 방조망을 씌워서 철새의 피해를 예방한다>

 

3. 정식 

심는 방법은 대부분 물을 댄 후 정지를 하고 흙이 가라앉은 후 심는다.

○ 일부 지방에서는 마른논에다 종자 연근을 심은 후 물을 대기도 한다.

○ 기본적으로 종자 연근의 크기에 따라 포기 사이가 다르게 심어야 한다.

○ 이랑너비 2~2.7m에 포기사이 1~1.2m로 심는다.

○ 심는 방법은 눈을 땅속으로 20~30도 정도로 정아 부분이 15cm깊이로 묻히게 심는다.

 

                                 <심는 깊이/오른쪽 사진 검은 물체는 휴대폰임>

 

○ 심는 깊이가 너무 깊으면 지온의 영향으로 생육이 늦다.

○ 심는 깊이가 너무 얕으면 종근이 흙 밖으로 나와서 뜰 수 있다.

○ 종근이 크고 굵은 것은 논의 안쪽으로, 보다 잔 것을 바깥으로 심어 자라 나는 과정에 땅속줄기가

    다른 논이나 논두렁 쪽으로 많이 뻗지 않게 한다

○ 양 쪽 논두렁 가까이는 정아가 논 안쪽으로 가도록 심는다.

○ 저온기에 일찍 심는 것은 경사가 적고 얕게 심는다.

○ 가지가 있는 연은 붙은 그대로 심 는다.

○ 가급적 빨리 심는 것은 수량이 많 다.

    이 경우 종자 연을 수확 후에 바로심도록 한다.( 찬바람을 맞던 가 온도가 낮은 날에 심는 것은 좋지 않다)

○ 시기는 4월 상순에서 5월 상순으로 기온이 12℃이상 될 때이다.

   이때는 종자연근의 정아(땅속줄기 눈)가 아직 움직이지 않고 잎눈이 나타날 때다.

※ 주의사항 : 일반 작물과는 달리 생장점이 땅속에 묻혀야 한다.

 

                     <마른 논 심기>                              <물을 대고 써래질 한 후 심기>

4. 작 형 

 연은 수확기간이 길기 때문에 보통재배가 일반적이지만 연중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작형을 분화 할 필요가 있다.

 

가. 조숙 재배 

○ 대형하우스나 터널을 이용하여 단 경기인 7~8월 수확을 목적으로 2~3월에 정식하고

    4월 중순경까지는 보온에 힘써 생육을 촉진시킨다.

○ 부패병을 막기 위하여 포장에 가을부터 물을 넣고 정식 50일전에 석회를 넣고 갈아둔다.

○ 따뜻한 지역에 유리한 작형이다.

○ 5월말 이후는 보온 보다는 생육적온을 감안한 환기에 유의하여 고온 장방지한다.

 

비닐하우스 재배 사례

○ 농가명 : 대구광역시 동구 대림동 구광현(농업경영인/대구연근연구회원) 

○ 재배개요

- 정      식 : 2006. 3. 24

- 수확시작 : 2006. 8. 3

- 수확마감 : 2006. 8. 10

 

○ 출하처 : 대구/서울/대전

 

○ 성과비교

 

반당생산량

kg당판매가격

조 수 입

시범농가

1,800kg

5,000원

9,000천원

일반농가

2,400kg

1,500원

3,600천원

대 비

75%

350%

250%

 

○ 특기사항

- 수확작업시간 : 05:00 ~ 10:30(한 더위를 피해서 작업함)

- 작업인건비 : 상자당 28,000원 정도

 

 

나. 조기재배 

○ 일부지역에서 전년 가을부터 3월까지 노지에 심고 일찍 수확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겨울동안 물을 계속 대 주어야 하며, 종근대를 절약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조기재배는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기관에서 벼의 생육기에 맞추어 통수하는 관계로 사전에 조율이 필요하다.

○ 3월 중하순에 비닐터널 내에서 최아 하여 심는 방법과 소형 터널 및

    보온못자리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방법도 도 연구 해볼 필요가 있다.

 

다. 보통재배 

○ 4월 중순부터 5월 상순에 심는 작형이다.

○ 수량은 10월 중하순부터 제일 많고 8월 중하순은 40%, 9월 중하순에 60~70%가 나지만 가격을 감안하여

    8월 중순에 시작해서 다음해 5월 상순까지 수확한다.

○ 저습지나 늪지대에 재배하는 것이 많다.

○ 이들은 앞에서 말한 조건을 갖추면 부패병이 적어서 생산은 안정되고, 품질이 좋은 연근을 생산할 수 있다.

○ 논 재배는 관리가 쉽고 수량은 많지만 물이 충분치 않으면 부패병의 발생이 쉽기 때문에 집단화로

   이에 대비한다.

 

5. 거름주기 

○ 논 보통재배의 시비는 생육초기는 흡수가 적지만 7월 이후의 생육중기에는 잎의 증가와 함께 기하급수적으로

   흡수되고 말기에는 연근의 비대 충실에 대비하여 풍부한 양분이 공급 되어야한다.

○ 흡수는 본잎(立葉)이 올라올 때 왕성하고 뜬잎(浮葉)이 나오는 시기는 비료를 주면 잎이 타는 피해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밑 비료는 다소 빨리 주는 것이 좋다.

○ 7~8월은 급속히 생육하고 11월까지 비대하기 때문에 추비가 중요하다.

○ 추비는 5월 상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3회에 나누어주고 완효성 비료를 시용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잎이 무성하여 비료를 주기 곤란한 8월 이후의 비대 충실기까지 비료의 효과가 지속되는

    시비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 8월 이후의 비대 충실기에 질소가 편중되면 부패병 많이 발생하기 쉽고 질소와 칼리를

    균형시비 하면 효과가 높다.

○ 조숙 재배는 생육을 빨리 하도록 서둘러 비효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밑 비료에 중점을 두고 추비는 5월 하순에서 6월 초순사이에 끝내고 전체 시비량도 질소30%,

        인산10%, 칼리20%정도 적게 준다. 

보통 재배 시 시비 추천량 ◇      

구 분

총 량

(kg)

밑 거 름

웃 거 름

정지전

3월상

3월중

1회

5월상

2회

6월중

3회

7월상

두 엄

3,000

 

 

 

 

 

석 회

54

54

 

 

 

 

요 소

49

 

 

8

17

24

염화가리

40

 

6

14

20

 

용과린

100

 

25

25

50

 

닭 똥

188

 

 

94

94

 

※ 자료 : 농촌진흥청 발행 표준영농교본 <성분량 질소37.5kg, 인산18.8kg, 칼리26.3kg>

 

○ 퇴비는 많을량을 줄수록 증산에 효과적이다. 특히 연작을 하는 필지는 완숙퇴비의 시용이 필수적이다.

○ 초기에 뜬잎이 물위에 떠 있거나 잎이 무성한 논에 추비를 줄경으 비료 알맹이가 잎위에 얹히면

    잎이 타는 경우가 있으므로 추비를 준 후에 반드시 물로서 씻어내어야 한다.

○ 추비를 시용할 때 가급적이면 놀 골로 다니고 발자욱을 적게 남기도록 주의한다.

 

가. 대구지방의 시비 사례 

○ 지역별 비료 주는 시기와 시비사례를 표로 제시한다.

구 분

N

P

K

비 고

추 천 시 비 량 (성분)

38

19

27

신평

기비

으뜸비료(주,조비) 11포

(11-9-8) 염화가리 15kg

23

19

26

 

추비

21-17-17 4포

5월말이나 6월초순

17

14

14

 

 

소 계

40

33

40

 

대림

기비

21-17-17 7포

42

34

34

 

추비

21-17-17 3포 5월 말

달성하빈

기비재배

기비: 21-17-17 6 포

추비 : 21-17-17 7 포 6월 초순

54

44

44

 

추비재배

1차 : 21-17-17 6 포 5월 중하순

 

2차: 21-17-17 5 포 1차후 10일

 

3차 : 21-17-17 4 포  6월 말

63

51

51

 

농촌진흥청 추천량<실량환산>

21-17-17 6.0포

요 소 1.5포

염화가리 0.5포

 

25.2

12.0

 

20.4

 

 

20.4

 

6.0

 

 

소 계

37.2

20.4

26.4

 

단한번

18-12-13 10포

36

24

26

 

 

○ 대구지방의 연근 재배지역은 동구 신평동과 동구 안심지역과 달성군 하빈면 봉촌동이다.

○ 토성은 신평은 점질토가 많고 안심지역은 양토이며 하빈은 사질땅이다.

    그러므로 비료 주는 방법도 틀린다.

 

나. 완효성 비료 시험 

▒ 착안점

○ 연이 무성하게 자라는 7~8월의 비료성분이 증산에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나 시비 사례에서

    보는바와 같이 6월 이후에는 시비가 곤란하여 대부분 시비를 하지 않는다.

○ 벼 전용인 완효성 비료가 지효성 비료이므로 연근의 후기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제조회사의 대구지점 협조로 시비 시험을 하였다.

 

▒ 시험내용

시범포장

    - 동구 신평동 335번지(농장주:최석철) ― 300평

    - 달성군 하빈면 봉촌리(농장주:전구철) ― 300평

사용한 비료 : 단합번(18-12-13)

    - (주)조비에서 생산하는 수도용 완효성 비료임

시비량 : 반당 200kg

하빈 지역 시험 포장은 사질답으로 7월초 추비시용

신평동 시험포장은 종근답으로 2000년 초에 수확

99년도 지역 평균 단수 2,400kg/10a정도임

시험 결과

지 역 별

정식일자

시비일자

표본수확량

실수확량환산

동구 신평

‘99. 5. 3

‘99. 5. 7

평당13kg

3,870kg/10a

달성 하빈

'99. 4. 23

'99. 5. 5

평당 9kg

2,580kg/10a

 

다 전용비료 생산

   2010년부터 대구에서 비료회사와 공동으로 전요비료를 생상하여 시용하고 있다.

 

 

6. 관리 

○ 연은 수생식물이기 때문에 생육 기간 중 항상 풍부한 수분을 필요로 하므로 통상적으로

     초기에는 5cm 내외로 관리하여 지온을 높여주고, 중기 이후에는

        10~15cm의 물을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물 관리는 하루로 보면 낮에는 얕게 밤에는 깊게 대고 전 생육 과정으 로 보면 저온 일 때는 얕게

     고온 기에는 깊게 대어 물로서 온도를 조절한다.

○ 보통 재배에서 심은 직후에 돌발적인 늦서리나 갑작스럽게 오는 저온 예방을 위해서는

     물을 깊이 넣으면 좋다.

○ 비닐하우스나 턴넬을 이용한 조기재배 시 생육적온 이상의 고온으로 생육장해를 받지 않도록

    특히 환기에 주의한다.

○ 부패병이 발생하는 논에서는 줄기와 잎이 충분히 자라서 무성하여 그늘이 질 때까지는 물을 깊게 대고

    또 물을 흘려서 가급적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 초봄에 수확하는 포장은 연근의 피부색을 희게하고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겨울동안 관수를 한다.

○ 물 떼기 작업은 조기 수확을 목표로 하는 재배에서는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1개월 전부터 물 떼기를 시작하고 땅 표면이 마를 정도로 배수하여 경엽의 신장을 억제하고

    뿌리의 비대 충실을 촉진시킨다.

○ 9월 중순이후는 물을 가득 채우지 않아도 연근은 비대하지만 토양이 굳어져서 수확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확 할 때까지 물을 넣어 주는 것이 좋다.

○ 제초는 잎이 무성하지 않을 때까지 끝낸다.

    연근을 심은 직후 제초제를 뿌리고, 1~2회정도 손으로 제초를 하면된다.

    정식 직후 올라오는 독새 풀과 광역잡초는 비료분의 손실과 태양광을 막아서 지온 상승을 방해 하므로 뽑아준다.

※ 이 경우 땅속줄기를 다치거나 지나치게 많은 발자국을 남겨 땅속줄기 뻗음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 조기 재배에서는 처음에는 완전히 피복 하지만 본 잎이 나오기 시작하면 환기를 하여서

    잎이 타는 일이 없도록 관리하고 그후 서서히 외부 기온에 순응시켜 5월 중순경 개방 한다.

    물은 다소 얕게 유지시켜 지온을 상승시킨다.

    끝잎 (止葉)이 나오면 물 떼기를 한다.

○ 초기에 발생하는 진딧물 방제를 위하여 한 두 차례 전용약제를 뿌려 준다.

○ 비 선택성 제초제의 피해가 심하므로 가급적 집단 재배단지의 형성이 바람직하고 인근 벼 재배농가와의

    유기적인 협조로 돌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생육 후기에 태풍(15m/초 이상)등의 영향으로 잎과 줄기가 심하게 손상 될 경우 뿌리의 발육도 정지하거나

    줄기에 생긴 상처로 빗물이 들어가 뿌리가 상하므로 심한 논은 일찍 수확하는 것이 좋다.

※ 연꽃을 꺽고 꽃자루를 방치하면 이곳으로 빗물이 유입 되어 한 포기 전체를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Ⅳ. 수 확 

○ 저습 상태로 두면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봄까지 수확 할 수 있으므로 시장 상황 및 노동력 등을

   감안하여 수확한다.

○ 수확은 전용 괭이나 삽으로 걷 흙을 제거하고 연근이 보이면 상처가 나지 않도록 손으로 뽑아 올린다.

 

        <삽은 끝 부분을 갈아서 사용한다>                         <쇠쓰랑은 특수 재작한다>

 

 

○ 5월~6월에 수확하는 경우는 5월 상순에 발아해서 자란 정아를 제거하여야 한다.

○ 최근 대 면적 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포크레인을 이용한 수확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 먼저 포크레인으로 흙을 20cm(연근이 보일정도)정도 걷어낸다.

  - 그 후 인력으로 수확한다.

  - 사용 기종 : 포크레인(028) ― 괘도차량 111

  - 작업기 삽날 별도제작 활용시(800,000~1,000,000원 소요)

  - 600평 수확 시 : 기계1대 + 인부 10인정도

  ※ 수 작업 시 : 40명/20a당

  - 작업 폭은 포크레인이 다닐 정도로 하고 끝난 후에 평탄작업을 한다.

 

<일반 포그레인에 삽날을 개조해서 사용하고 있음/위의 사진 삽날의 각도를 잘 살펴보시기 바람>

※ 2011. 4월 현재 국내에 일본에서 수압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수확기를 들여와서 활용하는 농가가 있음

 

○ 지금까지 흙 묻은 연근을 30kg 상자로 출하하고 있으나 정부 규격 상자(5, 20kg) 출하와

    소포장 출하도 연구 발전시켜야 할 과제이다. 

                    <30kg 드리 상자>                                            < 15kg 드리 상자>

 

Ⅴ. 병충해 방제

 

1. 연 부패병 

○ 영명: Rhizome rot

○ 학명: Fusarium bulbigenum CKE. et MASS van. nelumbicolum Nisikado et Watanabe.

 

○ 병징

- 연작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 7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중순에 가장 심하고 8월 하순에 잎은 완전히 마른다.

- 발병초기에 잎 변두리가 누렇게 변하여 흑색반점이 생기고 점차로 중간을 향하여 확대되어

   엽병은 황갈색으로 변하며 말라서 위로 감기 고 마지막에는 썩으며 모든 잎이 죽고 나면

   줄기는 아래로 쳐진다.

- 마를 때 연근을 파보면 마디 부위가 자주 빛 갈색으로 되어 누렇게 변하고 주름이 생기며 깊은

   건전한 부위까지 침입하고 결국 부패한다.

 

○ 병원

- 이 병은 불완전 균류의 기생에 의해 발생한다.

- 연밭 가운데 남겨놓은 잎이나 뿌리, 줄기에서 월동한다.

- 이 균의 균사 발육의 최적온도는 27~30℃이고 최고 33℃부근 최저 10~15℃다.

- 토양 중에 피해부가 남아있는 경우는 균사, 분생포자에서 생존하고 이 것이 건전한 연근을 심으면

  침입하여 발병하고 또 병균을 가진 연근 을 심어도 발병한다.

- 이병은 새로 재배하는 곳은 적고 연작하면 많다.

- 연중 물이 고인 밭에는 발생이 적고 겨울 또는 다른 기간에 건조한 땅에서는 발생이 많다.

- 특히 여름에 물이 떨어져 마르고 땅 표면에 균열이 생긴 논은 발병이 심하다.

- 중점토에 발생이 적고 사질토에 많고 토양 중에 철분이 결핍되면 발 병이 많다.

  또 얕은 포기보다 심근성 품종은 발병이 적다.

 

○ 방제법

- 10a당 석회 200kg나 석회질소 40~60kg을 시용 한 후 일주일간 물 을 댄 후 2개월 정도 두어 토양을 소독한다.

- 종자 연근을 무병지에서 채집하고 잘 선별하며 소독을 한다.

- 피해 잎과 연근은 수확 시에 모아서 소각한다.

- 연 논의 잡초를 제거하고 시비를 합리화한다.

- 발병초기 빨리 파낸다.

- 피해지는 겨울에 깊이 물은 댄다.

 

대구지역의 발생사례와 처방

 

○ 발생지역 : 경북 ♧♧군 ♣♣면

○ 발생현황

- 2003년 일부분 발생

- 2004년 7월 초순 발견(잎이 안쪽으로 말림 현상) 8월 수확시 부패상 태 확인

- 2005년 대 면적 발생(일부지역에 국한됨)

     

                                         <현미경으로 본 병징>  

              <연근에서 보이는 증상/ 겉보다는 속에서 생기기 때문에 문제가 됨>

○ 증상

- 뿌리 전체가 검게 썩음

- 미라형태로 뿌리가 쭈굴쭈굴하게 썩어있음

- 뿌리전체가 괴양병 형태로 썩음(만지면 형체가 없어짐)

- 겉보기에는 괜찮으나 잘라보면 뿌리의 공기구멍 중 제일 안쪽이 약간 붉은 색으로 변해 있으며, 옮겨감

○ 재배형태

- 토질 : 사질토

- 재배방법 : 전체를 수확하고 다시 심는 방법이 아니고, 일부 수확 후 일부를 남기는 일명 골치기로 재배함.

  수확 270cm, 남김 60~70cm

○ 시비

- 퇴비 : 종류미상의 유기질퇴비 살포-반당 720kg(35~40포)

- 복합비료(300평 기준)

․기비 : 4월초순 (21-19-19) 5포

․추비 : 6월초순 (21-19-19) 9포

※ 총량기준 300평당 15포정도 시비함

 

○ 문제점

- 종자를 별도로 선별하지 않음

- 사질토양을 겨울동안 마른 상태로 방치함

- 이병주 제거에 소극적임  

 

○ 진단 및 처방<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생체사진과 현미경으로 관찰한 병원균

- 진단결과 부패현상의 원인균은 곰팡이로 확인되었고,

   비대줄기의 중심 통기구멍이 먼저 감염되어 이웃 비대줄기로 전염됨 

 

○ 방제 대책

- 토양 중에 피해 잔재물이 남아있는 경우 균사나 포자형태로 생존해서 건전한 연근을 식재 시

   발병하거나 병원균을 가진 연근 식재 시 발병 하고 전염된다고 생각된다.

- 재배적 예방으로 피해잎과 연근은 수확 시에 모아서 소각처리 한 다 음 무병지의 종자연근을 선별하여

   소독(클로락스 1%)후 식재한다.

- 토양소독은 10a당 석회 200kg나 석회질소 40∼60kg을 시용 한 후 일주일간 담수 후 2개월간 방치하여

   토양 소독한 다음 식재한다.

- 타작물의 종구소독 : 물 1말 당 메타락실엠(‘리도밀골드’액상수화제) 2.5ml

   또는 아족시스트로빈(‘헤리티지’입상수화제) 2g등으로 침지 소 독한 다음 건조 후 정식한다. 

 

○ 경종적 대책

- 종자답 별도 운영(겨울 동안 담수가 가능한 지역선택)

- 전면 수확 후 우량종자 식재

 

2. 연 탄저병 

○ 영명 : Anthracnose

○ 학명 : Gloeosporium nelumbii F. Tassi 

○ 병징

- 5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장마기에 가장 심하며 7월에는 병세 가 약하고 8월에는 발병이 되지 않는다.

- 처음에 잎 끝 또는 잎 가장자리에서 병반이 생겨 차차 커지고 건전부 와 경계가 확실하지 않은 큰 반점이 된다.

- 병반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지만 뒤에는 검게 변한다.

- 병반부에는 적은 복어 살색의 돌기(분생포자층)가 밀생하여 둥근 모 양을 하고 있다.

- 이러한 돌기가 잎의 앞뒷면, 엽맥위, 엽병부에도 형성된다. 눈으로도 보이지만

   확대경을 사용하면 확실히 알 수 있다

- 이 병이 침입한 잎은 병반부가 생장하지 않으므로 부정형의 잎이 된 다.

- 부패병과 비슷하지만 발생시기가 빠르기 때문에 피해는 적다.

- 잎에 발생한 병반은 엽맥을 따라 잎자루에 옮겨가지만 연근까지 옮겨 간예는 아직 없다.

- 그러나 이병이 심한 곳은 지엽이 적고 연근이 건전한 것에 비하여 ⅓~¼정도의 것이 많다.

 

○ 병원

- 이 병은 불완전균류의 기생에 의한다. 균사의 형태는 병환부에 붙어서 월동하고,

   이른 봄 이로부터 분생 포자가 생겨 공기 전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방제 법

- 특별히 보고된 것이 없으므로 적정시비, 이병주 제거 등 기초적인 예 방이 바람직하다.

 

3. 연 갈색무늬 병 

○ 영명 : Brown leaf spot

○ 학명 : Alternatia nelumbii(ELL. et EV.) Enlows at Rand. 

○ 병징

- 잎의 표면에 갈색 또는 암갈색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병반이 생기고 동심윤문(同心輪紋)을 만든다.

- 잎 뒷면의 병반은 더욱 진한 색이다.

- 병반은 잎의 가장자리 주변에 많고 거의 검은색의 곰팡이가 나온다.  

○ 병원

- 이병은 불완전균류가 기생한 것이다.

- 7월 상순에는 3~4일의 잠복기를 지나서 발병한다.

- 이 균은 분생 포자 형태로 병이 걸린 잎에서 월동하고 이른 봄부터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방제법 은 연 부패병에 준 한다.

 

5. 연 반엽병 

○ 영명 : Candelospora leaf spot

○ 학명 : Candelospora nelumbii Sakaguchi 

○ 병징

- 여름철 고온 다습할 때 주로 잎에 발생하며 때로는 엽병, 화탁, 화경 등에도 침입한다.

- 잎 표면의 가장자리가 진한 갈색으로 주변이 물들어 건전부와 경계가 지워지고 표면은

   다소 함몰하고 뒷면은 위축하여 회색즙액이 나타난 다.

- 일수가 지남에 따라 동심윤문을 형성하며 다습한 경우는 흰 곰팡이가 병반면에 나타난다.

   엽병이나 화경에는 흑다색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 병이 걸린 연근은 충분히 발육하지 않는다.  

○ 병원

- 이 병은 불완전 균류의 기생에 의한다.

- 발육의 적온은 24℃내외, 최고 32℃, 최저 5℃내외다. 

방제 법 : 발병 기에 보르도액을 살포한다.

 

6. 연 밤나방 

○ 형태 : 거세미나방, 파밤나방과 같은 종류

   - 벌레크기 : 37~45mm

   - 발생회수 : 연4~5회

   - 1회 산란 수 : 40~60개

   - 습성 : 나방-야행성 유충-잡식성

   - 월동 : 번데기로 두엄, 땅속, 숲 등

○ 방제 : 초기 약제 살포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