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출간 종수가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하였다. 판매량은 2020년에 감소했다가 2021년 6.1%의 증가율로 반등했고, 이후 2022년에도 3.1%로 꾸준히 증가했다.
또한 시집의 주 독자층이던 중장년층과 함께 젊은 세대가 시를 즐기는 트렌드도 지속됐다.
2022년 2030세대의 시집 구매 비중은 30%였으며 40대 30%, 50대 27%, 60대 이상 11.2%로 전 연령층에서 고루 시문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비는 약 3:7로 여성 독자가 더 많았다.
특히 솔직하고 독특한 매력으로 독자를 끌어당기는 국내 젊은 시인들의 활동이 눈에 띈다. 2022년 시집 베스트셀러 16위를 차지한 최지인 시인의 '일하고 일하고 사랑을 하고'는 부조리한 세상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청춘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그려내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정현우 시인의 '소멸하는 밤'은 죽음과 이별을 겪는 세상의 모든 것들에 대한 슬픈 찬가를 전한다. 신동엽문학상 수상에 빛나는 안희연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은 삶의 바닥을 바라보며 세상의 모든 슬픔을 헤아리는 깊고 간절한 시편들을 담았다.
독자들의 취향이 세분화되는 흐름에 따라, 시리즈 기획도 다양하고 세련되게 진화하고 있다. 시 전문 출판사인 아침달 출판사의 '아침달 시집' 시리즈는 등단 여부를 가리지 않고 개성 있게 자신만의 세계를 보여주는 시집을 선보여 왔다.
여러 언어권의 현대 시인을 소개하는 '읻다시인선'은 시가 아름답게 읽힐 수 있도록 원어 시의 이미지와 호흡, 리듬과 분위기를 옮기는 데 초점을 맞췄다.
시인 여러 명의 작품을 하나의 시집으로 엮은 앤솔러지 시집도 눈길을 끈다. '혼자 점심 먹는 사람을 위한 시집'은 9명의 시인이 점심시간에 써내려간 시집으로, 점심시간에 대한 각양각색의 시선이 돋보인다.
정현우,황인찬,이소호,안희연,문보영,양안다,고명재 등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생 젊은 시인들은 SNS나 독립 출판을 통해 독자를 만나고 있다. 1020세대 독자들 가운데에는 SNS에 시 구절을 올리면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도 트렌드가 되고 있다.
한편 나태주,류시화 등 기성 시인들의 인기도 여전했다. 예스24가 집계한 2022년 시 분야 베스트셀러 리스트에서는 10위권 내 나태주 시인의 시집이 5권 오르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했다. 그 외 류시화 시인의 '마음챙김의 시', 윤동주 시인 서거 77주년 및 탄생 105주년을 기념하는 '윤동주 전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등 기존 베스트셀러가 변함없이 사랑받았다.
기성 시인들의 시집이 드라마 속 상황이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역주행'하기도 했다. 2022년 시 분야 베스트셀러 1위이자 드라마 '남자친구'에 등장한 나태주 시인의 '꽃을 보듯 너를 본다'는 해당 회차 방영 시기인 2018년 12월에 전월 대비 약 14배의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다. '로맨스는 별책부록'에 노출된 나태주 시인의 또 다른 저서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도 전월 대비 47배, 최근 '갯마을 차차차'에 나왔던 김행숙 시인의 '에코의 초상'은 전월 대비 약 33배 판매량이 증가했다.
해당 시기 구매자의 대부분은 드라마 주 시청층으로 여겨지는 3040세대 여성이었다. 공감하기 쉽고 간결한 언어로 깊은 감성을 담아낸 기성 시인들의 작품이 드라마로의 몰입을 극대화시켰고, 이것이 시집 구매까지 연결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밖에 향기를 입혀 시각과 후각을 동시에 자극하는 시집, 다채로운 일러스트가 들어간 시집, 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시집 등 편집도 다양해졌다.
[출처] 뉴스아트 (https://www.news-art.co.kr)
https://www.news-art.co.kr/mobile/article.html?no=26405
첫댓글 그래도 이 나라는 희망이 있습니다. 시집이 팔리는 나라. 동아시아권에서 시는 문학의 정점이라고들 하지요. 류시화 시인의 시집의 경우 시, 일러가 섞여있고 산문처럼 코멘트도 달려있어 멀티예술 시집이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시가 읽히는 것은 SNS 힘이 크다고 봅니다. 2010년까지만 해도 시인이라는 건 석박따고 교수하려들지 않는 한 가난해지겠다는 선언이다 이런 소리까지 나올 정도로 떡락 중이었는데 13~14년 거치면서 뭔가 시에 대한 대중접근성이 향상되었다고나 할까
네, 지인들의 추천도 있지만 책광고도 알고리즘에 떠서 그걸 따라 들어간 경우도 많았네요.
역시 2030 여자들이 시집을 좀 읽네요
sns에 오르기만 하면 관심을 가지니 자연스레 그렇게 되는듯 하군요
sns의 얼마 안 되는 순기능이라 할수 있겠네요 ㅋ
퍼거슨 옹의 말이 옳다고 생각하지만 손에 꼽을만한 SNS의 순기능 중 하나는 도서 추천 알고리즘 아닐까 합니다.
민음사, 문학과지성사, 문학동네 시인선의 경우 순수시가 가지는 진입장벽 자체가 높기 때문에 아직은 갈길이 멀다고 느껴집니다. 소설은 이성적으로 읽히기라도 하지만 시는 추상예술을 활자로 구현하고 있기에 취향이 되기 위해서는 긴 시간의 반복 독서가 필요하죠.. 시집 한권에 긴밀하게 구성된 알레고리의 흐름을 따라가며 읽기라는 게 매니악으로 빠지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좋게 말하자면 고급취미죠.
지하철 등에 작품이라고 걸어지는 것도 추상성은 없고 일기장에 예쁘게 쓴 감성글을 문단 띄어서 쓴 수준이죠.
등단의 경우, 부분적으로 그럴수도 있겠다생각은 들지만 독자로서의 접근성은 다른 어떤 문학작품들보다 좋다는 생각입니다. 그래도 아직 이 나라에 돈을 주고 시집을 구매한다는 행위가 상대적으로 좀 주목되어서요.
개인적으로 시는 약간 다른문학이랑 차이가 크다 생각해서 접근성은 오히려 좋다고 봅니다만 문학전체를 말하긴 힘들다 생각이 들어요.
시는 좀 더 노래에 가깝거든요. 책은 안읽어도 노래는 꾸준히 팔려왔는데 기존에 노래를 즐겨듣는 사람들은 시의 감성을 받아들이기 쉬울 것이라는 생각은 듭니다. 문어와 구어의 차이라고 하면 좋을까요?
시경이 있을만큼 오래된 역사를 가진 문학이고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의미들을 가질 수 있는 다변성과 간결함, 상상을 자극하는 여백의 미가 있는 장르라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도 노래를 부르다 나온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음악과 춤과 술에 일가견이 있는 이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후손으로서.ㅎ
서사는 없고 감정만 남은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