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본철 교수(성결대학교 역사신학/성령운동연구가). |
들어가는 말
그 동안 한국 신학계에는 성령론에 대한 신학적 논쟁이 많았는데, 그 가장 커다란 논제는 성령세례의 정의와 시기 등 주로 성령세례론에 대한 이견들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성령세례’가 한국교회 내에 매우 중요한 신학적·목회적 논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신학계는 교파와 신학 노선에 따라 제각기 다른 성령세례의 개념을 지니고 있음으로 인해 적지 않은 목회적 혼란과 신학적 논쟁을 야기했다. 사실 현재까지도 신학계에는 성령세례에 대한 매우 난해하고 다양한 해석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주장하는 이들의 신학적 계보도 매우 복잡한 것이다.
이 글은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성령세례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복잡한 성령세례론 논쟁의 화합을 이루는 일에 기여할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그 동안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친 성령론들을 역사적으로 분석하여, 그 성격상 여섯 가지 유형의 성령세례론으로 정리하며, 동시에 이 서로 다른 유형들을 충분히 포괄할 수 있는 ‘성령세례의 양 차원’(Dual Dimension of Spirit Baptism)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성령론의 흐름 속에는 여러 전통들에 대한 이해와 조화의 정신 속에서 이들 사이의 장점을 상호 교류하며 보완하는 통합성을 갖춘 ‘통전적 성령론’(Holistic Pneumatology)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을 사료(史料)를 통해 제시할 것이다.
중생=성령세례, 이후 성령충만
장로교에서 발행되는 정기간행물인 <신학지남>에 스탠리 솔타우(Stanley T. Soltau; 蘇逸道), 겔슨 엥겔(Gelson Engel; 王吉志) 등의 성령론이 처음 연재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후반이다. 이들 선교사들의 성령세례론은, 중생한 자는 이미 성령세례를 받았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거듭난 신자가 성신의 권능 또는 충만을 받아야 할 것을 또한 강조하고 있다. 솔타우는 신자가 새롭게 성령세례를 받으려고 할 일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합하여 세례를 받았다는 말씀의 뜻을 깨닫는 것이, 성령세례의 참 의미를 적용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대표적인 장로교 신학자인 박형룡의 성령론이 <신학지남>에 실리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후반부터인데, 그는 중생한 자는 이미 성령으로 세례를 받은 사람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성령의 충만은 중생과 관계된 성령의 최초적 은사인 성령의 세례와는 마땅히 구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자 박형룡의 저술을 필두(筆頭)로, 중생과 성령세례의 동시성을 강조하는 노선의 저술들이 신성종, 김해연, 박형용 등을 통해 한국 신학계에 잇달아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이 같은 성령론 노선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외국 신학자들로는 우선 찰스 핫지(Charles Hodge)나 벤자민 워필드(Benjamin B. Warfield) 등을 들 수 있는데, 그들은 성령 은사의 중단성(中斷性)과 중생과 연관하여 성령세례의 단회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iper), 리차드 개핀(Richard B. Gaffin), 존 스토트(John R. Stott) 등의 영향도 역시 이 노선에 힘을 주었다. 특히 대중적으로 국내에 큰 영향을 끼친 CCC의 빌 브라이트(Bill Bright)나 부흥사 빌리 그래함(Billy Graham)도, 역시 명확한 ‘중생=성령세례, 이후 성령충만’의 노선을 견지하였다.
중생=성령세례, 이후 은사적 성령충만
일반적으로 제3의 물결(the Third Wave)에서는 ‘성령세례’(Baptism with the Holy Spirit) 또는 ‘성령 안에서 세례 받는 것’(being baptized in the Holy Spirit)이라는 용어 대신, ‘성령충만’(filled with Holy Spirit) 또는 ‘성령에 의한 능력의 덧입힘’(empowered by the Holy Spirit)이라는 말을 즐겨 사용한다. 그 이유는 제3의 물결 운동가들은 대부분 회심과 성령세례가 동시적 경험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중생하게 될 때 성령께서 내주하신다. 하지만 저절로 그분의 능력과 은사들을 체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성령충만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노선은 앞의 ‘중생=성령세례, 이후 성령충만’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개혁주의 신학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여지가 크다. 그러나 반면에 성령의 초자연적인 은사들을 크게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개혁주의 신학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개혁주의 신학과 초자연적 성령의 은사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필자가 한국교회사 속의 방언 문제에 대해 국제신학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에 대한 기사에서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은 신학적으로는 분명히 방언이나 예언 등의 초자연적 은사의 종료를 말하고 있으나, 목회 현장에서는 이를 금지시키기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었다(“21C 교회를 위한 복음주의 신학의 사명”, <크리스천투데이> (2005.10.12) 9면).
이 점에서 볼 때 앞으로 ‘제3의 물결’에 대한 개혁주의 신학의 평가와 적용이 어떻게 진전될지 기대가 된다. ‘제3의 물결’은 국내에 잘 알려진 존 윔버(John Wimber),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찰스 크래프트(Charles H. Craft), 베니 힌(Benny Hynn) 등의 사역과 저서의 영향으로, 현재 많은 독자층과 지지자들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