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구대표님의 카톡에서]
🌵사흘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다.
❇풍경1
소년은 15살이었습니다.
하루는 마을 근처에 있는 절에 놀러 갔습니다.
거기서 동자승을 만났습니다.
동자승은 그에게 명구(名句) 하나를 읊었습니다.
“삼일수심(三日修心)은 천재보(千載寶)요.
백년탐물(百年貪物)은 일조진(一朝塵)이다.”
뜻을 풀면 이렇습니다.
사흘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요,백 년 탐한 재물은 하루아침의 티끌이다.
소년은 상당히 조숙했었나 봅니다.
그는 이 말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큰 감동도 받았습니다.
자신이 갈 길이 바로 이 길임을 직감했습니다.
소년은 그 길로 몰래 집을 나와 출가를 했습니다.
15살 소년의 자발적 출가였습니다.
그 소년이 누구냐고요?
불교계에서 강백(講伯)으로 이름이 높은 무비(無比) 스님입니다.
15살 소년은 이제 79살의 노장입니다.
❇풍경2
예전에 가톨릭에서 주관한‘죽음 체험 피정’을 취재한 적이 있습니다.
줄지어 선 참석자들은 자기 차례가 되자 관 속에 들어가 누웠습니다.
잠시 후 관 뚜껑이 닫혔습니다.
그 속에서 5분가량 있다가 다시 나왔습니다.
그런데 관에서 나온 사람마다 눈물을 뚝뚝 흘렸습니다.
<사람들은 묵상을 통해 또 명상을 통해 삶과 죽음을 들여다본다.
삶을 통해 죽음을 생각하고, 죽음을 통해 삶을 바라본다. 거기서 종종 지혜가 올라온다.>
그걸 쭉 지켜보던 저는 궁금해졌습니다.
저들은 무엇을 본 것일까,
저들은 왜 눈물을 흘리는 걸까.
저는 취재수첩과 카메라를 잠시 내려놓고 줄을 섰습니다.
제 차례가 왔고,저는 관 속으로 들어가 누웠습니다.
곧이어 관 뚜껑이 닫혔습니다.
관 뚜껑과 관, 그 사이로 실처럼 가느다란 빛이 들어왔습니다.
아주 캄캄한 어둠은 아니었습니다.
잠시 후 관 뚜껑 위로 천이 덮였습니다.
그러자 빛이 하나도 없는 완전한 어둠 속에,
제가 누워 있었습니다.
아, 여기가 무덤이구나. 공간은 철저하게 분리돼 있었습니다.
관 속과 관 바깥은 달라도 아주 달랐습니다.
가장 먼저 딱! 드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관 바깥세상에 있는 어떠한 것도 이 안으로 가지고 올 수가 없구나.”
관 바깥에는 많은 것들이 있었습니다.
나의 가족,
나의 친구,
내가 하는 일,
내가 좋아하는 책,
내가 아끼는 이런저런 물건들.
그 어떤 사람도,
그 어떤 물건도 관 속으로 가지고 들어올 순 없었습니다.
“그럼 무엇이 남는 걸까?
관 속에 누워있는 나에게 남아 있는 것은 대체 무엇일까?”
<관 속에 누워서 죽음을 묵상하는 '죽음 체험 피정'을 통해 사람들은 삶과 죽음을 다시 돌아봤다. >
이 물음이 저절로 올라왔습니다.
그때 비로소 알겠더군요.
“아! 마음이구나.죽어서 관 속에 누운 나에게
남는 것은 마음이구나.
이 관 속으로 가지고 들어올 수 있는 건 마음 뿐이구나.
그럼 어떻게 살아야 하지?
잘 살아야겠네. 마음을 잘 가꾸며 살아야겠네.”
❇풍경3
무비 스님의 출가담을 들으며 저는 관 속에 누웠던
‘죽음 체험 피정’이 떠올랐습니다.
<무비 스님은 슬픔 속에 서 있으면서도 슬픔에 젖지 않는 삶이야말로 가뿐한 삶이라고 했다.>
사흘 닦은 마음이 천 년의 보배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 구절에 무척 공감이 갔습니다.
왜냐고요?
죽은 뒤에 내가 가져가는 건 마음뿐이라는 걸 절감했으니까요.
아무리 빛나는 보석도,
아무리 좋은 자동차도,
아무리 좋은 집도 가지고 갈 수가 없더군요.
오직 하나, 나의 마음만 가지고 갈 뿐이었습니다.
❇풍경4
무비 스님에게 이런 물음을 던진 적이 있습니다.
“불교는 마음 닦는 종교다.깨달음의 종교다.
깨닫기 전과 깨달은 후는 무엇이 달라지나?”
<슬퍼하면서도 슬픔에 젖지 않는 삶, 그건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의 삶과 통한다.>
무비 스님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달라지는 건 없다. 그 전 그대로 살 뿐이다.
다만 인간의 삶에서 맛봐야 하는
굉장한 기쁨,
엄청난 절망,
잊지 못할 고통 앞에서는 그 차이가 확 달라진다.”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시 물었습니다.
“도인일수록 폼 잡지 않는다.
정말 명경지수(明鏡止水ㆍ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의
마음을 가진 도인은 더 인간적이다.
더 슬퍼하고, 더 기뻐한다.
다만 그 슬픔과 기쁨에 젖지 않을 뿐이다.
기뻐하되 기쁨에 물들지 않고, 절망하되 절망에 물들지 않는다.
물론 불의를 보면 분노한다.
그런데 그 분노에 물들지 않는다.
결국 어찌 되겠나.
슬픔과 고통과 절망 속에 있어도 ‘나’가 상하는 일이 없다.”
<무비 스님은 "도인일수록 폼 잡지 않는다. 마음껏 기뻐하고 마음껏 슬퍼한다.
다만 거기에 젖지 않을 뿐이다"라고 했다. >
그런 삶은 어떤 삶일까,
다시 물었습니다.
“가뿐한 삶이 된다.살기가 아주 수월한 삶이 된다.
삶도 가뿐하고, 죽음까지도 가뿐하게 느껴진다.
생사해탈이 대단한 게 아니다.
그게 바로 생사해탈이다.
삶이 뭔가.
인연 따라 세상에 관광 왔다가 돌아갈 시간이 되면
당연히 돌아가는 거다.”
무비 스님은 자신이 입적할 때 다비식도 않겠다고 했습니다.
괜히 산 사람들 번거롭게 한다는 이유였습니다.
몸은 그동안 입었던 옷이니 그냥 벗으면 된다고 했습니다.
이미 시신 기증 서약까지 해놓았다고 했습니다.
<무비 스님은 "남의 바둑에 훈수를 둘 때 바둑판이 더 잘 보이는 이유가 뭔가.
거기에는 '나'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풍경5
마지막으로 무비 스님에게‘가뿐한 삶’ ‘물들지 않는 삶’에대해 물었습니다.
무비 스님은 바둑에 빗대서 답을 던졌습니다.
“하수들이 바둑을 둘 때 고수의 눈에는 다 보인다.
어디에 두면 죽는지, 어디에 두면 사는지 말이다.
곧 죽을 자리인데도 돌을 놓는 것이 빤히 보인다.
사람들은 자기 바둑을 둘 때는 수를 놓칠 때가 많다.
반면 남의 바둑에 훈수를 둘 때는 수가 잘 보인다.
훈수 둘 때는 2급 이상 바둑 실력이 더 높아진다고 하지 않나.
왜 그렇겠나. 바둑에 ‘나’가 없기 때문이다.
삶도 마찬가지다.
삶에 ‘나’가 없으면 지혜가 생긴다.
그래서 인생에서도 고수가 된다.”
사흘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라고 했습니다.
무비 스님은 그런 마음을 어떤 식으로 닦아야 하는지
중요한 힌트를 주었습니다.
<나의 삶에서 한 발 뚝 떨어져 보는 여유,
거기서 지헤가 나온다고 무비 스님은 강조했다.>
남의 바둑에 훈수 두듯이 한발 뚝 떨어져서
나의 바둑을 바라보는 여유.
거기서 나오는 지혜로 나의 바둑을 풀어가는 삶.
그렇게
한 발짝,
또 한 발짝,
또 한 발짝 가다 보면
우리의 삶도 가뿐해지지 않을까요.
수월해지지 않을까요.
물들지 않는 삶이 되지 않을까요.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
=========================
★오늘은 6.25 72주년
★대중가요로 그려진 6.25
오늘은 6.25 전쟁이
일어난 지 72년이 됩니다.
한국 사회 전반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던
참혹한 전쟁이었습니다.
그 전쟁은 줄잡아
5백만 명의 희생자,
천만 명의 이산가족을
만들어 냈습니다.
◉엄청난 아픔의 전쟁이었지만
지금 젊은 세대들은
이 전쟁에 대해 잘 모릅니다.
전쟁을 일으킨 세력에 대한
반감도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잊혀져서는 안되는
전쟁입니다.
지금은 휴전상태,
아직도 끝나지 않은
전쟁입니다.
◉정치세력의 성격에 따라
여러 차례 변질되고 왜곡돼 온
6.25 전쟁의 본질입니다.
어떤 식으로 포장하든 간에
사실 자체는 바뀌지 않습니다.
당시 시대상과 국민 정서를
가장 정확하게 담고 있는 것이
그 시대의 대중가요입니다.
전쟁 중에도 노래는
끊이지 않았습니다.
피난 중에도 레코드사들은
노래를 계속 만들어 냈습니다.
도레미, 미도파, 오리엔트 같은
레코드사들입니다.
많은 가수가 전장을 찾아
병사들의 사기를 돋우어 줬습니다.
◉일반인들은 구슬픈 곡조 하나로
이별과 실향의 아픔을 견뎌내고
전쟁의 시름을 달래기도 했습니다.
많이 등장한 진중(陣中)가요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노래가
바로 전쟁 발발 이듬해인
1951년에 나온 ‘전선야곡’입니다.
한국전쟁 상황을 가장
적절하게 그려낸 노래로
사랑받았습니다.
고향에 두고 온 부모를
그리워하는 이노래는
‘불멸의 보초가’라는 이름까지
얻었습니다.
◉유호 작사 박시춘 작곡의 노래를
부산 동래 출신인 신세영이 불렀습니다.
박시춘이 곡을 구상해
유호에게 노랫말을 부탁했습니다.
남인수를 생각하고 쓴 곡이었지만
오리엔트 레코드 사장인 이병주가
신세영을 추천했습니다.
먼저 신세영의 원곡입니다.
https://youtu.be/ZjjqCRGZXgI
◉가수이자 작곡가이기도 한
신세영은 나훈아의 히트곡
‘청춘을 돌려다오’의
작곡자이기도 합니다.
1981년 미국으로 건너갔다가
2004년 귀국한 그는 2010년
여든다섯 살의 나이로 타계했습니다.
신세영이 세상을 떠난 다음 해인
2011년 이 노래는
영화 ‘고지전’에 들어갔습니다.
이 영화의 장면과 함께
트롯 가수 진해성과 송가인의
노래로 들어 봅니다.
https://youtu.be/jdi7LOhC16Y
◉1951년 같은 해 나온
또 하나의 진중가요가 바로
심연옥의 ‘아내의 노래’입니다.
전장 터에 나가 있는
남편과 가족을 응원하고
무사하기를 비는
진중가요의 대표곡입니다.
전장에 있는 장정들의
무사 안녕과 건투를 성원하면서
그 길이 영광의 길이라고
추켜세우며 응원합니다.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다가
단장이 납북되면서
대중가수가 된 심연옥이
불렀습니다.
원래 1948년 김백희라는
가수가 불렀던 노래를
작사가 유호가 가사를 바꿔
전쟁 중에 심연옥에게 다시
부르도록 했습니다.
심연옥은 백년설과 결혼한 뒤
1979년 미국으로 건너가 살다가
8개월 전인 지난해 10월
아흔네 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음악 활동을 접었지만
지난 1987년 잠시 귀국했을 때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https://youtu.be/heVp_BBfm8E
◉이 노래는 트롯가수
장윤정의 노래로 다시 듣습니다.
https://youtu.be/izYYz8cZXu8
◉‘굳세어라 금순아’는
한국전쟁과 이산가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노래입니다.
강해인이 작사하고
박시춘이 작곡한 아 노래는
전쟁과 분단으로 가족과 헤어진
피난민들의 애환을 절절하게
담아낸 명곡입니다.
1.4 후퇴 당시 흥남 부두에서
미 군용선을 타고 탈출한
피난민들이 부산과 거제도 등지에서
굳세게 살아가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흥남 부두에서 헤어진
금순이를 그리워하지만
만나지 못하더라도
굳세게 살아달라고 당부합니다.
흥남부두, 1. 4후퇴, 국제시장,
영도다리, 초생달 등의 이미지가
그 시대를 굳세게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끌어 줍니다.
현인의 초가 음성입니다.
https://youtu.be/KQazL-qi2_Y
◉이 노래는 2014년 영화
‘국제시장’에 등장하면서
사람들의 추억을 되살려주는
노래가 됐습니다.
1,400만 관중이 관람한 히트작으로
젊은 사람들에게도 이 노래를
만날 수있는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곽진언과 김필이 젊은 감각으로
편곡한 ‘굳세어라 금순아’를
영화 ‘국제시장’을 곁들여 만나봅니다.
https://youtu.be/ffD8aNSkW3U
◉부산의 40계단은
피난민들이 모여 살던
동광동과 이웃 영주동
판자촌으로 오르는
산동네 입구의 계단입니다.
여기서는 부산항이
잘 내려다보입니다.
고달픈 피난살이를 달래고
항구의 불빛을 바라보며
고향 생각에 젖던 곳이기도 합니다.
경상도 아가씨의 눈에 비친
이 실향민의 모습과
망향가를 담은 노래가
1952년 만들어진
‘경상도 아가씨’입니다.
◉가수 박재홍의 국제시장 난전이
불에 타면서 위로차 방문했던
손로원이 계단에 걸터앉아
계단을 헤아리며 가사를 쓰고
이재호가 곡을 붙여
박재홍이 불렀던 노래입니다.
이후 손로원도 화재로 살던 판잣집이
불타면서 연분홍 치마를 입은
어머니의 사진마저 잃고
‘봄날은 간다’를 쓰게 됩니다.
부산도 정이 들면 고향 산천이라며
경상도 아가씨가 손을 잡아주지만
두고 온 북쪽 고향을 잊지 못합니다.
이 노래는 진성이 커버랍니다.
https://youtu.be/ckgCOPGBuQA
◉가요계의 슈베르트로 불리던
작곡가 이재호가 남긴
이 시대의 명곡이 바로
‘단장의 미아리고개’입니다.
단장(斷腸)은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아픔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작사가 반야월이
자신이 겪은 일을 바탕으로
전쟁이 가져온 참상과
아픔을 담아 지은 노랫말에
이재호가 곡을 붙였습니다.
노래는 이해연이 불렀습니다.
반야월은 1.4 후퇴후 잿더미가 된
서울로 돌아와 아내와 딸을 데리고
미아리고개를 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딸은 영양실조로
숨졌다고 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미아리고개는
서울 북쪽의 외곽도로였습니다.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이곳을 통해
납치한 사람들을 끌고 갔습니다.
그래서 피랍된 인사들이
가족과 생이별해야 하는
눈물의 고개였습니다.
가족들은 미아리고개에서
남편과 아들이 끌려가는 것을 보며
창자가 끊어지는 아픔을
견뎌야만 했습니다.
전쟁의 아픔을 처절하게
나타낸 노래를 원곡가수
이해연의 노래로 들어봅니다.
1950년대 말 미국으로 건너가
거기서 3년 전 아흔다섯 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1988년 60대 이해연이
모국에 들러 불렀던
‘단장의 미아리고개’입니다.
https://youtu.be/iqN-qxwxCc8
◉제 1대 미스트롯
결승전에서 송가인이 부른
이 노래는 많은 사람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https://youtu.be/zLMe5UG5LGA
◉전쟁의 아픔과 이별,
망향을 주제로 한 많은 노래가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아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1964년에 만들어진
상징적인 노래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를
마지막 곡으로 듣습니다.
◉1983년 감동의 드라마처럼
펼쳐진 이산가족 찾기의
주제곡 같은 노래입니다.
작가 한운사가 작사하고
박춘석이 작곡해
곽순옥이 불렀습니다.
이후 패티킴과 문주란 장사익 등
많은 가수가 부르면서
국민가요가 됐습니다.
알리가 분단의 아픔을
달래며 마무리 짓습니다.
https://youtu.be/DATXxD3Q2TQ
◉작가 복거일은 6.25 전쟁은
감추고 싶은 과거지만
우리가 누구인지 알기 위해
이 전쟁을 깊이 살펴야 한다는
설명과 함께 6.25를
알기 위한 책을 썼습니다.
’굳세어라 금순아를
모르는 이들을 위하며‘가
그 책의 제목입니다.
‘굳세어라 금순아’는
노래 제목이지만
그 말 자체가 6.25 전쟁의
상징어가 됐습니다.
◉전쟁을 소재로 한 수많은
가요 속에는 전쟁을 바로
알 수 있는 많은 것들이
들어 있습니다.
노래를 만든이도, 부른이도
거의 모두 세상사람이아닙니다.
하지만 오래된 전쟁 가요들을
들추어 보면 전쟁이 들여주는
많은 이야기를 전해
들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보내면 6.25가 낀
이번 주말이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도 같습니다. (배석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