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 늦은 장마로 인해 작업이 상당히 지연이 되었습니다.
현재 도급공사가 진행중인 현장이 있는데 우천으로 인해 잠시 보류가 된 상태이며 판교현장에 팀원들을
모으고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작업 내용은 천장 커튼 박스 작업과 그에 맞는 천장마감 작업인 달대 작업이 있으며
마감된 천장 벽체부분에 석고보드 작업이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해당 현장은 석고보드가 2겹으로 시공이 되며 그 과정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천장의 모습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붕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막아주고 투습,방수기능이 있는 스카이텍 열반사 단열재가 보이는군요.
해당 자재위로는 인슐레이션 단열재가 있으며 그 위로도 스카이텍이 한번 더 시공되어 있습니다.
뛰어난 단열공사를 자랑하는 현장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커튼 박스와 천장 마감선을 위해서는 각재를 이용한 달대작업을 진행합니다.
보편적으로 벽체구성에 마감선을 지정하고 일정 간격별로 디자인 구성에 맞게 작업을 하게 됩니다.
아래 사진에서 설명을 이어갑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점검구나 전기조명기구 혹은 기타 설비기구등이 고정되어야 할 부분에 사각으로 각재를
이용하여 제작을 하는데 향후 고정시 무게에 의해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고
정확한 위치에 시공하여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달대작업이 끝나면 천장에는 석고보드를 시공하게 됩니다.
석고는 석고 전용피스는 매거진 피스를 이용하게 되며 일반 타카핀보다 조인트 역활이 강하고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타카핀에 비해 자국이 많이 남는 단점이 있는 매거진 피스지만 견고한 고정과 안정된 마감을 위해서는
사용해야 할 부속중 하나입니다.
2겹으로 시공할때에도 석고보드의 뒷면에 석고본드를 접착하여 같은 매거진 피스로 고정합니다.
타카핀으로 고정하는 경우도 많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고정을 완벽하게 요구하는 조건이라면 작업시
불편해도 작업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모던 스타일의 특징을 살려서 창가에는 커튼박스를 구성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석고로 커튼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으므로 내수합판이나 일반합판으로 작업을 하며
심플형으로 간접 조명을 발산할 수 있는 공간도 제작하였습니다.

아울러 천장의 마감 테두리는 심플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보편적인 백색 컬러의 제품을 선호합니다.
아무래도 천장 도배의 컬러에 잘 어울리기도 하며 진한 색상이 있는 도배지라면 몰딩의 선택도
한번은 생각해줘야 하는 부분입니다.

과거 랩핑몰딩이나 도장 몰딩의 경우 시공후 별도의 관리를 주어야 했지만 해당 제품을 잘 보시면 고정용
날개가 있어서 해당 부분에 도배로 덮게 되므로 고정된 흔적을 감출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던 스타일의 인테리어에서 주로 기능성 몰딩이 많이 있으며 요즘은 벽체에 몰딩을 고정하여 천장 마감재를
맞춰서 끼워 넣는 방식의 몰딩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 조명의 위치에는 심플한 함몰형 등박스가 구성된 모습입니다.
전체적으로 심플하게 구성이 되어 있는 모습이며 아직 마감이 진행중인 상태입니다.

당분간은 내부 석고 작업을 진행하고 일부 도어의 시공이 있을 예정입니다.
모쪼록 깔끔한 마감을 선보이도록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판교에서 빌더하우스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