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릴은 외형이 새우를 닮았지만 분류학상으로는 난바다곤쟁이 목에 속하는 갑각류로 플랑크톤의 일종이다. 크릴(krill)은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에 속하는 갑각류로 플랑크톤의 일종이다. 크릴을 두고 플랑크톤이라고 하면 크릴새우라는 말이 귀에 익어 고개를 갸웃거리겠지만 이는 새우를 닮아 편의상 부르는 명칭일 뿐 분류학상 새우와는 연관이 없다.
이들은 먼 바다에 사는 곤쟁이란 의미를 담아 ‘난바다 곤쟁이’라고도 불린다. 전 세계에 걸쳐 약 85종류가 살고 있으며 이 중 우리나라에는 약 11종류가 발견되는데 주로 남극 대륙을 둘러싼 얼음 바다를 좋아해 남빙양이 주 서식지다.
새우를 닮은 미래 식량 자원 크릴은 외형이 작은 새우를 닮았다. 머리가슴의 갑각은 옆구리에서 아가미를 완전히 덮지 않는다. 6쌍의 가슴다리에는 여러 개의 외지(外肢)가 있는데 외지는 생김새가 먹이를 끌어들이기에 알맞아 보인다.
배다리에는 긴 센털이 있어 유영하기에 적합하며 꼬리마디에는 센털로 된 1쌍의 차상기(叉狀器)가 있다. 최대 6cm 까지 자라는 크릴은 수명이 7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빙양에서의 크릴 조업 시기는 3~8월경으로 이중 4~6월에 잡은 것을 최고 품질로 꼽는다. 이 무렵 잡힌 것일수록 흰색을 띠고 크기도 크기 때문이다.
지식백과검색 확장영역 열기 검색 지식백과 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남극대륙 모든 생물의 먹이
크릴 이미지 사이언스
보내기 폰트 크기 설정
크릴은 외형이 새우를 닮았지만 분류학상으로는 난바다곤쟁이 목에 속하는 갑각류로 플랑크톤의 일종이다. 크릴(krill)은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에 속하는 갑각류로 플랑크톤의 일종이다. 크릴을 두고 플랑크톤이라고 하면 크릴새우라는 말이 귀에 익어 고개를 갸웃거리겠지만 이는 새우를 닮아 편의상 부르는 명칭일 뿐 분류학상 새우와는 연관이 없다.
이들은 먼 바다에 사는 곤쟁이란 의미를 담아 ‘난바다 곤쟁이’라고도 불린다. 전 세계에 걸쳐 약 85종류가 살고 있으며 이 중 우리나라에는 약 11종류가 발견되는데 주로 남극 대륙을 둘러싼 얼음 바다를 좋아해 남빙양이 주 서식지다.
새우를 닮은 미래 식량 자원 크릴은 외형이 작은 새우를 닮았다. 머리가슴의 갑각은 옆구리에서 아가미를 완전히 덮지 않는다. 6쌍의 가슴다리에는 여러 개의 외지(外肢)가 있는데 외지는 생김새가 먹이를 끌어들이기에 알맞아 보인다.
배다리에는 긴 센털이 있어 유영하기에 적합하며 꼬리마디에는 센털로 된 1쌍의 차상기(叉狀器)가 있다. 최대 6cm 까지 자라는 크릴은 수명이 7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빙양에서의 크릴 조업 시기는 3~8월경으로 이중 4~6월에 잡은 것을 최고 품질로 꼽는다. 이 무렵 잡힌 것일수록 흰색을 띠고 크기도 크기 때문이다.
크릴은 보통 성체의 크기가 4cm정도지만, 종에 따라 6~15cm까지 자라기도 한다. 크릴은 영양가가 높다. 살코기는 고단백질에 필수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껍데기에는 영양소로 쓰이는 키틴과 키토산이 있다. 특히 남극 크릴은 오메가3라는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인체 노화를 방지하려는 과학자의 연구 대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크릴은 인체에 해가 될 수 있는 플루오린(불소) 성분을 지녔기 때문에 식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플루오린이 포함된 껍질을 벗겨내야 한다. 식품으로 가공하기 쉽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는 크릴을 주로 낚시 미끼로 사용한다.
이와 달리 미국, 일본, 캐나다, 노르웨이 등 크릴의 자원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미래 식량자원으로 크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메가3 영양제, 크릴 오일 등을 개발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남극크릴 크릴은 남빙양이 주 무대이며 남극 생태계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다. 남극에 서식하는 동물 중 크릴을 먹지 않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남극대구, 남극빙어 등 어류에서부터 고래, 해표 등의 포유류와 펭귄, 가마우지, 남방자이언트페트렐, 스큐아 등의 조류에 이르기까지 남극에 사는 모든 동물들이 크릴을 먹고 산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포식자들이 단 한 종류의 먹잇감에 매달리는 현상은 지구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점이다. 그만큼 크릴의 자원량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남극 바다는 편서풍에 의해 형성된 남극 순환해류의 영향으로 다른 바다와 단절된 독특한 환경이다. 무엇인가가 식물성 플랑크톤과 포식자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맡아야 했다.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동물성 플랑크톤인 크릴이다.
크릴은 작은 바다 조류를 먹이로 하고 있는데, 바다 조류는 바다 얼음 속에서 살다가 여름철에 얼음이 녹으면서 배출된다. 크릴은 여름에는 해수면 가까이 떠올라 조류를 섭식하지만 겨울에는 해저로 내려가 죽어서 가라앉은 조류의 사체를 먹는다. #강남역바이올린 #강남역비올라 #강남역바이올린비올라성인레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