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통해 수도권 아파트 매매현황 분석 |
[K그로우 김택수 기자] 주택 시장 침체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동주택 공시가격보다 낮게 거래되는 수도권 아파트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수도권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거래 중 303건은 동일 면적 최저 공시가격 이하에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3분기 공시가격 이하 매매된 아파트 거래 건수가 분기당 평균 48건인 것과 비교할 때 6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히 303건 중 증여 등으로 시세보다 낮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은 직거래 71건을 제외해도 232건이 공시가격 이하에 거래됐다.
공시가보다 2억원 이상 떨어진 거래도 있었다. 서울 서초구 서희융창아파트 전용(이하 전용 기준) 101.83㎡는 지난달 13일 9억3480만원에 중개 거래됐다. 동일 면적 최저 공시가격인 11억8000만원보다 2억4520만원 낮은 금액에 거래가 성사됐다.
강남구 개포주공 6단지에서는 지난달 17일 83.21㎡가 최저 공시가격인 20억800만원보다 약 1억원 떨어진 19억원에 중개거래됐다.
2021년까지 매매가가 급등해 공시가격이 많이 올랐던 경기·인천 지역에서도 공시가격보다 실거래가 낮아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경기 의왕시 휴먼시아청계마을 121.82㎡는 지난달 10일 공시가격 최저값인 8억9400만원보다 2억원 가까이 내린 7억원에 중개거래됐다.
인천 연수구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2차 84.97㎡도 최저 공시가격보다 7200만원 낮은 6억3000만원에 지난해 11월 거래됐다.
실제 거래금액보다 공시 가격이 높으면 시세 대비 대출이나 보증액이 같이 높아져 깡통 전세나 부실 채권을 야기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한편 분양시장에서도 마이너스 프리미엄(마피) 매물이 속속 나오고 있다.
분양가보다 싼 가격에 분양·입주권을 내놓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집값 하락세 속 전셋값도 하락폭이 커지고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워지자 수분양자들이 손해를 감수하고 분양권을 정리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내년 1월 입주 예정인 서울 송파구 가락동 '송파더플래티넘'은 '초급매', '마피' 등을 단 분양권 매물이 상당수 올라와 있다.
분양가가 14억5140만원인 전용 65㎡(고층)는 '마피' 1억5000만원을 걸고 13억140만원에 나왔다. 같은 면적 11층 매물도 분양가보다 1억3000만원 낮은 13억2140만원에 올라와 있다.
이 단지는 지난해 1월 일반분양 29가구 모집에 7만5000여명이 몰려 약 2600대 1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높게 책정돼 '무순위 청약'을 반복하는 단지들도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물 호가가 올라온 경우도 있다.
금천구 독산동 '신독산솔리힐뉴포레' 68A㎡는 6억440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다. 이 평형은 지난해 6월 입주자 모집 당시 최고 7억4700만원에 분양가가 책정됐다.
강북구 수유동 '칸타빌수유팰리스' 59B㎡(7층)는 6억8000만원에 올라와 있다. 입주자 모집 당시 이 평형의 최고 분양가 9억2490만원보다 2억4000여만원 낮은 가격이다.
[출처] K그로우(http://www.kgrow.co.kr)
#k그로우 #부동산 #마피 #공시가 #아파트 #마이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