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라는 동물은 동서양(東西洋)을 막론하고 꾀 많고 교활해서 시세(時勢)를 잘 타는 사람들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솝우화(寓話) 속의 여우나 동양의 고전 속에 등장하는 여우의 성격을 통해서 잘 알 수 있습니다. 나무 위에 고기 덩이를 물고 있던 까마귀를 칭찬해서 노래를 부르게 해 떨어진 고기 덩이를 물고 간 여우의 교활함에 웃음을 자아냈던 이야기는 어릴 적에 많이 들었을 것입니다. 더욱이 그 이야기가 서양의 우화(寓話)가 아닌 동양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우리들이 동양 고래(古來)의 고전(古典)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음을 느끼게 합니다.
여우와 관련된 고사(故事) 가운데 대표적인 이야기가 바로 호가호위(狐假虎威)입니다. 호가호위는 '여우가[狐] 호랑이의[虎] 위세를[危] 빌린다[假]'는 뜻으로 실력도 없는 사람이 윗사람의 권세(權勢)를 이용해서 허세(虛勢)와 세도(勢道)를 부린다는 의미로 활용되는데, 우리 나라 근대 신소설(新小說)인 안국선(安國善)의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에서도 호가호위(狐假虎威)의 일화가 활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호가호위(狐假虎威) 고사의 출전(出典)은 전한(前漢)의 유향(劉向)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의 <초책(楚策)>편에서 찾을 수 있는데, 보다 자세한 배경 이야기와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고대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일입니다. 초(楚)나라의 선왕(宣王) 밑에서 위(魏)나라 출신인 강을(江乙)이라는 변사(辯士)가 벼슬을 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초(楚)나라는 삼려(三閭)라는 세 집안의 세도가(勢道家)가 권력을 쥐고 있었는데, 그 중 소씨(昭氏) 가문의 소해휼(昭奚恤)이라는 자가 그 핵심에 있었습니다. 강을은 소해휼의 전횡(專橫)을 막으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선왕(宣王)이 신하들과의 조회(朝會)에서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 북방(北方)에 있는 모든 나라들이 우리 소해휼(昭奚恤)을 모두 두려워하고 있다는데, 사실이냐?" 소해휼이 두려워 모두 아무 말을 못했지만 강을(江乙)이 나서 말문을 엽니다. " 제가 한 가지 우화(寓話)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호랑이는 온갖 짐승들을 잡아먹고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여우를 잡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꾀 많은 여우가 말하기를 "너는 감히 나를 잡아먹을 수 없다. 하느님께서 나를 온갖 짐승들의 우두머리를 시켜주셨는데, 지금 네가 나를 잡아먹는다면 이는 하느님의 명을 거역하는 것이다. 만약에 네가 나의 말을 믿지 못하겠거든 내가 너를 위해서 앞장서 갈 것이니 너는 나의 뒤를 따라 오면서 짐승들이 날 보고 감히 달아나지 않는가를 보아라." 여우의 당당한 말에 호랑이가 믿고 마침내 함께 길을 가게 되었는데, 정말 짐승들이 보이자마자 모두 다 달아났습니다. 결국 호랑이는 짐승들이 자기를 두려워해서 달아난 것인지 모르고 여우를 두려워해서 달아난 것으로 여긴 것입니다. } 지금 대왕(大王)께서는 오천리(里)나 되는 넓은 영토와 백만의 대군(大軍)을 소해휼(昭奚恤)에게 모두 맡기고 있습니다. 그러니 모든 나라들이 소해흘을 두려워하는 것은 사실 대왕의 군사(軍士)들을 두려워하는 것이지 소해휼이 두려운 것이 아닙니다. 마치 온갖 짐승들이 호랑이를 두려워하듯이 말입니다. "
{ 虎求百獸而食之라가 得狐하니 狐曰,“子는 無敢食我也리라. 天帝使我長百獸하니 今子食我면 是는 逆天帝命也라. 子以我爲不信이어든 吾爲子先行하리니 子隨我後하여 觀百獸之見我而敢不走乎하라”하니 虎以爲然하여 故遂與之行한대 獸見之하고 皆走어늘, 虎不知獸畏己而走也하고 以爲畏狐也러라. 《戰國策, 楚策》} |
결국 초선왕(楚宣王)은 소해휼(昭奚恤)이 자신을 등에 업고 위세(威勢)를 부리는 교활한 여우같은 자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 어리석은 호랑이 같은 임금이 되고 만 것입니다. 실제 우리 사회에서도 이와 같은 호가호위식(狐假虎威式)의 상황(狀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권력의 핵심(核心)에 있는 자를 이용해 사기(詐欺) 행각(行脚)을 벌이는 일도 문제지만, 특히 그러한 행각이 일어나는 것을 눈감고 있다거나 알지도 못하는 권력자(權力者)라면 더욱 큰 문제일 것입니다.
아울러 힘은 자신의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라야 그 진가(眞價)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배경만을 믿고 거만(倨慢)하고 무례(無禮)하게 행동하는 주위의 눈살이 찌푸려지는 사람들에게 겸손(謙遜)한 언동(言動)과 타인(他人)을 배려(配慮)할 줄 아는 심성(心性)을 갖출 수 있도록 일깨워줄 수 있는 사회적 지탄(指彈)의 목소리를 높여야 할 것입니다.
한자(漢字)의 활용(活用) |
한자 |
독음 |
한 자 어(漢字語) 예 시(例示) |
狐 |
(호) |
여우 - 狐死首邱(호사수구- 首邱初心), 호서지도(호서지도) |
假 |
(가) |
1) 빌리다 - 假借(가차), 2) 거짓 - 假象(가상) 3) 임시 - 假橋(가교), 4) 가령 - 假令(가령), 5) 가면 - 假面(가면) |
虎 |
(호) |
호랑이 - 龍虎相搏(용호상박), 虎皮(호피),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威 |
(위) |
위엄 - 威勢(위세), 權威(권위), 威嚴(위엄), 威風(위풍), 國威(국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