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사의문문과 수사적 조건절
1. 수사의문문(rhetorical questions): ‘뒤집는 효과’를 가진다. {-2)}
수사의문문은 구조에 있어 의문문이지만, 강력한 단언의 힘(force of a strong assertion)을 가지면서 대개 화자는 청자의 응답을 기대하지 않는다. 수사의문문도 수사적 yes-no 의문문(rhetorical yes-no question)과 수사적 wh-의문문(rhetorical wh-question)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각은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된다.
③ 수사적 조건절(rhetorical conditional clauses)- 거짓과 참을 확실하게 단언 {-B.}
수사적 조건절은 미결정 조건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사의문문(rhetorical questions)처럼 이들도 강력한 단언(strong assertion)을 한다. 2가지 유형의 수사적 조건절이 있다. cf: Who knows/ doesn't know his folly?
A. 조건절에 있는 명제가 거짓(false)이라면, 모절에 있는 명제(proposition)도 분명히 터무니없는(absurd) 것이다.
[If you are a king], I'm the Pope. (만약 네가 왕이라면, 나는 교황이다.)
B. 측정 표현(measure expressions)을 포함하는 조건절에 있는 명제가 명백하게 참(patently true)이라면, 모절에 있는 명제도 확실히 참이라는 것을 전달한다. 이 경우 if-절은 문미에 위치한다. He's ninety [if (he's) a day]. (그는 확실히/ 틀림없이 90세이다.)= If you'll agree that he's at least a day old, perhaps you'll take my word that he's ninety.= If it is true now that you will ∼. (그가 적어도 생후 하루라도 된다는 것을 당신이 인정하는 것이 참이라면, 아마도 당신은 그가 90세라는 나의 말을 수용할 것이다.) ※ if ∼ will 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