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석은 척 하되 미치지는 마라!
세상을 살아가는 처세술 중에 가장 힘든 것이 자신의 능력을 감추고 바보인척 살아가는 일입니다.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이런 처세의 원칙을 난득호도(難得糊塗)라고 합니다. ‘바보(糊塗)인척 하기는, 정말 어려운(難))일이다’라는 뜻입니다. 전쟁터에서 가치부전(假痴不癲)이란 병법도 이와 유사한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가(假)는 ‘가장하다’라는 뜻이고 치(痴)는 어리석을 치(痴)자입니다. 어리석은 사람처럼 가장하라! 아니 부(不)자에 미칠 전(癲)자, 그러나 진짜 미친 것은 아니다! 가치부전(假痴不癲), 전략상 상대방에게 나를 어리석게 보이게는 하되, 정말 바보라서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삼국지의 조조가 유비를 불러 그의 능력을 시험하려 하였을 때 유비는 이 가치부전의 전략을 사용하여 조조의 의심을 풀게 합니다. 천둥이 쳤을 때 일부러 젓가락을 떨어뜨리며 두려워 떠는 모습을 보임으로서 조조에게 상대가 안 될 것이라는 믿음을 주게 하여 전략적으로 훗날을 도모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었던 것도 이 가치부전의 전략이었습니다. <손자병법>에도 자신의 모습과 의도를 상대방에게 보이지 말라고 충고하면서 ‘상대방의 의도와 모습은 밖으로 드러나게 하고, 나의 의도나 모습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라(形人而我無形이라)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병법에서 말하는 보일 시(示)에 모습 형(形)자, 시형법(示形法)입니다. 시형법이란 상대방에게 내 모습을 자유자재로 보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나를 상대방에게 유능한 사람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고 바보 같은 사람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진정 똑똑한 사람은 상대방이 볼 때 어리석은 사람 같다(大智若愚).’ 노자에서 강조하는 철학입니다.
假 痴 不 癲
가 치 부 전
어리석은 사람처럼 보이되 진짜 미친 것은 아니다.
자신의 능력을 남에게 보이는 것도 인생을 살아가는 전략이지만, 때로는 내 광채를 숨기고 어리석은 사람처럼 보이는 것도 인생의 고도전략 중에 하나입니다. 똑똑한 사람은 쉽게 자신의 재능을 밖으로 내보이지 않는 사람입니다. 상대방에게 어리석은 사람처럼 보여 안심시켜 훗날을 도모하는 전략, 가치부전(假痴不癲)의 병법은 똑똑한 사람들로 넘쳐 나는 시대에 역발상의 철학입니다.
똑똑한 척 하는 사람이 오히려 상대하기 쉽습니다.
假 痴 不 癲
거짓 가, 어리석을 치, 아니 불, 미칠 전
첫댓글 참 어려운 일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