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출제예상문제 공략하기 !
1. 다음 가스 중 무게가 가장 가벼운 것은?
① 수소
② 산소
③ 헬륨
④ 질소
정답 : ①
분자량이 가장 작은 것이 가장 가볍다.
2. 애드밸룬에 수소가스를 넣었을 때 위험은?
① 화재발생 및 화상을 당할 수 있다.
② 냄새가 심하게 난다.
③ 소리가 심하게 난다.
④ 중독의 위험이 있다.
정답 : ①
수소는 최소점화에너지가 매우 작아 주변의 작은 정전기에 의해서도 쉽게 연소·폭발할 수 있어 화재 발생 및 화상을 당 할 수 있다.
3. 다음 중 추운 겨울철 날씨(-10℃ 1atm)에서 액체상태로 있는 것은?
① 메탄
② 프로판
③ 부탄
④ 수소
정답 : ③
수소 -252.8℃, 메탄 -162.0℃, 프로판 -42.1℃, 부탄 –0.5℃
4. 가연성가스로 취급되는 것은?
① 이산화탄소
② 수소
③ 헬륨
④ 질소
정답 : ②
5. 표준대기압이 아닌것은?
① 10.332 mH₂O
② 760 mHg
③ 101,325 Pa
④ 1.0332 kgf/cm²
정답 : ②
760 mmHg
6. 액화프로판의 액비중 및 액밀도(15℃)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액밀도는 0.5kg/L이다.
② 1L의 질량은 0.5kg이다.
③ 비중은 0.5이다.
④ 물보다 무겁다.
정답 : ④
물보다 가볍다.
7.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료가스는 크게 두가지 이며, 도시가스와 액화석유가스가 있다.
① 맞다
② 틀리다
정답 : ①
8. 가스의 취급을 소홀히 하면 폭발, 화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① 맞다
② 틀리다
정답 : ①
9. 다음 중 가연성가스는 밀폐된 장소에서 가스사용 중 일산화탄소 중독 또는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사고가 발생 할 수 있다.
① 맞다
② 틀리다
정답 : ①
10. 다음 중 최근 5년간 가스사고를 원인별로 보면, 사용자취급부주의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① 맞다
② 틀리다
정답 : ①
최근 5년간 사고통계에 의하면 취급부주의 사고가 58.5%로 가장 많고 시설미비(25.0%),
제품불량(6.2%) 기타(6.3%) 순이다.
2 - 2
1.다음 가스 중 끓는점이 가장 낮은 것?
① 수소
② 산소
③ 헬륨
④ 질소
정답 : ③
2. 가스의 끓는점 : 헬륨 -268.6℃, 수소 -252.8℃, 질소 -185.8℃, 산소 -183.0℃
다음 중 부피가 22.4 L일 때 무게가 가장 가벼운 것은?
① 수소
② 산소
③ 헬륨
④ 질소
정답 : ①
분자량이 작은 것이 더 가볍다.
3. 다음 중 북극의 추운 겨울철 날씨(-50℃ 1atm)에서도 기체상태로 있는 것은?
① 프로판 ③ 수소
② 부탄 ④ 헥산
정답 : ③
끓는점 : 수소 -252.8℃, 프로판 -42.1℃, 부탄 -0.5℃, 헥산 68.0℃
4. 조연성가스가 아닌 것은?
① 일산화탄소③ 불소
② 염소 ④ 공기
정답 : ①
일산화탄소는 가연성 가스이다.
5. 절대압력과 게이지압(양압)의 관계식은?
① 절대압 = 대기압 - 게이지압
② 절대압 = 대기압 + 게이지압
③ 절대압 = 대기압 ÷ 게이지압
④ 절대압 = 대기압 × 게이지압
정답 : ②
절대압 = 대기압 + 게이지압
6. LPG에 대한 증기압으로 틀린 것은?
① 동일온도 및 동일 성분에서는 항상 일정한 증기압을 갖는다.
② 사용함에 따라 액체의 양이 줄고 이에 따라 증기압도 따라서 감소한다.
③ 증기압과 측정온도를 알면 성분비율을 알 수 있다.
④ 프로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기압이 증가한다.
정답 : ②
증기압은 액량의 감소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7. 다음 중 휴먼에러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망각 ③ 피로
② 안전장치 작동불량④ 실수
정답 : ②
8. 다음 중 휴먼에러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과도한 스트레스
② 불안정한 심리상태
③ 인간공학적인 작업설계
④ 산만한 태도
정답 : ③
9. 다음 중 휴먼에러의 원인으로 맞는 것은?
① 직무적성에 맞는 인사배치 ② 인간공학적인 작업설계
③ 교육 및 훈련 ④ 무리한 업무지시
정답 : ④
다음 중 휴먼에러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안전장치 및 시스템개선 ② 인간공학적인 작업설계
③ 심적·신체적 안정 유지 ④ 복잡하고 신속한 업무처리
정답 : ④
2 - 3
1. 다음 가스중 임계온도가 가장 낮은 것?
① 수소 ② 산소
③ 헬륨 ④ 질소
정답 : ③
가스의 임계온도 : 헬륨 -267.9℃, 수소 -239.9℃, 질소 -147.2℃, 산소 -118.6℃
2. 다음 중 부피가 22.4 L일 때 무게가 가장 무거운 것은?
① 수소 ③ 헬륨
② 질소 ④ 산소
정답 : ④
분자량이 큰 것이 더 무겁다.
3. 압축가스로 취급되는 것은?
① 프로판 ③ 수소
② 부탄 ④ 염소
정답 : ③
4. 불연성가스로 취급되는 것은?
① 일산화탄소 ③ 불소
② 염소 ④ 헬륨
정답 : ④
일산화탄소는 가연성가스이고 불소, 염소는 조연성가스이다.
5. 절대압력과 진공압의 관계식은?
① 절대압 = 대기압 – 진공압 ③ 절대압 = 대기압 ÷ 진공압
② 절대압 = 대기압 + 진공압 ④ 절대압 = 대기압 × 진공압
정답 : ①
절대압 = 대기압 – 진공압
6. 다음 중 완전 연소시 이산화탄소(CO₂)가 생성되지 않는 것은?
① 메탄 ③ 아세틸렌
② 암모니아 ④ 부탄
정답 : ②
암모니아(NH₃)의 분자에는 탄소원자가 없다.
7. 가연성물질이 불완전연소 하였을 때 발생하는 것은?
① CO2 ③ CH4
② CO ④ C3H8
정답 : ②
8. 다음 중 인체의 혈액 중에 있는 헤모글로빈(혈액소)과 급격히 반응하여 O₂(산소)의 순환을 방해 하는 것은?
① 이산화탄소 ③ 일산화탄소
② 탄소 ④ 질소
정답 : ③
9. 다음 중 일산화탄소 중독시 긴급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창문을 개방하고 환자를 신선한 장소로 옮긴다.
② 머리를 앞으로 젖히고 턱을 내려 기도를 유지시킨다.
③ 호흡이 멈출 경우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④ 고압산소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한다.
정답 : ②
10. 다음 중 산소결핍 농도 기준으로서 맞는 것은?
① 16% 미만
② 18% 미만
③ 20% 미만
④ 22% 미만
정답 : ②
11. 용접용기는 경판과 동판을 성형 후 용접하여 제작한 것을 말한다. 다음 중 용접용기에 충전할 수 없는 가스는?
① LP가스 ③ 아세틸렌
② 이산화탄소 ④ 암모니아
정답 : ②
상온에서 높은 증기압을 갖는 이산화탄소는 이음매 없는 용기에 충전한다.
(20℃에서 58.4㎏/㎠의 증기압을 갖는다.)
12. LP가스 사용시설에서 가스계량기를 설치하여 소비자가 사용한 가스량에 대해서 공급자에게 요 금을 지불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중량거래방식 ③ 체적거래방식
② 열량거래방식 ④ 용기거래방식
정답 : ③
13. 밸브 개폐 손잡이를 90도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히 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의 명칭은?
① 볼밸브 ③ 체크밸브
② 글로우브밸브 ④ 버터플라이밸브
정답 : ①
14. 탱크나 용기 내에 충전된 액화상태의 가스를 전열,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용하여 강제로 기체 가스로 만드는 장치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압력조정기 ③ 반응기
② 벌크로리 ④ 기화장치
정답 : ④
15. 다음 중 허가대상 가스용품이 아닌 것은?
① 압력조정기 ③ 가스누출자동차단장치
② 가스레인지(시간당 가스소비량 14,400㎉/h) ④ 기화기
정답 : ④
기화장치는 특정설비에 해당한다.
16. 연소기 전단에 중간밸브로 설치하며 과류차단안전기구가 부착된 것으로서 호스가 빠지거나
절단되었을 때 가스 통로를 자동으로 차단해 주는 장치는?
① 호스콕 ③ 노즐콕
② 퓨즈콕 ④ 볼콕
정답 : ②
17. 다음 중 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자가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공사를 완공한
때에는, 그 시설의 사용 전에 받아야 하는 것은?
① 정기검사 ③ 자율검사
② 완성검사 ④ 수시검사
정답 : ②
18. 다음 중 가스사용자가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설치공사 또는 변경공사를 완공한 때에 그 시설이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그 시설의 사용전에 받아야 하는 것은?
① 정기검사 ③ 자율검사
② 완성검사④ 수시검사
정답 : ②
19. 고압가스시설 중 특정고압가스사용신고자의 정기검사 주기로 맞는 것은?
①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15일 이내
②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30일 이내
③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3개월 이내
④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6개월 이내
정답 : ①
20. 도시가스시설 중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정기검사 주기로 맞는 것은?
①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15일 이내
②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30일 이내
③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3개월 이내
④ 매년 완성검사증명서를 발급받은 날의 전후 6개월 이내
정답 : ②
2 - 4
1. 다음 가스 중 공기 중에 가장 많이 있는 것?
① 수소 ③ 헬륨
② 산소 ④ 질소
정답 : ④
2. 다음 중 질량이 동일할 때 표준상태(0℃ 1atm)에서 부피가 가장 큰 것은?
① 수소 ③ 헬륨
② 질소 ④ 산소
정답 : ①
동일 질량일 때 분자량이 작은 것이 부피가 더 크다.
3. 액화가스로 취급되는 것은?
① 수소 ③ 부탄
② 질소 ④ 알곤
정답 : ③
4. 다음 중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① 일산화탄소 ③ 염소
② 프로판 ④ 질소
정답 : ③
염소 293ppm, 일산화탄소 3,760ppm
5. 다음 중 같은 온도에서 증기압이 가장 높은 것은?
① 메탄 ③ 프로판
② 에탄 ④ 부탄
정답 : ①
분자량이 작은 메탄이 증기압이 높다.
6. 다음 중 소량으로 동일부피의 가스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큰 것은?
① 메탄 ③ 암모니아
② 부탄 ④ 수소
정답 : ②
소량의 누출가스가 폭발하기 위해서는 연소범위의 하한값을 초과하여야 하므로 하한값이
낮은 것이 폭발의 위험이 크다.
7. 다음 중 6대 가스사고 사례로 맞지 않는 것은?
① 가스보일러 사고 ③ 조정기 파열사고
② 막음조치 미비 사고 ④ 이동식부탄연소기 사고
정답 : ③
8. 다음 중 6대 가스사고 사례로 맞지 않는 것은?
① 고의 사고 ③ 용기파열 사고
② 타공사 사고 ④ 굴착공사 사고
정답 : ③
6대 가스사고란 국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사고로 빈도가 높은 가스보일러사고, 이동식부탄연소기 사고, 막음조치미비 사고, 독성가스 사고, 타공사(굴착공사 등)사고, 고의사고가 있다.
9. 다음 중 6대 가스사고 사례로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① 고의사고, 가스보일러 사고 ③ 막음조치 미비 사고, 기화장치 사고
② 타공사 사고, 독성가스 사고 ④ 가스보일러 사고, 독성가스 사고
정답 : ③
10. 다음 중 보호설비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분말소화기 ③ 안전모
② 공기호흡기 ④ 안전화
정답 : ①
보호설비는 신체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공기호흡기, 안전모, 안전화 등을 말한다.
11. 액화산소, 액화질소, 액화알곤 등을 주로 저장하는 용기는?
① 초저온 용기③ 아세틸렌 용기
② 용접용기 ④ 세라믹 용기
정답 : ①
12. 값이 저렴하고 설치 후 유지관리가 편리하나 대용량의 것은 설치면적이 큰 단점이 있어 일반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가스계량기는?
① 드럼형 ③ 다이아프램식
② 터빈형 ④ 루트식
정답 : ③
13. 용기 외면에 해골모양의 그림이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 충전되어 있는 가스로 틀린 것은?
① 염소 ③ 포스겐
② 암모니아 ④ 산소
정답 : ④
독성가스를 충전한 용기의 외면에는 해골모양 그림의 표시를 부착한다.
14. 다음 중 기화장치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① 가스사용량이 많을 때에는 연속공급이 불가능하다
② 자연기화방식보다 용기수가 적어져 설치장소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③ 겨울철에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④ 초기설비와 유지관리에 비용이 소요된다.
정답 : ①
15. 다음 중 연소기의 급·배기방식에 의한 분류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개방형 : 급기(실내), 배기(실내) ③ 밀폐형 : 급기(실외), 배기(실외)
② 반밀폐형 : 급기(실내). 배기(실외) ④ 차단형 : 급기(실외), 배기(실내)
정답 : ④
16. 가스누출경보차단장치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① 경보부 ③ 검지부
② 제어부 ④ 차단부
정답 : ①
가스누출경보차단장치는 검지부, 제어부, 차단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출된 가스를 검지하여 경보를 울리면서 자동으로 가스통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17. 아래 보기에서 ( )안에 들어갈 내용이 맞는 것은?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사용자는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안전유지 및 운용에 관한 직무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 )를 선임하여야 한다.]
① 기계전문기술자 ③ 위험물취급기술자
② 전기전문기술자 ④ 안전관리자
정답 : ④
18. 아래 보기에서 ( )안에 들어갈 내용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액화석유가스특정사용자는 그가 선임하고 있는 안전교육대상자(안전관리책임자)로 하여금 신규 종사 후 ( ) 이내 및 그 후 ( )이 되는 해마다 시·도지사가 실시하는 교육(전문교육)을 받게
하여야 한다.]
① 1년, 3년 ③ 6개월, 3년
② 2년, 4년 ④ 6개월, 4년
정답 : ③
19. 다음 중 액화석유가스 특정사용자 중 보험가입대상으로 맞는 것은?
① 액화석유가스의 저장능력이 250kg이상 저장설비를 갖춘 자
② 상시 1회 30인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③ 영업장면적이 80㎡이상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④ 시장에서 액화석유가스의 저장능력이 80kg이상인 저장설비를 갖춘 자
틀렸습니다
정답 : ①
20. 도시가스의 특정가스사용시설 보험가입대상 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월사용예정량 2,000㎥ 이상인 자 ③ 월사용예정량 4,000㎥ 이상인 자
② 월사용예정량 3,000㎥ 이상인 자 ④ 월사용예정량 5,000㎥ 이상인 자
정답 : ②
2 - 5
1. 공기 중에 물질로 21% 들어 있는 것은?
① 수소 ③ 헬륨
② 산소 ④ 질소
정답 : ②
2. 다음 중 질량이 동일할 때 표준상태(0℃ 1atm)에 부피가 가장 작은 것은?
① 수소 ③ 헬륨
② 질소 ④ 산소
정답 : ④
동일 질량일 때 분자량이 큰 것이 부피가 더 작다.
3. 용해가스로 취급되는 것은?
① 수소 ③ 부탄
② 아세틸렌 ④ 알곤
정답 : ②
4. 동일온도로서 섭씨온도(℃)와 화씨온도(℉)가 같은 것은?
① -40 ③ 100
② -32 ④ 180
정답 : ①
5. 다음 중 가스비중의 값이 가장 큰 것은?
① 부탄 ③ 암모니아
② 메탄 ④ 수소
정답 : ①
분자량이 큰 것이 가스비중이 크다.
6. 액화가스인 프로판과 부탄에 대한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상용온도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른 부피는 늘어난다.
② 상용온도에서 부탄의 부피변화는 프로판의 부피변화율보다 크다.
③ 프로판은 15℃에서 60℃로 온도가 증가하면 약 19%정도 부피가 증가한다.
④ 용기의 충전량이 85%인 것은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를 감안한 것이다.
정답 : ②
7. 다음 중 사용자취급부주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육, 훈련, 안전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 가 필요하다.
① 맞다
② 틀리다
정답 : ①
8. 다음 중 휴먼에러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실패는 숨기거나 감싸 준다 ③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제공
② 구체적인 교육과 훈련 ④ 확인하기 쉽게 경계표시
정답 : ①
9. 다음 중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지하실, 저장탱크 등 내부 작업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공기로 충분히 치환한다. ③ 연소기를 사용하는 작업은 금한다.
② 산소농도 18%~22%에서 작업한다. ④ 가스누설검지기로 점검 후 작업한다.
정답 : ④
10. 다음 중 보호설비로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① 소화전, 안전화 ③ 안전모, 안전화
② 공기호흡기, 안전모 ④ 안전화, 공기호흡기
정답 : ①
11. 다음 중 조정기의 표시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P : 입구압력 범위(단위 : ㎫) ③ R : 출구 표준압력(단위 : ㎫ 또는 ㎪)
② Q : 조정기 용량(단위 : ㎏/h) ④ S : 가스 종류
정답 : ④
12. 사용압력이 중압이하인 연료용 가스(LPG 및 도시가스)의 배관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배관은?
① 배관용탄소강관(SPP) ③ 연료가스배관용탄소강관(SPPG)
② 압력배관용탄소강관(SPPS) ④ 스테인리스강관(STS)
정답 : ①
배관용탄소강관은 사용압력이 1㎫이하로서 물, 증기, 기름 등에 사용되며 연료용가스
(도시가스 및 LPG)에는 사용되지 못한다. 다만 고압가스시설 저압배관에는 사용된다.
13. 다음 중 정압기의 기본 구성품이 아닌 것은?
① 압력기록장치 ③ 긴급차단장치
② 계량기 ④ 안전밸브
정답 : ②
14. 액상의 가스를 대기온도에 의해 기화시키는 장치로 액화산소, 액화질소와 같은 초저온가스를 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기화기의 종류는?
① 전열온수식 기화기 ③ 고체전열식 기화기
② 대기식 기화기 ④ 스팀식 기화기
정답 : ②
15. 주름관 형태로 되어 있어 허용범위 안에서 쉽게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가스보일러 접 속배관으로 많이 사용되는 배관의 종류는?
① 연료가스배관용 탄소강관 ③ 가스용금속플렉시블호스
② 동관 ④ 폴리에틸렌피복강관
정답 : ③
16. 용기나 탱크 내부에 이상압력 상승시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탱크를 안전하게 보호하 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과충전방지장치 ③ 긴급차단장치
② 안전밸브 ④ 액유출방지장치
정답 : ②
17. 다음 중 우리나라에는 가스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가스관련법은 3법이 있다.
① 맞다 ② 틀리다
정답 : ①
가스관계법령에는 1962년에 ‘압축가스 등 단속법’이 최초 제정되었고, 가스산업의 발전과 각종 가스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되어 현재는 가스관계3법(고압가스안전관리법,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도시가스사업법)이 있다.
18. 아래 보기에서 ( )안에 들어갈 내용이 맞는 것은?
[특정고압가스사용신고자는 그 시설 및 용기 등의 안전유지와 위해 방지에 관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고압가스 사용 전에 ( )를 선임하여야 한다.]
① 전기전문기술자 ③ 기계전문기술자
② 안전관리자 ④ 위험물취급기술자
정답 : ②
19. 다음 중 특정고압가스사용신고자가 특정고압가스사용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공사를 완공한 때에 는, 그 시설의 사용전에 받아야 하는 것은?
① 정기검사 ③ 자율검사
② 완성검사 ④ 수시검사
정답 : ②
20. 신규 전문교육 수강시기(양성교육을 이수한 날로부터 1년이 지난 경우)는?
① 신규 종사후 3개월 이내 ③ 신규 종사후 5개월 이내
② 신규 종사후 4개월 이내 ④ 신규 종사후 6개월 이내
정답 : ④
교육기간(신규종사 후 6월 이내 및 그 후 매 3년이 되는 해마다 1회 이상 전문교육을 받아야 한다.)
2 – 6
도시가스 설비에 대한 전기방식의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희생 양극법 ③ 배류법
② 외부 전원법 ④ 대류법
정답 : ④
2. 다음은 섭씨온도에 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① 물의 끓는 점을 0도, 어는 점을 100도로 한 것이다.
② 물의 끓는 점을 100도, 어는 점을 0도로 한 것이다.
③ 물의 끓는 점을 212도, 어는 점을 32도로 한 것이다.
④ 물의 끓는 점을 32도, 어는 점을 212도로 한 것이다.
정답 : ②
③은 화씨온도(℉)에 대한 설명이다.
3. 소형 저장탱크에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할 때는 액화가스의 용량이 상용온도에서 그 저장탱크 내용적의 몇 %를 넘지 않아야 하는가?
① 75% ③ 85%
② 80% ④ 90%
정답 : ③
액화서유가스 충전량 기준(내용적 기준) ① 저장탱크 : 90%, ② 소형 저장탱크 : 85%,
③ LPG 자동차 용기 : 85%
4. 지하 정압기의 바닥면 둘레가 35 m 일 때 가스누출 경보기 검지부의 설치개수는?
① 1개 ③ 3개
② 2개 ④ 4개
정답 : ②
바닥면 둘레 20 m마다 1개 이상의 비율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2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5. 다음 중 도시가스 매설배관 보호용 보호포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① 가스명 ③ 공급자명
② 사용압력 ④ 공급자 전화번호
정답 : ④
6. 가스용 폴리에틸렌 배관의 융착이음 접합방법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맞대기 융착 ③ 이음매 융착
② 소켓 융착 ④ 새들 융착
정답 : ③
7. 도시가스 사용시설의 노출배관에 의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최고사용압력 ③ 사용가스명
② 가스 흐름방향 ④ 공급자명
정답 : ④
배관 외부에 사용가스명, 최고사용압력, 가스 흐름 방향을 표시해야 함.
단 지하에 매설하는 배관의 경우 가스 흐름방향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8. 도시가스 사용시설(연소기 제외) 기밀 시험압력은?
① 최고사용압력의 1.1배 또는 8.4 kPa 중 높은 압력 이상
② 최고사용압력의 1.5배 또는 8.4 kPa 중 높은 압력 이상
③ 최고사용압력의 1.2배 또는 8.4 kPa 중 높은 압력 이상
④ 최고사용압력의 2배 또는 8.4 kPa 중 높은 압력 이상
정답 : ①
· 가스사용시설 기밀 시험압력 ① LPG 사용시설 : 8.4 kPa 이상, ② 도시가스 사용시설 : 최고사용 압력의 1.1배 또는 8.4 kPa 중 높은 압력 이상
9. 다음 중 연소의 3요소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가연성 물질, 점화원, 조연성 가스③ 가연성 물질, 조연성 가스, 수소
② 가연성 물질, 점화원, 이산화탄소 ④ 산소, 염소, 수소
정답 : ①
10. 다음중 독성이 가장 약한 것은?
① 일산화탄소 ③ 아황산가스
② 암모니아 ④ 염소
정답 : ②
일산화탄소 : 3,760ppm, 암모니아 : 7,338ppm, 아황산가스 : 2,520ppm, 염소 293ppm
11. 다음 중 금속재료의 부식 억제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전기적인 방식 ③ 산도(ph)를 높이는 방식
② 부식 억제제에 의한 방식 ④ 도색, 도금 등 표면처리에 의한 방식
정답 : ③
12.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고압가스 관련 설비가 아닌 것은?
① 안전밸브 ③ 기화장치
② 세척설비 ④ 압력용기
정답 : ②
13. 방폭지역이 0종인 장소에는 원칙적으로 어떤 방폭구조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① 내압 방폭구조 ③ 본질안전 방폭구조
② 압력 방폭구조 ④ 안전증 방폭구조
정답 : ③
14. 표준대기압이 아닌 것은?
① 10,332 mmH2O ③ 101.3 MPa
② 76 cmHg ④ 1.0332 kgf/cm2
정답 : ③
1atm = 0.1013 MPa = 760 mmHg = 10.332 mH2O = 1.0332 kg/cm2
15. 액화석유가스 자동차 용기의 충전시설에서 충전기의 충전호스는 몇 m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① 5 ③ 9
② 7 ④ 10
정답 : ①
16. 도시가스 사업법상 배관 구분 시 사용되지 않는 용어는?
① 내관 ③ 사용자 공급관
② 본관 ④ 외관
정답 : ④
도시가스 사업법상 배관은 본관, 공급관, 사용자 공급관, 내관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17. 가스배관의 호칭지름이 10 mm 일 때 배관의 고정을 위한 고정 장치는 얼마의 길이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① 1 m마다 ③ 3 m마다
② 2 m마다 ④ 4 m마다
정답 : ①
배관의 고정장치 설치거리기준 ① 호칭지름 13 mm 미만 : 1 m마다, ② 호칭지름 13 mm 이상
33 mm 미만 : 2 m마다, ③ 호칭지름 33mm 이상 : 3 m마다
18. 다음 중 암모니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무색 · 무취의 가스이다. ③ 폭발범위는 15 ∼ 28 v% 이다.
② 물에 잘 용해가 된다. ④ 허용농도는 7338 ppm 이다.
정답 : ①
무색의 기체이며 상온에서 자극적인 냄새가 난다.
19. 다음 중 아세틸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연소 시 고열을 얻을 수 있어 용접용으로 쓰인다. ③ 2중 결합을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이다.
② 압축시 폭발을 일으킨다. ④ 염소와 혼합시 자연발화을 일으킨다.
정답 : ③
3중 결합을 가지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다.
20. 액화석유가스(LPG)를 용기 또는 소형저장탱크에 충전 시 용기 내용적의 15%를 남겨두고 충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① 액체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② 일정한 증기압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③ 온도 상승에 따른 액체가스의 부피팽창 때문에
④ 기화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답 : ③
온도상승에 따른 액화석유가스(LPG)의 부피팽창을 고려하여 안전공간을 확보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교육원 교육생들이 합격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추천하는 바로 그 카페입니다
① 아래 해당되는 시험 준비생들은 반드시 아래 카페에 가입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최단시간에 효율을 얻고자 하는 자
- 시간이 없거나 부족한 자
- 비전공자
- 암기능력이 부족한자
- 시험에 불합격한자
- 지식이 없는자
②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일반시설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 요점정리, 합격후기 제공합니다
가스소방안전관리자시험 전문카페
https://cafe.naver.com/plus2050
★ 수험생 여러분께서 도움이 되어서 공감과 댓글 남겨 주시면
글의 내용이 부족하지만 글쓴이 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감사 합니다.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일반시설안전관리자#냉동시설안전관리자#판매시설안전관리자#LPG충전시설안전관리자#도시가스시설안전관리자#온수보일러시공자#가스시설시공관리자#운반책임자#시공자#안전점검원#PE관융착원#가스시설특별(Ⅰ)#가스안전관리자#가스안전관리자선임#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기출문제#사용시설안전관리자기출문제#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시험#사용시설안전관리자시험#가스자격증#가스선임#가스안전관리자교육#가스안전관리자시험#가스안전교육원#한국가스안전공사#소방안전관리자#소방자격증#소방선임#소방안전관리자교육#소방안전리자시험#1급소방안전관리자#2급소방안전관리자#3급소방안전관리자#한국소방안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