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바람에 띄운 그리움 원문보기 글쓴이: 학청
조선 중기 유학자로 남인의 영수였던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 선생이
지적한 노인이 저지르기 쉬운 말실수 16가지인
<구과 십육(口過十六)>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실없는 우스갯말로 상대방을 희롱하고,
조롱하는 행언희학(行言戱謔)이다.
(2) 걸핏하면 음주, 가무(歌舞), 여색(女色)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성색(聲色)이다.
(3) 공익(公益)과 정의가 없는 사사(私事) 로운
재물이나 이익 이야기를
즐겨하는 화리(貨利)이다.
(4) 사소한 문제를 가지고 걸핏하면
버럭 화를 내는 분치(忿懥)이다.
(5) 분위기를 무시하고 엉뚱하고
과격한 언사(言辭)로 주위를
불안하게 만드는 교격(矯激)이다.
(6) 자리를 불문하고 체면을 구겨가며
아첨(阿諂)하며 잘 보이려
애쓰는 첨녕(諂佞)이다.
(7) 남과 더불어 일을 할 때 이기적인
속셈을 부려 계획적인 속임수를 써서
자신의 이익을 꾀하는 구사(苟私)이다.
(8) 왕년에 자기가 잘 나가던 얘기를 하며,
의도적으로 상대의 기를
꺾으려고 하는 긍벌(矜伐)이다.
(9) 잘난 사람을 인정하지 않고,
기피하며 꺼리는 용렬(庸劣)한
마음에서 말하는 기극(忌克)이다.
(10) 남이 내 잘못을 지적하면 참지 못하고,
치욕(恥辱)으로 여겨 성을 내면서
말하는 치과(恥過)이다.
(11)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고,
나는 아닌척하며 기피(忌避)하는
졸한 마음에서 말하는 택비(澤非)이다.
(12) 남을 비방하고 헐뜯으며
왈가왈부하는 논인자 후(論人訾詬)이다.
(13) 자기만 옳고 남의 허물은
기꺼이 들추어내어 세상에
알리는 행직 경우(倖直傾訏)이다.
(14) 남의 좋은 점을 무시하고
그를 경멸(輕蔑)하며 애써 흠짐을
잡으려고 혈안(血眼)이 되어
말하는 멸인지선(蔑人之善)이다.
(15) 남의 사소한 잘못도
간과(看過) 하지 못하고 콕 꼬집어
주위 사람들에게 알게 하는
양인지건(揚人之愆)이다.
(16) 사람들이 혐오(嫌惡)하고 꺼리는 일이나
세상일의 변고(變故)에 대해
근거도 없이 민심도 헤아리지 못하고,
자중(自重)도 않고 졸장부처럼
말세(末世)니 종말(終末)이니 하면서
절망적인 표현을 서슴없이 하여
사회분위기를 부정적으로 함부로
말하는 시휘세변(時諱世變)이다.
이상 16가지는 조선중기 유학자
허목(許穆) 선생이 노인의 입(말)으로
짓기 쉬운 16가지 잘못을 경계하라는 내용이다.
그는 나이 들어 입으로 짓기 쉬운
16가지를 나열한 후에
“삼가 않는 사람은 작게는 욕을 먹고,
크게는 재앙이 그 몸에 미친다.
마땅히 경계할진저,
16가지 구과(口過)를 범하지 않으려면
어찌할 것인가?
입은 꾹 닫고 침묵하면 된다.
어떤 말도 침묵만은 못 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거처 이름을 <불여묵전사(不如黙田社)>로
붙인 이유”라고 전하면서 글을 맺었다.
이 글은 당시 사회적 분위기가
지금과 조금도 다를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늘날 후손들에게도 많은 교훈과 경각심을 주고 있다.
특히 근래 선거철을 맞아 상대방을
비방하고 자기를 치켜세우기에
혈안이 되고 있는 때에 모든 국민들도
허목 선생의 <구과 십육(口過十六)>의 참뜻을
다시 한번 되새길 필요가 있다.
-옮긴 글-
명상음악 - 심화
|
출처: 바람에 띄운 그리움 원문보기 글쓴이: 학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