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판은
포개는 박판의 장수가 3, 5, 7장 등으로 표판과 이판의 섬유방향이 같아지게 홀수를 사용한다.
한 장의 박판을 단판이라 하는데 합판은 이 베니어의 집합이므로 일반적으로 합판을 베니어판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
표면에 위치하는 단판을 표판이라 하여 치장을 겸하기 때문에 치장판이라고 하고, 뒷면의 단판을 이판(裏板), 중간 것을 심판(心板)이라 한다.
5장 합판은 심판 양쪽에 덧심을 붙이는데, 표리판(表裏板) ·덧심판의 재질 ·두께 ·섬유방향은 합판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각각 같게 한다. 합판의 제조법은 단판을 만드는 일부터 시작한다.
원목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데 따라 종이두루마리를 펴듯이 칼로 원목을 오려내는 로터리법(rotary 法)과, 상하로 운동하는 칼로 얇게 오려내는 것으로 최대너비는 원목의 지름까지가 최대이나 아름다운 나뭇결을 생산하는 장점이 있는 슬라이서법(slicer 法)이 있다.
용재로는 남양재(南洋材), 특히 나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치장합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국산재인 자작나무 ·밤나무 ·참나무 ·느티나무 등 활엽수가 쓰이는데, 두께 0.2 mm 정도의 단판용에 많이 쓰인다. 겹쳐진 단판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상온가압 또는 열압(熱壓)하여 만든다.
기계로 15~20장의 합판을 동시에 열합하여 수시간이 경과하면 꺼내어 크림프로 24시간 눌러둔다.
압력은 보통 10~18 kg/cm2이고 온도는 160 ℃ 정도이다.
접착제는 카세인·비스코스 ·글루타민 등을 사용하고, 내수성 합판에는 열경화성의 요소수지나 석탄산수지를 써서 열압한다. 합판의 품질은 접착제의 양부에 따라 결정된다.
합판에는 표면가공이 없는 보통합판과, 합판 표면에 오버레이(overlay) ·프린트(print) ·도장(painting) 등의 가공된 특수합판이 있으며, 접착강도의 분류로는 1류 ·2류 ·3류 합판으로 구분한다.
용도별로는 내수합판 ·방화합판 ·방충합판 ·방부합판이 있으며 내구성 ·마모성에 따라 카운터용 ·벽면용 ·특수벽면용이 있다.
이 밖에 합판의 종류는 심판에 특수한 재료를 사용한 럼버코어합판 ·허니코어합판 ·파이버보드코어합판이 있다. 이것들은 두께가 두껍고 무게가 가벼워 가구 ·벽 ·문 등에 사용한다.
합판의 특성은 목재의 완전 이용이 가능하고, 작은 목재로 너비가 넓은 판을 손쉽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목재의 결점인 흠이나 갈라짐 ·옹이 등이 제거되고, 재료의 방향성이 보완되어 금이나 구부러짐에 대해 강도가 증가되고, 표면의 마무리도 용도에 따라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점 등이다.
※ 미송합판

미송합판은 인테리어 및 구조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온 제품이며,
습기에 노출되었을 때 다른 일반판넬 보다 7배 적게 팽창한다.
습기가 제거되어 다시 건조되었을 때 원래에 형태로 복원되는 안정성을 갖는다.
충격에 매우 강하며 인장력 압축력 휨성이 다른 패넬보다 강하고, 어떠한 패널보다 가볍다.
02년 3월경.. 경남 김해시 G당구장
다른 자제 하나없이 모두 이 미송합판만으로 내부를 장식했다.
7.5mm 미송합판과 15mm 미송합판 두가지만 가지고 해달라는 주문에..
아무튼 공사는 잘 끝났다. G당구장 사장도 대 만족이었다.
미송합판의 단점이 있다면 끝이 잘 갈라진다는 점인데....
7.5mm 미송합판은 갈라짐이 심하다.
얇은 미송합판을 킬때는 천천히 정확하게 켜야한다.
※ 코아합판 :
코아합판의 정확한 명칭은 Batten Board이고, Block Wood, Lumber-core plywood라고도 하는데
목재상에서는 주로 코아합판이란 말로 거래되고 있다.
코아라는 말은 합판의 심 부분을 일컫는 말이다.
코아합판은 가운데 심으로 띠 모양의 나무를 잘라 넣고 위, 아래 표면에는 단판(Veneer)을 대어 만들어진다. 그러니까,
코아합판은 마치 샌드위치와 같은 모양이라고 할 수 있다.
샌드위치의 위, 아래 식빵이 단판, Veneer라면 샌드위치 속은 막대모양으로 잘라 넣어진 나무들이 되渼?(정확하게는 속으로 넣어진 막대나무의 폭에 따라 합판의 명칭이 달라진다고 한다. 속나무의 폭이 7.5㎝ 미만이면 batten board, 2.5㎝ 미만이면 block board, 0.7㎝이면 lamin borad라고 부른다.)
코아합판을 살 때는 심으로 넣어진 속나무가 빽빽히 잘 채워져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심이 잘 채워지지 않은 코아합판은 절단면에 숭숭 구멍이 있어서 보기에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심이 잘 채워진 코아합판이 양질의 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코아합판의 규격은 4'×8'(자)가 일반적이고, 두께는 7.5㎜부터 24㎜까지 있다.
일반 합판은 성질상 jointing을 넣는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데 코아합판은 띠 모양의 원목이 속으로 채워져있기 때문에 원목처럼 조인트를 넣을 수 있다.
또, 코아합판은 합판이기 때문에 원목처럼 쉽게 변형이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코아합판은 역시 합판이기 때문에 원목의 나무결을 살릴 수 없고, 다듬을수록 빛이 나는 원목의 재미가 없다.
말했듯이 코아합판의 표면은 단판, 얇은 Veneer이기 때문에 원목처럼 사포질을 열심히 해댔다가는 Veneer 자체가 벗겨져 속이 들어나 버린다.
또, 코아합판은 원목보다는 값이 싸지만 일반합판보다는 값이 비싸다.
가구나 벽체로 쓰기에는 코아합판도 적합한 목재가 되지 않을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