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pubmed.ncbi.nlm.nih.gov/40935159/
https://www.thieme-connect.com/products/ejournals/pdf/10.1055/a-2699-8163.pdf
Thorac Cardiovasc Surg 2025 Sep 11.
doi: 10.1055/a-2699-8163. Online ahead of print.
Unilateral versus Bilateral T3 Ganglionectomy in Primary Palmar Hyperhidrosis Patients
원발성 수부 다한증 환자에서 일측 T3 신경절 절제술과 양측 T3 신경절 절제술 비교
Beatrice Chia-Hui Shih 1 , Duk Hwam Moon 2 , Sungsoo Lee 3
Abstract 초록
Background: Primary palmar hyperhidrosis (PPH) is a distressing condition that significantly impairs quality of life. End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ETS) is an effective treatment, but compensatory hyperhidrosis (CH) remains a common and problematic complication. The optimal extent of surgical interruption, particularly the choice between unilateral and bilateral ganglionectomy, remains uncertain.
배경: 원발성 수부 다한증(PPH)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고통스러운 질환입니다. 내시경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ETS)은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보상성 다한증(CH)은 여전히 흔하고 문제가 되는 합병증입니다. 수술 중단의 최적 범위, 특히 편측 또는 양측 신경절 절제술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18 patients who underwent unilateral (n=41) or bilateral (n=77) T3 ganglionectomy vi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between November 2023 and January 2025. Patient-reported outcomes, including CH and postoperative satisfaction, were assessed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Comparis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performed using t-tests and chi-square tests.
방법: 2023년 11월부터 2025년 1월까지 비디오 보조 흉강경 수술(VATS)을 통해 편측(n=41) 또는 양측(n=77) T3 신경절 절제술을 받은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했습니다. CH 및 수술 후 만족도를 포함한 환자 보고 결과는 수술 후 3개월째에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두 군 간의 비교는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수행했습니다.
Results: Baseline demographics were comparable between groups. The unilater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93% "very satisfied" compared to 61% in the bilateral group (p<0.001). CH was less prevalent in the unilateral group (20% vs. 48%, p=0.007), and when present, was generally mild and limited to a single body region. In contrast, bilateral ganglionectomy was associated with more frequent and multi-regional CH. Among unilateral ETS patients, only 22% later underwent contralateral surgery, indicating that unilateral intervention was sufficient in most cases.
결과: 기준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두 군 간에 유사했습니다. 편측 군은 93%가 "매우 만족"으로, 양측 군의 61%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고했습니다(p<0.001). CH(보상성다한증)는 단측군에서 덜 흔했으며(20% 대 48%, p=0.007), 발생하더라도 일반적으로 경미하고 단일 신체 부위에 국한되었습니다. 반면, 양측 신경절절제술은 더 빈번하고 다부위 CH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단측 ETS 환자 중 22%만이 이후 반대측 수술을 받았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 단측 중재술로 충분함을 시사합니다.
Conclusions: Unilateral T3 ganglionectomy offers a favorable balance of efficacy and safety, yielding higher satisfaction and significantly reduced CH compared to bilateral procedures. Thes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unilateral ETS as a first-line surgical strategy for PPH, particularly in patients sensitive to CH. A tailored, staged approach may enhance long-term outcomes and patient satisfaction.
결론: 단측 T3 신경절절제술은 효능과 안전성의 균형이 양호하여 양측 시술에 비해 만족도가 높고 CH 발생을 유의하게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CH에 민감한 환자에서 선천성 손바닥 다한증(PPH) 환자의 1차 수술 전략으로 단측 ETS를 사용할 것을 뒷받침합니다. 맞춤형 단계적 접근법은 장기적인 결과와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첫댓글 세란통 스크랩강스남새브란스 흉부외과 이성수 교수팀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