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사랑 정열 그리움 원문보기 글쓴이: 해임
| ||||||||||||||||||||||||||||||||||||||||||||||||||||||||||||||||||||||||||||||||||||||||||||||||||||||||||||||||||||||||||||||||||||||||||||||
![]() | ||||||||||||||||||||||||||||||||||||||||||||||||||||||||||||||||||||||||||||||||||||||||||||||||||||||||||||||||||||||||||||||||||||||||||||||
月(달 월) 下(아래 하) 老 (늙을 노) 人(사람 인)
"달빛 아래 노인이란 뜻으로 인간의 혼인을 주관한다는 중국 전설의 노인." 당(唐)나라 사람 위고(韋固)가 송성(宋城)의 어느 허름한 여관에 묵게 되었는데, 달빛 아래 웬 노인이 큼지막한 책을 뒤적이고 있었다. 위고가 노인에게 어떤 책이냐고 여쭈니 "이 책은 세상 사람들의 혼보(婚譜)라네. 내가 두 남녀의 발을 붉은 실로 묶기만 하면 그 둘은 부부가 되고 말지"라고 대답하는 것이었다. 월하노인이 "자네의 아내가 될 것"이라고 예언한 한 아이와 위고는 훗날 실제로 부부가 됐다. 월하노인은 여기서 나왔다. 고도로 신체를 단련한 청춘남녀의 모임, 승부 전야의 피말리는 긴장감과 경기 후의 승리감과 허탈감까지, 올림픽 선수촌은 로맨스가 생겨날 여러 가지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 단,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뛰어넘어야 하기에 '올림픽 로맨스'를 완성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88올림픽 폐막식, 양국 임원진의 배려로 행사 참석을 면제받은 안재형과 자오즈민은 텅 빈 선수촌을 거닐며 사랑을 속삭였다. 그 결과는 잘 아시는 대로 사상 첫 한중 핑퐁커플의 탄생이었다. ![]() 1956년 멜버른 올림픽, 투해머 금메달리스트 헤롤드 코널리(미국)는 체코의 투원반 금메달리스트 올가 피코토바에게 곧바로 청혼할 만큼 마음을 빼앗겼다. 당시는 냉전의 절정기다. 호주 경찰이 24시간 선수촌을 비상경계할 만큼 국제정치의 상황이 몹시 심각했다. 그런데 결혼이라고? 헤롤드와 올가는 1년간의 청원 끝에 이듬해 프라하에서 결혼식을 올린다. 한 번은 가톨릭, 한 번은 개신교 식으로. 월하노인이 이들을 도와주었을 터이다. <더 상세한 풀이>
(1)
◐ 월하노인(月下老人) ◑
▶ 부부의 인연을 맺어주는 중매인을 일컫는 말. ▶ 月 : 달 월 / 下 : 아래 하 / 老 : 늙을 노 / 人 : 사람 인 ▶ 당 나라 초기, 정관(貞觀) 2년에 위고(韋固)라는 청년이 여러 곳을 여행하던 중에 송성(宋城:지금의 허난성)에 이르렀을 때
어느 허름한 여관에 묵게 되었다.
그날 밤 휘영청 밝은 달빛 아래 한 노인(月下老人)이
자루에 기대어 앉아 커다란 책을 뒤적이고 있었다.
위고가 물었다.
"무슨 책을 보고 계십니까?" "이것은 세상 혼사에 관한 책인데 여기 적혀 있는 남녀를 이 자루 안에 있는 빨간 끈(赤繩)으로 한번
묶어 놓으면 아무리 원수지간이라도 반드시 맺어진다오."
"그럼 제 배필은 어디 있습니까?" "송성에 있네. 북쪽에 채소 파는 노파가 안고 있는 아이가 바로 짝이네."
그러나 위고는 참 이상한 노인이라고만 생각하고 그 말에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그로부터 14년이 지나 위고는 상주(相州)의 관리가 되어
그 고을의 태수의 딸과 결혼하였다.
17세로 미인이었다. 어느 날 문득 예전 생각이
나 부인에게 월하노인의 말을 이야기 해주었다.
그러자 부인은 깜짝 놀라면서 말하였다.
"저는 사실 태수의 친딸이 아닙니다. 아버지가 송성에서 벼슬하시다가 돌아가시자
유모가 채소장사를 하면서 길러주었는데
지금의 태수께서 아이가 없자 저를 양녀로 삼으신 것입니다."
중매에 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진서> '색담전'에 실려 있다.
진(晉) 나라에 색담이란 점쟁이가 있었다.
그는 천문과 꿈해몽에 대해 밝았다.
어느 날 영호책(令狐策)이라는 사람이
이상한 꿈을 꾸어 색담을 찾아왔다.
"나는 얼음 위(氷上人)에 서 있고 얼음 밑에는 누군가가 있어 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통 생각이 나지를 않습니다."
색담이 해몽을 해주었다. "얼음 위는 양(陽)이며 그 밑은 음(陰)이다. 이 꿈은 당신이 중매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혼사는 얼음이 풀릴 무렵 성사될 것이다."
과연 영호책은 태수로부터 자기 아들과 장(張)씨의 딸을 중매 서 달라는 부탁을 받아,
얼음이 풀릴 무렵에 이 결혼을 성사시키게 되었다.
이 두 이야기로부터 사람들은 중매인을 가리킬 때에 월하노인
또는 빙상인이라 부르고
이 둘을 합쳐서 '월하빙인'이라 부르게 되었다.
[출전] 진서(晉書) 예술전(藝術傳), 속유괴록(續幽怪錄)
(2)
[月 下 氷 人 (월하빙인)]
【한자】 달 월 / 아래 하 / 얼음 빙 / 사람 인 【의미】 달빛 아래의 노인과 얼음 위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부의 인연을 맺어주는
신이나 중매인(仲媒人)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태평광기(太平廣記)》《진서(晉書)》
【동의어】▶ 月下老人 (월하노인) / 氷上之人 (빙상지인) : 月下老 氷上人
【字意】 ◎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氷(빙)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얼(빙)]’을 만듦.
1-月
2-下
3-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