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주제에 대해 토론을 할 때 자주 듣는 표현 중 하나가 'The bottom line is ~.'다. 이 표현은 '모든 것을 고려한 결과' 또는 '가장 중요한 점, 핵심, 요점'이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The bottom line is that we must pay attention to all of the details in the financial report.'라고 하면, '핵심은 회계 보고서의 모든 세부사항들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해석된다.
bottom line의 또 다른 의미는 '회사의 순익 보고서 등에서 세금, 이자, 경비 등을 제하고 남은 순이익이나 순손실을 나타내는 부분, 재정 상태'를 의미한다. 가계부나 기업의 대차대조표에는 수입과 지출 항목이 있고, 결산에는 여러 비용을 제한 순수익 또는 순손실이 나온다. 수익의 경우는 검은색으로 되어 있어 흑자라고 하고, 손실의 경우는 빨간색으로 되어 적자라고 한다. 결산 보고서의 맨 아래쪽에는 해당 기간 동안의 경제활동이 흑자인지, 적자인지를 표시해 준다.
따라서, 결산 보고서의 맨 아래줄(bottom line)만 보면 재정 상태를 바로 알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We have to look at the bottom line to assess the financial health of the company.'라고 하면 '회사의 재정 상태를 평가하려면 마지막 라인을 살펴봐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즉, 일반적으로 기업이 이익극대화를 추구하거나, 재무 상태를 개선한다고 할 때 bottom line을 추구한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Ex] What's your bottom line? (요점이 뭐냐?)
Give me the bottom line. (요점만 말해.)
[예문 1] Bottom line is nobody here knows how to drive.
중요한 건 여기 운전할 줄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거예요.
[예문 2] The bottom line is, if you cannot do your job, you are not going to keep your job.
중요한 사실은, 자기가 맡은 일을 수행해 낼 수 없으면, 자기 일자리를 잃게 된다는 거지요.
[예문 3] Mergers, acquisitions, sales, and divestitures are major decisions that can boost the bottom line, but require a thorough evaluation of risks and rewards.
합병, 인수, 매출과 매각은 순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주요 결정 사항이지만 위험과 보상에 대한 철저한 평가가 필요하다.
첫댓글 When you attend English holic meeting, the bottom line is don't be nervous just keep trying like me. Right now,
I am not sure these sentences whether correct or not. However, I am continuingly trying to make a sentence . ^^ ㅋㅋㅋ
important thing보다 bottom line을 현지에서는 더 많이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우리는 important thing이 더 익속한데...
Wow..What a useful expression!!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