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수양버드나무
 
 
 
카페 게시글
◈,·´″″°³ 건강의 향기 스크랩 엽산과 구연산
우체부 추천 0 조회 105 08.11.27 18:2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 유기산(Organic acid)

    말산(능금산)·구연산·옥살산·타르타르산 등, 좁은 뜻으로는 카르복시산을      가리킨다.


◎ 구연산(Citric acid)

- 유래 :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다염기(多鹽基) 유기산의 하나이다.

        구연이란 시트론 citron의 한자명이며, 시트론을 비롯하여 레몬이나 덜 익은 광귤 등 감귤류의 과일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데에서 연유한다. 영어명인 citric acid의 citric도 감귤류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citrus에서 유래한 것이다.


- 형태 : 화학식 C6H8O7로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다.


- 기능 : 식품에 첨가하거나, 분석시약 또는 혈액응고저지제로 사용된다.


- 급원식품 : 주요 급원식품으로는 레몬, 감귤류 등의 과일류 이다.


작물

유기산 함량

주요 구성 성분

사과

0.2~0.8

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0.2

malic acid, citric acid

포도

0.31~0.95

tartaric acid 40~60%, malic acid

복숭아

0.5

malic acid, citric acid

복숭아(황도)

1

 

단감

0.1~0.15

malic acid이 주, citric acid, tartaric acid

감귤(온주밀감)

1.04~1.20

citric acid 75.7~96.2%

매실

4~5

citric acid, malic acid

레몬

6~7

citric acid

자두

1~2

malic acid

석류

1.5

citric acid

딸기

0.6~1.5

malic acid, citric acid

완숙토마토

0.7

citric acid 0.3~1%

유자

과육 6.6, 과피 4.6

citric acid가 전체 유기산중

과피 62.3%, 과육 56.4%

파인애플

0.5~3

malic acid, citric acid

                   주요 과일류중 유기산의 양                  (%)

*출처 : http://gwail.gsnd.net/gam/gamhyoneong.htm

◎ 엽산(Folic acid)

 - 형태 :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폴산이라고도하며 화학식은 C19H15N7O6이이다.

프로테일굴루탐산(Pteroylglutamic acid, Folic acid)과 그와 비슷한 활성을 가진 유도체들을 총체적으로 일컬으며, 식품과 체내에 존재하는 엽산의 주된 형태는 환원형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단일탄소 단위와 글루탐산이 약 1~6개까지 추가로 연결괸 프테로일폴리글로타메이트(Pteroylpolyglutamate)이다. 반면 엽산 보충제나 식품 중에 강화된 엽산은 비교적 안정한 Folic acid의 형태로 들어있다.


- 기능 : 엽산은 핵산과 아미노산 대사에서 단일탄소 전이 반응에

         조효소역할을 한다. DNA 합성에 필요한 티미딜레이트(Thymidylate)가 합성되기 위해서는 엽산이 꼭 필요하므로 엽산이 부족하면 세포분열이 정상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퓨린합성, 히스티딘의 분해, 세린과 글리신의 상호전환, 메티오닌의 합성에 관여한다. 특히 호모시스테인으로부터 합성된 메티오닌은 S-아데노실메티오닌(S-adenosylmethionine)으로 전환된 후 체내에 필요한 여러 대사과정에서 메틸기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물질로 작용한다.


- 급원식품 : 한국인의 상용식품에 대한 엽산함량을 측정한 결과 단위중량 당 엽산의 함량이 높은 식품은 대두, 녹두 등의 두류, 시금치, 쑥갓 드의 채소류, 마른김, 다시마 등의 해조류 등이었으며 가장 좋은 급원식품으로는 한국인이 자주섭취하는 김치와 밥이었고 그 외에 달걀, 김, 시금치, 콩나물 등도 엽산의 좋은 급원식품이었다.








식품명

함량

식품명

함량

식품명

함량

김(마른것)

1530

멸치

74 

고추(풋고추)

22 

돼지고기, 간

779 

오렌지

65 

21 

쇠고기, 간

716 

마늘

63 

호박

21 

대두

573 

양송이버섯

59 

닭고기, 다리

19 

깨(흰깨)

199 

무김치, 

깍두기

59 

수박

19 

시금치

196 

토마토

47 

오징어

19 

무김치, 

총각김치

181 

보리

44 

쇠고기, 곱창

18 

조기

168 

배추김치

43 

햄버거

17 

떡(팥시루떡)

145 

참다랑어

통조림

43 

두부

17 

돼지고기, 족발

139 

배추

38 

17 

느타리버섯

129 

오이

36 

달걀

16 

미역(건)

125 

쥐치포

36 

닭고기, 날개

16 

양배추

125 

바나나

35 

맥주

14 

땅콩

122 

고추가루

34 

아이스크림

14 

조개, 굴

115 

표고버섯

33 

국수

13 

딸기

114 

레몬

31 

피자

13 

콩나물

106 

당근

29 

고구마

13 

조개, 바지락

102 

라면

28 

복숭아

12 

깻잎

92 

감자

27 

양파

12 

고추장

88 

조개, 꼬막

24 

참외

11 

된장

88 

꽁치

22 

밀가루

10 

갓김치

75 

빵(식빵)

22 

감귤(임온주)

7

                     상용식품 중 엽산의 양               (㎍/100g)


*출처 : 식품성분표 제7개정판, 식품의영양성분DB구축사업, 한국인영양섭취기준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