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umn Leaves'
-Nat King Cole
☆가을을 대표하는 명곡...
오늘은
영어판 ‘고엽’(枯葉) 'Autumn Leaves'를 냇 킹 콜의 목소리로 들어봅니다.
냇 킹 콜은
존 크로포드와 클리프 로버트슨이 주연한
1956년 영화 'Autumn Leave'에서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냇 킹 콜의 인기가 대단해
1963년부터 세 차례나 내한공연을 했으며
특히 1964년엔 아리랑을 취입하기도 했습니다.
세월이 흘러
노래를 만들고 부른 사람들은 모두 가고 없지만
지금도 가을이 오면 어김없이 찾아서 듣는
가을 노래의 고전이자 전범으로 남아 있습니다.
http://m.blog.naver.com/g2s_academy/220493118785
Autumn Leaves
-Nat King Cole
http://m.blog.naver.com/springever45/220141220459
Lyrics 비교
http://m.blog.naver.com/bigredcu/220498876820
냇 킹 쿌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1150448&cid=40942&categoryId=33045
부드럽고 편안한 목소리...
http://m.music.naver.com/todayMusic/index.nhn?startDate=20111022
냇 킹 콜과 나탈리 콜
http://m.blog.daum.net/sudakoo/219
두산백과
냇 킹 콜
Nat King Cole
요약
미국의 재즈 가수·피아니스트 겸 배우. 20세기 중반 흑인으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감미로운 사랑 노래를 부른 가수였다. 미국 내 흑인으로서 최초로 버라이어티쇼를 진행했다. 미국 싱어송라이터 나탈리 콜(Natalie Cole)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모나리자(Mona Lisa)>(1950), <언포게터블(Unforgettable)>(1951), <엘 오 브이 이(L-O-V-E)>(1964) 등이 대표곡으로 꼽힌다.
출생-사망 : 1917.3.17 ~ 1965.2.15
본명 : 너새니얼 애덤스 콜스(Nathaniel Adams Coles)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대중음악, 영화
출생지 :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Montgomery)
1917년 미국 앨라배마주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교회 오르간 연주자였던 어머니로부터 오르간을 배웠다. 10대 초에 클래식 피아노 교육을 받았으나 15살 때 학교를 중퇴하고 재즈 피아니스트로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이때부터 ‘냇 콜(Nat Cole)’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1936년 형 에디 콜(Eddie Cole)이 결성한 재즈 밴드 에디 콜스 솔리드 스윙어스(Eddie Cole's Solid Swingers)의 멤버로서 <허니 허시(Honey Hush)> 등을 발표하며 음반 활동을 시작했다.
1937년 오스카 무어(Oscar Moore. 기타), 웨슬리 프린스(Wesley Prince. 베이스)와 함께 자신이 이끄는 재즈 밴드 킹콜 트리오(The King Cole Trio)를 결성했다. 이즈음 클럽에서 공연할 때 금색 종이 왕관을 쓴 것이 계기가 되어 '냇 킹 콜'이라는 예명을 얻었다. 킹 콜 트리오의 <스위트 로레인(Sweet Lorraine)>(1940)에서 피아노 연주와 더불어 노래도 부르기 시작했다. 이후 <댓 에인트 라이트(That Ain't Right)>(1942), <스트레이튼 업 앤드 플라이 라이트(Straighten Up And Fly Right)>(1943) 등이 인기를 얻으면서 보컬로서도 주목받았다. 밴드는 1949년 앨범 《더 킹 콜 트리오, 볼륨 4(The King Cole Trio, Volume 4)》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중단했다.
냇 킹 콜은 1950년대 들어 솔로 가수로 본격적인 활동을 했다. 미첼 레이슨(Mitchell Leisen) 감독의 1950년 영화 《캡틴 캐리 USA(Captain Carey, U.S.A.)》의 주제곡으로 쓰인 <모나리자>(1950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언포게터블>(195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2위), <어 블러섬 펠(A Blossom Fell)>(1955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위), <센드 포 미(Send For Me)>(1957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6위) 등으로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 들어서도 기존의 인기를 유지했다. <타임 앤드 더 리버(Time And The River)> (1960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0위), <램블링 로즈(Ramblin' Rose)>(196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2위), <도즈 레이지 헤이지 크레이지 데이즈 오브 서머(Those Lazy-Hazy-Crazy Days Of Summer)>(1963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6위) 등이 인기를 얻었다. 1964년 폐암 진단을 받은 후 수술을 받았으나 1965년 사망했다.
1940년대부터 배우로도 활동했지만 대체로 클럽의 피아노 연주자나 가수 등의 단역으로 출연했다. 조지프 페브니(Joseph Pevney) 감독의 1957년 영화 《이스탄불(Istanbul)》, 새뮤얼 풀러(Samuel Fuller) 감독의 1957년 영화 《차이나 게이트(China Gate)》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맡았으나 배우로서 명성을 얻지는 못했다. 1956년부터 1957년까지 텔레비전 쇼 프로그램 《더 냇 킹 콜 쇼(The Nat King Cole Show)》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는 미국에서 최초로 흑인이 진행한 버라이어티쇼였다.
냇 킹 콜은 20세기 중반 흑인 가수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감미로운 사랑 노래를 불렀으며 부드러운 중저음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킹 콜 트리오는 드럼을 제외한 피아노, 기타, 베이스로 이뤄진 삼중주단의 효시로 여겨진다. 솔로 대표곡으로 <모나리자>, <언포게터블>, <램블링 로즈>, <도즈 레이지 헤이지 크레이지 데이즈 오브 서머>, <엘 오 브이 이>(1964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81위) 등이 있다.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1944년 《더 킹 콜 트리오(The King Cole Trio)》
1946년 《더 킹 콜 트리오, 볼륨 2(The King Cole Trio,
Volume 2)》
1947년 《더 킹 콜 트리오, 볼륨 3(The King Cole Trio,
Volume 3)》
1949년 《더 킹 콜 트리오, 볼륨 4(The King Cole Trio,
Volume 4)》
1950년 《킹 콜 앳 더 피아노(King Cole At The Piano)》
1951년 《킹 콜 포 키즈(King Cole For Kids)》
1952년 《펜트하우스 세레나데(Penthouse Serenade)》
1953년 《싱스 포 투 인 러브(Sings For Two In Love)》
1956년 《더 피아노 스타일 오브 냇 킹 콜(The Piano Style Of
Nat King Cole)》
1957년 《애프터 미드나이트(After Midnight)》
1957년 《러브 이즈 더 싱(Love Is The Thing)》
1957년 《저스트 원 오브 도즈 싱즈(Just One Of Those
Things)》
1958년 《세인트루이스 블루스(St. Louis Blues)》
1958년 《콜 에스파뇰(Cole Espa?ol)》
1958년 《더 베리 소우트 오브 유(The Very Thought Of
You)》
1959년 《투 훔 잇 메이 컨선(To Whom It May Concern)》
1959년 《웰컴 투 더 클럽(Welcome To The Club)》
1959년 《아 미스 아미고스(A Mis Amigos)》
1960년 《텔 미 올 어바웃 유어셀프(Tell Me All About
Yourself)》
1960년 《에브리 타임 아이 필 더 스피릿(Every Time I Feel
The Spirit)》
1960년 《와일드 이즈 러브(Wild Is Love)》
1960년 《더 매직 오브 크리스마스(The Magic Of
Christmas)》
1961년 《더 냇 킹 콜 스토리(The Nat King Cole Story)》
1961년 《더 터치 오브 유어 립스(The Touch Of Your Lips)》
1962년 《냇 킹 콜 싱스/조지 시어링 플레이스(Nat King Cole
Sings/George Shearing Plays)》
1962년 《모어 콜 에스파뇰(More Cole Espa?ol)》
1962년 《램블링 로즈(Ramblin' Rose)》
1962년 《디어 론리 하츠(Dear Lonely Hearts)》
1963년 《웨어 디드 에브리원 고?(Where Did Everyone
Go?)》
1963년 《도즈 레이지 헤이지 크레이지 데이즈 오브 서머
(Those Lazy-Hazy-Crazy Days Of Summer)》
1964년 《냇 킹 콜 싱스 마이 페어 레이디(Nat King Cole
Sings My Fair Lady)》
1964년 《렛츠 페이스 더 뮤직!(Let's Face The Music!)》
1964년 《아이 돈트 원트 투 비 허트 애니모어(I Don't Want
To Be Hurt Anymore)》
1965년 《엘 오 브이 이(L-O-V-E)ㄷ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