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GNP, GNI, 경제성장률, 국제수지, 경상수지, 배수지
1. 기초 용어 정리
1) 지수 vs 지표
지수: 기준이 되는 시점의 수치와 비교하여 산출한
값
지표: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는 통계적인 수치
ex. GDP(국내총생산)
2) 명목 vs 실질
명목: 물가상승률을 포함
실질: 물가상승률을 제외
* 경제성장률도 명목보다는 실질 (경제가 실제로, 실질적으로 얼마나 성장했는지 파악)
임금이 200에서 210으로 올랐을 때 무조건 기뻐하는 바보가 되지 말자.물가 상승도 고려.
2. 경제 성장은 어떤 경제지표로 나타낼 수 있는가?
1) GDP (Domestic - 영토)
국내총생산. 한 나라의 '영토 안'에서 생산한
*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에 나가서 생산한 것은 GDP에 불포함, 외국인이 국내에 공장을 설립하여 발생한 매출은 GDP에 포함
2) GNP (National - 국민)
국민총생산.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 국민이 기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돈도 포함
ex) 손흥민이 토트넘에서 받는 돈
3) 경제규모를 파악할 때는 GDP 가 중요한 지표
우리나라 영토 안에서 활동하는 해외기업까지 포괄하기 때문
4) GNI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 '그 나라의 국민'의 소득만. 외국인x
* 1인당 GNI: 그 나라 국민들의 생활수준 파악 가능
3. 미쓰에이 수지 (수지 = 수입과 지출)
1) 국제수지
한국과 외국 사이의 수입과 지출.
수입 > 지출: 흑자, 지출 > 수입: 적자
2) 경상수지(4가지)
일반적,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출입의 차이
- 상품수지: 한국은 수출중심 국가이므로
상품수지 "흑자" (수입 > 지출)
* 경상수지 중 가장 큰 비중 차지
- 서비스수지: 한국은 해외여행과 해외유학 多
서비스수지 "적자" (지출 > 수입 )
- 본원소득수지: 노동소득, 금융소득
ex)손흥민이 토트넘 월급으로 투자해서 500억,
알베르토가 어서와 월급으로 투자해서 10억
둘의 차액이 본원소득수지 (손흥민 화이팅)
- 이전소득수지: 무상원조, 기부금, 기부물자.
선진국 "적자", 후진국 "흑자"
3) 자본금융계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이동 없이 국가 간에 오고간
자본의 차이
- 자본수지: 자본의 이동
ex. 미국으로 이민 가는 것. 원화 → 달러로 환전
- 금융계정: 투자와 대출로 국가 간에 오고간
돈의 차이
4) 한국과 미국의 경상수지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 (수출중심 국가라서)
미국은 경상수지 "적자" (세계의 왕이니까.
미국이 달러를 풀어줘야 세계 경제가 잘 굴러가서)
국제수지의 균형을 위해 우리나라는 금융계정에서
적자를 만들어줌 how(달러 순환): 경상수지 흑자를
통해 벌어들인 달러를 미국의 국채나 주식 등에 투자.
경상수지 흑자로 너무 많은 달러가 우리나라
시중에 돌아도 환율 하락 → 수출 감소.
결국 뭐든지 과유 불급.
모든 수지에서 흑자를 내면 그만큼 부작용도 있다 적당히 흑/적자의 균형을 맞추며 결국에는 달러를 잘 순환시켜야 세계 경제가 잘 돌아가는 것!
신문 읽을 때 끄덕일 일이 더 많아질 것 같아 신난다
[출처] GDP, GNP, GNI, 경제성장률, 국제수지, 경상수지, 배수지|작성자 쿠키
첫댓글 지금 이 순간이 우리의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간이며 이시간이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시간이라
생각합니다. 이 세상의 모든 역경과 고통에 맞설 수 있는 신선한 에너지들로 꽉차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에 감사하며 즐겁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지요. 다음에 오지 않을 오늘 이 순간을
위하여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삶을 살아야 됩니다. 좋은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