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위관전(胃關煎)
비신(脾腎)의 허한(虛寒)으로 사(瀉)를 작(酌)하거나 혹 심(甚)하여 구사(久瀉)에 이르거나 복통(腹痛)의 부지(不止), 냉리(冷痢)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숙지황(熟地) 3~5전(錢)이나 1량(兩) 산약(山藥)(초(炒)) 2전(錢) 백편두(白扁豆)(초(炒)) 2전(錢) 자감초(炙甘草) 1~2전(錢) 초건강(焦乾薑) 1~2~3전(錢) 오수유(吳茱萸)(제(製)) 5~7분(分) 백출(白朮)(초(炒)) 1~2~3전(錢)
물 2종(鍾)으로 달여 7분(分)이 되면 식원(食遠)에 온복(溫服)하느니라.
사(瀉)가 심(甚)하면 육두구(肉荳蔲) 1~2전(錢)을 가하는데, 면(麵)으로 초(炒)하여 사용하고 혹 파고지(破古紙)도 가(可)하느니라.
기허(氣虛)의 세(勢)가 심(甚)하면 인삼(人蔘)을 적절하게 가하여 사용하느니라.
양허(兩虛) 하탈(下脫)로 불고(不固)하면 제부자(製附子) 1~2~3전(錢)을 가하느니라.
복통(腹痛)이 심(甚)하면 목향(木香) 7~8분(分)이나 후박(厚朴) 8분(分)을 가하느니라.
체통(滯痛) 불통(不通)하면 당귀(當歸) 2~3전(錢)을 가하고, 활탈(滑脫) 불금(不禁)하면 오매(烏梅) 2개(個)나 북오미(北五味) 20립(粒)을 가하느니라.
만약 간사(肝邪)가 비(脾)를 모(侮)하면 육계(肉桂) 1~2전(錢)을 가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