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recorded world 상시 기록되는 세상
Every step you take 유비퀴터스 세계
As cameras become ubiquitous and able to identify people, more safeguards on privacy will be needed
인간을 식별하는 카메라가 가득한 유비퀴터스 세상, 더욱 강화된 사생활 보호장치 필요
Nov 16th 2013 |From the print edition
[1] “THIS season there is something at the seaside worse than sharks,” declared a newspaper in 1890. “It is the amateur photographer.” The invention of the handheld camera appalled 19th-century society, as did the “Kodak fiends” who patrolled beaches snapping sunbathers.
"이번 여름 상어보다 충격적인 것이 해변에 출현했다."고 1890년 한 신문사가 대서특필했다. 19세기말 휴대용 카메라의 발명은 사회를 경악시켰다. 코닥피엔즈 카메라는(Kodak fiends) 해변가에서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사람들을 쫓아 휩쓸고 다녔다.
[2] More than a century later, amateur photography is once more a troubling issue. Citizens of rich countries have got used to being watched by closed-circuit cameras that guard roads and cities. But as cameras shrink and the cost of storing data plummets, it is individuals who are taking the pictures.
한 세기가 지난 이후, 아마추어 사진기술은 다시 한번 이슈에 오르고 있다. 선진국 시민들은 도로와 도시전체를 감시하는 CCTV 카메라에 노출되는데 익숙해져 있다. 카메라 초소형화와 데이터저장 비용하락이 진전되면서 이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은 개인들 자신들이다.
Through a Glass, darkly 구글글래스를 통해 더욱 은밀하게
[3] Some 10,000 people are already testing a prototype of Google Glass, a miniature computer worn like spectacles (see article). It aims to replicate all the functions of a smartphone in a device perched on a person’s nose. Its flexible frame holds both a camera and a tiny screen, and makes it easy for users to take photos, send messages and search for things online.
대략 만여 명의 사람들이 안경형태의 초소형 컴퓨터 구글글래스를 시연하고 있다. 안경 형태의 디바이스 구글글래스는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연한 프레임의 구글글래스는 카메라와 초소형 스크린을 장착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사진을 찍고, 메시지를 보내고, 온라인 검색이 가능하다.
[4] Glass may fail, but a wider revolution is under way. In Russia, where insurance fraud is rife, at least 1m cars already have cameras on their dashboards that film the road ahead. Police forces in America are starting to issue officers with video cameras, pinned to their uniforms, which record their interactions with the public. Collar-cams help anxious cat-lovers keep tabs on their wandering pets. Paparazzi have started to use drones to photograph celebrities in their gardens or on yachts. Hobbyists are even devising clever ways to get cameras into space.
구글글래스가 실패 할 수도 있지만 더 큰 (연구)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보험사기가 난무하는데, 카메라가 장착된 백만대 정도의 차량이 전방도로의 장면들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경찰관들이 비디오카메라가 장착된 유니폼을 입고 시민들과의 대화장면을 기록하고 있다. 칼라캠(collar-cam)은 길 잃은 애완동물들에 대해서 애완동물애호가들이 관찰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파파라치는 정원이나 요트에 있는 유명 인사를 촬영하는데 드론(drone/무인정찰기)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동호인들은 우주공간에 카메라를 보내는 방법도 고안하고 있다.
[5] Ubiquitous recording can already do a lot of good. Some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have been given cameras: looking back at images can help them recover their memories. Dash-cams can help resolve insurance claims and encourage people to drive better. Police-cams can discourage criminals from making groundless complaints against police officers and officers from abusing detainees. A British soldier has just been convicted of murdering a wounded Afghan because the act was captured by a colleague’s helmet-camera. Videos showing the line of sight of experienced surgeons and engineers can help train their successors and be used in liability disputes. Lenses linked to computers are reading street-signs and product labels to partially sighted people.
유비쿼터스적인 자료기록에는 긍정적인 점이 많다. 뇌손상 환자들에게 카메라가 있다면, 사진 이미지에서 과거를 회상해서 기억을 회복하는데 도와 줄 수 있다. 대시캠(dash-cam)은 보험청구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에게 더 나은 안전운전을 유도 할 수 있다. 폴리스캠(Police-cam)은 범죄자들이 경찰관에게 근거없는 협박을 못하도록 예방하고 경찰관들이 수감자를 폭행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영국 한 군인이 부상당한 아프가니스탄인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판결 되었을 때 동료의 헬멧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능한 외과의사와 공학자의 의견이 들어 있는 영상메시지를 통해 대리인을 도와 책임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 컴퓨터가 부착된 렌즈를 통해 부분시력손상이 있는 사람들이 거리교통신호와 제품이름을 식별할 수 있다.
[6] Optimists see broader benefits ahead. Plenty of people carry activity trackers, worn on the wrist or placed in a pocket, to monitor their exercise or sleep patterns; cameras could do the job more effectively, perhaps also spying on their wearers’ diets. “Personal black boxes” might be able to transmit pictures if their owner falls victim to an accident or crime. Tiny cameras trained to recognise faces could becom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aking conversations as searchable as documents and e-mails. Already a small band of “life-loggers” squirrel away years of footage into databases of “e-memories”.
낙관론자들은 미래에 혜택이 많다고 본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운동이나 수면 패턴을 모니터하기 위해 손목이나 포켓에 활동추적기(activity tracker)를 휴대할 것이다. 이때 카메라가 효율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주인의 식단을 모니터할수 있다. "개인용 블랙 박스"는 주인이 사고나 범죄 노출 될때 사진을 전송 할 수도 있다. 초소형 얼굴인식 카메라는 음성으로 문서와 이메일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개인 디지털 어시턴트 역할을 할수 있다. 이미 "life-loggers"라는 소형밴드가 수년간의 영상기록을 "e-memories" 데이터베이스에 이동저장할수 있다.
[7] Not everybody will be thrilled by these prospects. A perfect digital memory would probably be a pain, preserving unhappy events as well as cherished ones. Suspicious spouses and employers might feel entitled to review it.
모든 사람들이 이런 미래를 환영하지는 않는다. 완벽한 디지털 메모리는 누군가엔 소중한 추억이 되고 다른이에겐 고통이 따르는 불행한 기억이 될수도 있다. 의심많은 배우자와 사장들은 디지털 메모리를 검토하려 할 것이다.
[8] The bigger worry is for those in front of the cameras, not behind them. School bullies already use illicit snaps from mobile phones to embarrass their victims. The web throngs with furtive photos of women, snapped in public places. Wearable cameras will make such surreptitious photography easier. And the huge, looming issue is the growing sophistication of face-recognition technologies, which are starting to enable businesses and governments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by scouring the billions of images online. The combination of cameras everywhere—in bars, on streets, in offices, on people’s heads—with the algorithms run by social networks and other service providers that process stored and published images is a powerful and alarming one. We may not be far from a world in which your movements could be tracked all the time, where a stranger walking down the street can immediately identify exactly who you are.
더 큰 걱정은 카메라 후방이 아닌 카메라 전방의 기록물들이다. 학교 불량배들은 약자들을 괴롭히는데 휴대전화 스냅샷을 악용하고 있다. 인터넷은 공공장소에서 여성의 은밀한 부위를 촬영한 사진으로 가득하다. 착용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불법적인 사진촬영이 용이해질 것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얼굴 인식 기술이 더욱더 정교해져서 기업이나 정부가 인터넷 상의 수많은 개인정보 이미지를 축적할수 있게 되었다. 술집, 거리, 사무실, 사람들 머리에서 모아지는 카메라 정보를 조합하여 소셜네트워크와 서비스 제공자가 저장된 이미지를 알고리듬으로 변환적용하면 강력한 위협도구가 될수 있다. 당신의 움직임이 항상기록되는 세상과 멀지 않은 곳에 우리는 살고 있다. 거리를 걷다가도 낯선 사람이 즉각 당신이 누구인지 정확히 식별할수 있는 것이다.
Sovereign over your own body and mind—and face 당신의 신체 정신 얼굴에 주권을 되찾자
[9] This is where one of this newspaper’s strongly held beliefs—that technological progress should generally be welcomed, not feared—runs up against an even deeper impulse, in favour of liberty. Freedom has to include some right to privacy: if every move you make is being chronicled, liberty is curtailed.
여기서 The Economist는 강력히 주장한다. 기술적 진보는 환영 받아야 하고 자유의 편에서 충격이 크더라도 두려워 말자. 자유에는 개인의 사생활 보호가 포함되어야 한다. 당신의 모든 활동이 기록된다면 당신의 자유는 축소될 것이다.
[10] One option is to ban devices that seem irksome. The use of dashboard cameras is forbidden in Austria. Drivers who film the road can face a ?10,000 ($13,400) fine. But banning devices deprives people of their benefits. Society would do better to develop rules about where and how these technologies can be used, just as it learned to cope with the Kodak fiends.
하나의 선택은 불필요한 디바이스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다. 대시보드 카메라 사용은 오스트리아에서 금지되어 있다. 도로를 촬영하는 운전자는 10,000유로 (13,400달러) 벌금에 처할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사용금지는 사람들에게 이로운 혜택을 빼앗아 갈수 있다. (1세기전) 코닥프렌즈 카메라 출현 때 얻은 교훈대로 이러한 저장 기술들이 사용되는 장소와 방법에 대한 규정을 만드는 것이 우리 사회는 더 시급하다.
[11] For the moment, companies are treading carefully. Google has banned the use of face-recognition in apps on Glass and its camera is designed to film only in short bursts. Japanese digital camera-makers ensure their products emit a shutter sound every time a picture is taken. Existing laws to control stalking or harassment can be extended to deal with peeping drones.
당장은 기업들이 조심스럽게 나아가고 있다. 구글은 구글 글래스 앱 사용시 얼굴 인식 기능 사용을 금지하고 카메라는 짧은 시간만 촬영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본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들은 사진을 촬영할 때마다 셔터 소리를 내도록 제품을 보장설계했다. 스토킹이나 괴롭힘을 통제하는 현행법은 사생활 침해하는 드론문제를 해결할수 있도록 확대되어야 한다.
[12] Still, as cameras become smaller, more powerful and ubiquitous, new laws may be needed to preserve liberty. Governments should be granted the right to use face-recognition technology only where there is a clear public good (identifying a bank robber for instance). When the would-be identifiers are companies or strangers in the street, the starting-point should be that you have the right not to have your identity automatically revealed. The principle is the same as for personal data. Just as Facebook and Google should be forced to establish high default settings for privacy (which can be reduced at the user’s request), the new cameras and recognition technologies should be regulated so as to let you decide whether you remain anonymous or not.
카메라가 소형화되고 첨단기능으로 유비퀴터스화 됨에 따라 자유를 수호하기 위한 새로운 법칙이 필요하다. 정부는 (은행 강도 식별 같은) 확실한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만 얼굴 인식 사용 권한을 사용해야 한다. 용의 선상의 식별대상자가 거리에서 발견될 때 그 시작점은 당신의 신원을 자동으로 밝혀 않을 권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원칙은 개인 자료 보호와 동일하다. 페이스북이나 구글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감소 될 수 있는) 개인정보 노출에 대해 상급의 디폴트 설정을 요구하는 만큼 새로운 카메라와 인식기술은 당신이 익명성을 요구한다는/하지않는다는 결정에 따르도록 규제되어야 한다.
[13] Silicon Valley emphasises the liberating power of technology—and it is often right. But the freedom that a gadget gives one person can sometimes take away liberty from another. Liberal politicians have been lazy about defending the idea of personal space, especially online. The fight should start now. Otherwise, in the blink of an eye, privacy could be gone.
실리콘 밸리는 기술에 대한 자유 권리를 강조한다. 종종 바르게 사용된다. 첨단제품이 한 사람에게 가져다 주는 자유는 때로는 타인의 자유를 빼앗아 갈 수 있다. 자유신봉주의 정치지도자들은 온라인상의 개인정보 보호에 소흘해 왔다. 이제 시작할 때이고, 그렇지 않으면 눈 깜짝 할 사이에, 개인의 사생활은 사라질 것이다.
From the print edition: Leaders
|
첫댓글 첨단기기 단어들...번역 오래걸렸네요...^^
Ubiquitous recording can already do a lot of good. 유비쿼터스 라고 번역하는 게 나은가요?
딴지 아니고 질문입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감사하게 봅니다.
괜찮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Van! 그래도 시간이 꽤 걸리셨을텐데... 공유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 정보감사합니다~전에 통대준비할때 이코노미스트 공부한거 매주 카페 번역올리면서 스터디했었는데 그때 기억도 새록새록나고 좋네요. 시간 오래걸렸을텐데 소중한 자료 잘 보겠습니다~
힘이 되는 댓글 감사드립니다. ..^^ 이코노미스트 추억이 새록새록. ..좋아요 ^^
오~오늘 이거 공부해야겠다 감사드려요~^^
감사합니다^^ 예전에 들었던 부분이있어서 관심이 갑니다 ㅎㅎㅎ
전 뒤늣게 발견하고 지금 공부하려고 프린트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처음 들어 왔는데 좋은 것 같아요...오늘 같은 열정으로 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