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06월01일(토요일) 포천시 [화적연&멍우리협곡&포천 한탄강하늘다리&비둘기낭 폭포&가람누리문화공원] 탐방일정
06:00~07:17 연신내역 정류장에서 360번 버스를 타고 의정부 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으로 이동 [1시간 17분, 48개 정류장 이동]
07:17~07:21 의정부 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의정부공영버스 정류장까지 도보로 이동 [4분, 287m 이동]
07:21~07:31 의정부공영버스 정류장에서 자일2리 버스 정류장으로 가는 3001번 버스 승차 대기
07:31~09:00 3001번 버스를 타고 자일2리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 [1시간 29분, 18개 정류장 이동]
탐방지 : 포천시 [화적연&멍우리협곡&포천 한탄강하늘다리&비둘기낭 폭포&가람누리문화공원]
[억겁 세월이 빚은 협곡을 따라가는 포천 한탄강주상절리길 3코스 벼룻길
한탄강주상절리길은 비둘기낭폭포를 기점으로 신비한 협곡과 기암절벽을 감상하며 걷는 지질 트레일이다. 2015년 한탄강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조성해 총 5개 코스를 개통했다. 지난여름 태풍에 훼손된 1·2·4·5코스는 아직 복구가 덜 끝나, 현재 3코스 벼룻길만 개방한다. 벼룻길은 ‘아래가 강가나 바닷가로 통하는 벼랑길’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이름처럼 다각형 기둥 모양 주상절리를 좌우에 거느린 깊고 거대한 협곡을 따라 걷는다.
한탄강 협곡과 주상절리는 화산이 폭발해서 마그마가 흐른 자리에 생긴 지형이다. 수십만 년 전 북녘땅 평강군 오리산에서 수차례 마그마가 분출했다. 한탄강을 따라 철원과 포천, 연천을 지나 파주, 문산까지 100km 이상 흘러온 마그마가 식으면서 주상절리가 되고, 그 틈으로 다시 강물이 흘러 깊은 현무암 협곡을 만들었다. 국내에서 유일한 현무암 협곡이다. 2020년 7월에 여의도 면적의 400배에 해당하는 한탄강 일대 1165.61㎢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됐다.
벼룻길은 비둘기낭폭포(천연기념물 537호)에서 출발해 멍우리협곡(명승 94호)을 따라 부소천교까지 이어지는 6km 트레일이다. 비둘기낭폭포 주차장에 주차하고 한탄강지질공원 입구를 지나 왼쪽 계단으로 내려가면 동굴을 품은 비둘기낭폭포와 폭포 아래 짙푸른 소가 신비로운 모습을 드러낸다. 비둘기낭이라는 이름은 비둘기 둥지처럼 움푹한 모양에서 유래했다. 비둘기 수백 마리가 서식해 비둘기낭이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독특한 분위기 때문에 드라마 〈추노〉 〈괜찮아, 사랑이야〉 〈킹덤〉 〈아스달 연대기〉, 영화 〈최종병기 활〉 〈늑대소년〉 등의 촬영지로도 주목받았다.
폭포 부근 한탄강전망대에 서면 멀리 강을 가로지른 다리가 눈에 띈다. 한탄강주상절리길의 랜드마크인 포천한탄강하늘다리다. 길이 200m, 폭 2m 출렁다리 위에서 바라보는 50m 아래 협곡이 장관이다. 바닥에 설치한 강화유리가 공포감을 자극하지만, 그냥 지나치기 아쉽다. 체중 80kg 성인 1500명이 동시에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했다니 안심해도 좋다.
다리를 건너 되돌아와 조붓한 숲길을 지나고 멍우리협곡전망대에 오른다. 나무와 풀숲에 가려 보일 듯 말 듯 애태우던 협곡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높이 30~40m 주상절리가 4km나 이어지는 멍우리협곡은 한탄강에 마그마가 흘러 협곡이 형성된 과정을 알 수 있어 학술 가치가 높다. 아무것도 모르고 봐도 장엄한 풍경에 그저 탄성이 나온다. ‘한국의 그랜드캐니언’이라는 표현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아늑한 숲속 오솔길과 숨은 듯 자리한 캠핑장, 한적한 마을과 경작지를 지나 벼룻교에 이르면 다시 탁 트인 조망을 마주한다. 협곡을 잇는 아치 모양 다리 밑으로 강물이 유유히 흐르고, 다리를 건너면 벤치와 작은 쉼터가 있다. 여기서 10분 더 가면 트레일 종착점인 부소천교다. 산정호수에서 발원한 부소천이 이곳에서 한탄강과 합류한다. 부소천교를 건너가면 전혀 다른 풍경이 열린다. 추수를 끝낸 드넓은 평야가 멀리 산 아래까지 펼쳐져 지금껏 걸어온 길이 아득하게 느껴진다. 비둘기낭폭포에서 부소천교는 이따금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지만, 길이 대체로 평탄해 2시간이면 걸어갈 수 있다. 비둘기낭폭포에 주차했다면 돌아가는 시간을 고려해 일정을 넉넉히 잡는다. 부소천교 앞에 주차장이 있으나, 대중교통은 들어오지 않는다. 버스나 택시를 타려면 농로를 따라 30~40분 걸어야 한다. 매점은 비둘기낭폭포 앞, 멍우리협곡전망대와 벼룻교 사이에 하나씩 있다.
포천에 가볼 만한 다른 관광지도 많다. 먼저 국민관광지로 꼽히는 산정호수가 비둘기낭폭포에서 차로 15~20분 거리에 있다. 억새가 유명한 명성산을 비롯해 크고 작은 봉우리가 호수와 어울려 절경이다. 조각공원을 둘러보거나 놀이동산을 이용할 수 있고, 호수를 한 바퀴 도는 둘레길을 따라 편안하게 산책을 즐겨도 좋다. 둘레길 일부 구간에 나무 덱을 설치해 물 위를 걷는 느낌이다.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에서 돌담병원으로 등장한 건물도 이곳에 있다.
버려진 채석장을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바꾼 포천아트밸리에 들러보자. 화강암을 채석하며 파 들어간 웅덩이에 샘물과 빗물이 흘러 형성된 천주호를 비롯해 조각공원, 천문과학관, 산마루공연장, 돌문화홍보전시관 등이 있다. 가라앉은 화강토가 반사돼 에메랄드빛을 띠는 천주호는 〈푸른 바다의 전설〉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 〈화유기〉 등 인기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하다. 천주호가 자리한 정상까지 모노레일을 타고 편하게 갈 수 있다. 실내 시설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를 위해 당분간 운영하지 않는다.
전통주 제조업체 배상면주가가 운영하는 전통술박물관 산사원도 있다. 박물관 1층에서 전통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은 뒤 지하로 내려가면 전통주 시음장과 판매장이 있다. 시중에서 보기 힘든 술도 판매한다. 입장료 3000원은 막걸리 한 병과 바꿔준다. 마당 한쪽을 가득 채운 커다란 옹기 400여 개에서 전통 증류주가 익어가는 풍경이 이채롭다.
〈당일 여행 코스〉 한탄강주상절리길 3코스 벼룻길(비둘기낭폭포-포천한탄강하늘다리-멍우리협곡전망대-부소천교)→산정호수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한탄강주상절리길 3코스 벼룻길(비둘기낭폭포-포천한탄강하늘다리-멍우리협곡전망대-부소천교)→산정호수
둘째 날 / 전통술박물관 산사원→포천아트밸리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포천으로떠나는여행(포천시 문화관광) - 한탄강지질공원 - 산정호수 - 포천아트밸리 - 전통술박물관 산사원
○ 문의 전화 - 포천시한탄강사업소 031)538-3124 - 한탄강지질공원 031)538-2312 - 포천아트밸리 1668-1035 - 전통술박물관 산사원 031)531-9300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포천,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28회(06:30~20:20) 운행, 1시간 10분~1시간 40분 소요. 포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신읍7통·기업은행앞 정류장까지 도보 이동, 53번 일반버스 이용,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비둘기낭 정류장 하차. * 문의 :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포천시외버스터미널 1666-5068
○ 자가운전 정보 세종포천고속도로 신북IC2교→국도37호선 연천·전곡 방면→국도37호선 주원리·관인 방면→창동로 관인 방면→방골길 대회산리·운천 방면→지방도78호선→비둘기낭폭포 무료주차장
○ 숙박 정보 - 한화리조트 산정호수 안시 : 영북면 산정호수로, 031)534-5500 - 비둘기낭황토펜션 : 영북면 방골길, 031)536-7195 - 별빛하늘펜션 : 영북면 산정호수로, 031)533-2604
○ 식당 정보 - 이모네식당 : 우렁쌈밥·우렁된장찌개, 영북면 산정호수로411번길, 0507-1404-6173 - 산비탈손두부 : 두부버섯전골·순두부정식, 영북면 산정호수로, 031)534-3992 - 솟대 : 한우등심·이동갈비·생갈비, 영북면 산정호수로, 031)533-5596
○ 주변 볼거리 평강랜드, 허브아일랜드, 아프리카예술박물관, 국립수목원
※ 위 정보는 2020년 12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탐방코스: [자일2리 버스 정류장~(3.7km)~화적연~(6.2km)~멍우리협곡~(3.3km)~비둘기낭 폭포~(1.4km)~가람누리문화공원~(1.0km)~비둘기낭 편의점~(110m)~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비둘기낭 버스 정류장] (15.7km)
탐방일 : 2024년06월01일(토요일)
탐방코스 및 탐방 구간별 탐방 소요시간 (총 탐방시간 5시간20분 소요)
09:00~09:53 경기 포천시 영북면 자일2리에 있는 자일2리 버스 정류장에서 탐방출발하여 경기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에 있는 화적연(禾積淵)까지 도보로 이동
[포천 화적연(抱川 禾積淵)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상류에 위치한 연못과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명승지. 2013년 1월 4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산 115-0 (경기 포천시 영북면 북원로248번길 31-23)
크기 : 744,559㎡
2013년 1월 4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영평8경 중 한 곳으로 연못 위로 높이가 13m에 달하는 화강암괴가 솟아 있는데 그 모양이 연못 한가운데 볏 짚단을 쌓아 올린 듯 한 형상이어서 "화적연(禾積淵)"이라 불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짙은 색의 현무암 절벽과 밝은 색의 암주, 짙푸른 빛의 물이 서로 어우러져 한탄강변의 지형 경관 중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대보화강암(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을 뒤덮은 현무암층, 현무암 주상절리, 화강암 암반, 상류에서 공급된 풍부한 모래와 자갈 등 다양한 지형 요소들을 동시에 관찰 할 수 있어 지형적 가치가 높다. 예로부터 화적연은 기우제 터로 알려져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이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전해 지고 있으며, 많은 '고시문(古詩文)'(박세당, 박순, 홍양호, 이항로, 이병연 등)과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정선, 이윤영, 정수영 등)가 전해져 역사·문화적인 가치 또한 크다.]
09:53~10:10 한탄강 제3경인 화적연(禾積淵)을 사진촬영 후 휴식
[포천시는 한탄강 일대에 형성된 현무암 협곡 가운데 빼어난 경치를 가진 8곳을 꼽아 한탄강 8경을 선정했다. 상류에서 하류쪽으로 내려가면서 펼쳐지는 제1경은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제2경은 샘소, 제3경은 화적연, 제4경은 멍우리 협곡, 제5경은 교동 가마소, 제6경은 비둘기낭 폭포, 제7경은 구라이골, 제8경은 아우라지 베개용암이다.]
10:10~11:45 한탄강 제4경인 멍우리협곡으로 이동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抱川 漢灘江 멍우리 峽谷)은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에 위치한 자연명승이다. 2013년 2월 6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94호로 지정되었다. 멍우리 협곡은 한탄강변을 따라 주상절리가 발달되어 있어, 뛰어난 경관을 볼 수 있다.
멍우리 협곡의 높이는 20~30m 내외이며 길이는 약 4km이다. 멍우리 협곡에는 주상절리 침식과 박리로 인한 소형 하식동굴이 30여기 정도 형성되어 있다.]
11:45~12:00 한탄강 제4경인 멍우리협곡을 사진촬영 후 간식
12:00~12:45 경기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 377(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비둘기낭길 207) 번지에 있는 포천 한탄강하늘다리로 이동
[한탄강 협곡으로 단절된 생태경관단지(2019.12. 준공)와 테마파크 (2019.12. 준공) 등을 연결하는 이색적인 형태의 보도교로 길이 200m로 성인(80㎏) 1,500명이 동시에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한탄강 협곡을 지상 50m 조망할 수 있다. 한탄강 하늘다리와 연계하여 한탄강의 주상절리 및 비경을 구경 할 수 있는 주요 산책 코스로 하늘다리에서 시작하여 북쪽 방향으로 멍우리 협곡을 따라 하늘다리로 돌아오는 6km 구간은 한탄강을 바라보며 걷다가 한탄강 아래로 내려가 징검다리를 건널 수 있으며 특히 강 아래에서 협곡 등 비경을 감상할 수 있는 최적의 코스로 조성되어 있어 남녀노소 부담없이 걷기에 최적의 코스로 형성되어 있다.]
12:45~12:55 사진촬영
12:55~13:10 경기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 415-2 번지에 있는 비둘기낭 폭포로 이동
[한탄강 제6경인 비둘기낭폭포는 약 27만년전 용암 유출에 의해 형성된 현무암 주상절리 협곡에서 형성된 폭포이다. 폭포의 주변에 하식동과 주상절리, 판상절리가 존재해 철원군, 연천군 지역의 지형, 지질학적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폭포의 명칭은 폭포 뒤 동굴에서 "수백 마리의 백비둘기가 둥지를 틀고 서식하였다" 하여 둥지의 한자어인 "낭"을 붙여서 비둘기낭 폭포라 불리운다. 20년 전까지만 해도 박쥐들의 서식지였으나 현재는 없어졌다. 한탄강 댐이 건설이 되면 물의 수위가 높아져 비둘기낭 폭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2012년 9월 26일에 문화재청에서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를 천연기념물 제537호로 지정했다.
위치가 기묘하고 아름다워 추노와 선덕여왕, 무사 백동수 같은 사극에서 촬영장소로 등장하였다.
78번 지방도로 접근 가능하다. 포천시청 앞이나 운천터미널에서 10번 시내버스, 53번 시내버스, 91번 시내버스를 타면 된다. 아니면 운천터미널에서 택시를 타고 들어가면 된다.]
[제6경 비둘기낭폭포는 해발 86m, 높이 16.7m 현무암 침식으로 이뤄졌으며, 이곳에서 흘러내린 폭포수는 한탄강으로 합류한다. 비둘기낭이란 이름은 주변 지형이 움푹 들어간 주머니 모양과 닮았고, 양비둘기 수백 마리가 폭포 주변 동굴에 살았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지금은 천연기념물 제537호로 지정·보호되고 있으며 최종병기 활, 추노, 기황후, 선덕여왕, 대호 등 영화 및 드라마의 촬영장소로도 유명하다.]
13:10~13:30 한탄강 제6경인 비둘기낭폭포를 사진촬영 후 휴식
13:30~13:45 경기 포천시 영북면 비둘기낭1길 76 번지에 있는 가람누리문화공원으로 이동
[높이 12m의 ‘한탄강 가람누리 전망대’에 오르면 주상절리 수직 적벽과 협곡을 따라 굽이쳐 흐르는 한탄강 등 천혜의 지질 자원을 감상할 수 있다. 가람누리 사업부지 안에는 강 위 50m 높이에 설치된 출렁다리인 ‘한탄강 하늘다리’도 있어 연간 30만 명의 관광객을 불러모으고 있다.]
13:45~14:05 가람누리문화공원에 있는 전망대를 탐방
14:05~14:20 경기 포천시 영북면 비둘기낭길 110 번지에 있는 비둘기낭편의점으로 이동하여 탐방 완료
14:20~14:50 비둘기낭편의점에서 간식
14:50~14:52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비둘기낭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 [113m]
14:52~15:30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 있는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비둘기낭 버스 정류장에서 소요산역 정류장으로 가는 91번 버스 승차 대기
15:30~16:29 91번 버스를 타고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비둘기낭 버스 정류장에서 소요산역 정류장으로 이동 [59분, 45개 정류장 이동]
16:29~16:33 소요산역 1번 출구까지 도보로 이동 [4분, 196m 이동]
16:33~17:00 소요산역에서 종로3가역으로 가는 1호선 전철 승차 대기
17:00~18:47 소요산역에서 1호선 전철을 타고 종로3가역으로 가서 6호선으로 환승하여 연신내역으로 이동 [1시간47분 소요]
포천 한탄강주상절리길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