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장암면 소재 구옥 단층주택입니다.
주방부분에 난방을 하고 싶다는 소비자분의 상담을 접수했습니다.
위 사진에 보시다시피 실내방과 거실등은 기존보일러로 온수온돌바닥난방(습식온돌)을 사용하고 계시는데 바닥난방이 없는 부분이 주방부분으로 보일러 위치와 난방을 해야 할 곳이 주택에 끝과 끝의 구조입니다.
바로 이 주방 부분 바닥이 난방이 되어 있지않다는 뜻이며 좌측으로 들어가면 거실과 방....
그리고 왼쪽 끝에 보일러가 위치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오래된 도시지역 구옥주택의 대부분은 거실부분이 난방이 되어 있지않은 구조로 지어진 건축물들이 다수 인데 반해서
이 건물은 주방부분을 증축을 하면서 기존보일러에 난방 연결을 하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장판을 걷고 냉습을 완전 차단하며 보온과 열전달성이 좋은 온수패널을 바닥에 부분적으로 부착을 하면서
난방배관 경로를 맞추어 배치합니다.
▣주택내 비난방부분을 온수바닥 난방으로 하는 방법은?
바닥난방배관을 하고 기존보일러에 연결하는 방법
바닥난방배관을 깔고 보일러를 단독으로 설치(가스,기름,전기보일러)하여 연결하는 방법
열매체전열온수관 배관을 깔고(습식/건식중 선택) 온도조절기를 다는 방법
▣주택내 비난방부분을 일반전기 난방으로 하는 방법은?
1.전기온돌판넬+온도조절기
2.난방필름+온도조절기
3.케이블,발열체,이중진공관,히팅탄소,카본파이프,라디에이터......등등
예스온은 전기난방부분은 시공하지 않고 건식/습식/반건식 온수온돌패널,건식보일러,열매체전열온수관
바닥난방 전문기업으로 대부분 복사열을 발생시켜 공기까지 훈훈한 친환경 온수온돌바닥난방 방식입니다.
시공중인 방법은 비난방 바닥에 온수패널을 기존 바닥에 덧 시공을 하다 보니
제품 시공높이가 올라와서 방문이나 싱크대 하단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온수을 순환시키는 난방전용 소형전기보일러를 설치하여 이 주방부분의 난방컨트롤을 하게 됩니다.
그럼 서두에 언급한 기존 보일러가 있음에도
왜 기존보일러에 연결를 하지않고 주택용에 전기누진제가 있음에도 전기보일러를 설치할까요?
기존 주택이나 아파트등 건축물 실내에 부분적인 방이나 거실,주방에 난방을 하거나
다락방(탑방,옥탑)등에 바닥난방을 하고자 하시는분은 필히 알아주셔할 사항입니다.
1. 온수바닥난방을 하시고자 하면 보일러가 있어야 하며
2.온수바닥난방은 바닥으로 온수난방배관을 깔아야 함으로
3.단독설치를 하든 기존 보일러에 연결을 해야 하는 난방배관(엑셀파이프)이 보일러(분배기)에서 출발(공급)하여 다시 돌아와야(환수) 합니다. (5평 기준 2가닥씩 증가)
4.기존 보일러에 새로 까는 난방배관을 연결하려고 한다면 보일러(또는 분배기) 위치가 난방을 설치할 곳과 근접해 있어야 난방배관 노출로 외관상,생활불편 사항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글의 문맥을 읽으셨다면 서두에 건축물 사진에 극과 극에 위치한 기존 보일러와 난방을 설치할 주방이
기존 난방이 된 거실과 방등을 경유할수 없어 단독으로 전기보일러를 설치한 이유가 이해 되실겁니다.
그럼 왜 (난방전용) 전기보일러를 설치했을까?
보일러실과 직수관이 불필요한 물보층형이며 소형면적이고 주방이라 상시난방을 필요하지 않아 전기누진제에
그닥 영향을 줄듯하지 않다는 주부님의 현명한 판단의 결과입니다.
석동교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소재 단층주택 비난방 주방에 건식온수보일러 설치현장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