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alseman입니다.
수많은 스포일러가 즐거움을 주고 있는 와중에 최근 카페에 완성덱 게시판이 하나 생겼는데,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 게시판에 관련된 의견 차이가 있었던 것을 계기로 좀 찾아본 정보를 적어 봅니다.
내용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누가 매직 프로인가?'
이 질문에 대해서는 꽤나 많은 의견/시각 차이가 있습니다. 몇몇 예시를 들어보면
A : 매직만 해서 먹고 살 수준이 되어야 매직 프로 아닌가요?
B : 매직으로 상금을 따 본 적이 있으면 매직 프로죠. 프로의 기준은 돈이죠.
C : Pro Point가 있으면 프로입니다. 증거도 있어요.(*뒤쪽 내용 참조)
D : 그냥 좀 프로급(?)으로 열심히 하면 프로 칭호 붙여도 되지 않나요?
등등.. 사람마다 의견 차이가 꽤 있습니다. 용어 자체에 꽤나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기도 하고,
매직 더 개더링을 바라보는 시각 차도 사람마다 상당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A 나 D 의 의견은 다른 직업의 프로- 에 대한 인식에 따른 의견입니다. 맞을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죠.
B 와 C 는 조금 뒤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서는 '위저드 홈페이지에 써있는 내용 기준'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받아들이고 말고는 개인의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Pro Player Club Guide
http://magic.wizards.com/en/content/pro-players-club
일단 가장 객관적인 내용입니다. 프로 플레이어 클럽에 관한 설명이 있습니다.
위저드에서는 현재 저 내용에 들어가있는 '실버 레벨 이상' 의 사람들을 매직 프로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전 시즌에 실버 이상의 자격을 얻은 사람 + 현 시즌에 프로포인트 20점 이상을 얻은 사람) 들만
위저드에서 인정하는 프로 플레이어 인 겁니다. 전 시즌에 자격이 없고, 현 시즌에 프로포인트가 20점 미만인
사람은 '지금 기준' 으로는 공식적인 프로 플레이어라고 하기 힘듭니다. (옛날에 프로였던 사람- 은 많습니다.)
(현역 프로플레이어 명단)
http://magic.wizards.com/en/protour/playersclub/standings
한국인 중에서는 Nam Sung Wook (Platinum) 님과 Park Jun Young (Silver) 님이 있습니다.
프로포인트를 얻는 방법은 현재에는 아래 문서에 있는 Appendix B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Magic the Gathering Premier Event Invitation Policy
http://wpn.wizards.com/sites/wpn/files/attachements/mtg_peip-14_15feb6_en.pdf
이렇게 명확한 기준이 다 있는데 왜 B, C 같은 의견이 나왔느냐?
그건 예전에는 기준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일단 글 제목에 어울리게 PWP 홈페이지를 한번 가 봅시다.
그리고 자기 아이디로 로그인한 뒤 아래 사진처럼 순위표-프로-통산-한국 을 들어가 봅니다.
그러면 '역대 한국에서 프로포인트를 땄던 사람들의 명단' 이 쭉 나옵니다. (고대 매직인들이 많은...)
http://www.wizards.com/Magic/PlaneswalkerPoints/Leaderboard/Professional#season=alltime,region=AP,nationality=KR,residencecountry=all,residencestate=allstates,page=1

B 의 이야기가 나왔던 이유는, GP 에서 프로 포인트를 주는 기준이 예전에는 '상금을 땄다 = 1점 이상' 이었습니다.
그래서 이 명단에서 1점이라도 있으면 프로포인트가 있다 = 상금을 땄다 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아님)
C 의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200x년~2011년에 프로포인트를 땄던 사람에게는 이런 메일이 갔었습니다.

1점만 따도 레벨 1로 프로 취급을 해 줬던 거죠. (무늬만 프로지만 그래도 프로)

물론 시즌 내에 프로점수를 얻지 못하면 다시 아마추어가 됩니다.
그런데 위 명단에는 '어? 나 지피 간적 없는데 1점 있는데?' '어 난 0점인데 이건 뭔가요?' '전 이름 없는데요...'
같은 의문이 많았습니다. 관련해서 한참 검색을 하느라 이 글을 쓰는 데 좀 시간이 걸렸습니다.
답은 '2008년~2011년 내셔널 챔피언십' 에 참가한 사람들은 최소 0점 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Top 16 에 들었던 사람은 1점 이상을 받았죠. (1등 10점 2등 8점 ... )
지금 보면 상당히 놀라운데 내셔널 우승자에게 GP 우승보다 많은 프로포인트를 줬었습니다.
반면에 2007년 이전에 내셔널 상위권에 드셨던 분들은 월드나 해외에 나가지 않았으면 프로포인트가 딱히 없습니다.
여튼 그래서 프로포인트가 있으면 프로 플레이어 클럽이니까 프로다- 같은 이야기가 나왔던 겁니다.
(LOL로 표현해보면 랭겜을 해본 언랭크드~브론즈 프로?)
즉 '옛날에는 그랬는데 지금은 아니다' 가 결론입니다.
(검색해보니 관련 내용으론 옛날 Cynic Kim 님의 글이 있더군요. 전 이시절에 군복무중이라 몰랐네요...)
http://cafe.daum.net/magin/JUX/24713
여튼 그래서 최근 시즌의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 있는 사람들(또는 갑자기 GP 대박내시고 피티가시는 분) 중에서 8월 마감일 전까지 20점 이상을 따는 사람이
다음 시즌의 한국 매직 프로가 됩니다.
사실상 확정은 남성욱님 뿐이고, 나머지 사람들은 프로 점수를 잘 따야 위저드가 공인하는 프로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망했지만 ㅠㅠ PT 에서 흥해서 한국에서 또 여려명의 프로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덤으로 자료 찾으면서 알게 된 좋은 공식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http://magic.wizards.com/en/events/coverage/statistics
현재 POY , 루키 순위표와, 역대 POY, GP, PT , 상금 관련 정보가 쫙 나와있는 사이트입니다.
매직 프로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이미 아실 듯 하지만) 재미있는 정보가 엄청 많습니다.
연도별로 GP/PT 8강에 누구누구 갔나 보는 재미도 있고...
개인적으로 재미있었던건 상금 랭킹이네요. 넘을 수 없는 전설이었던 카이 부데, 존 핑켈 이 나란히 상위권인건
여전하지만 슈헤이가 세월이 지나면서 상당히 많이 따라왔더군요. GP/PT 몇번 더 하다보면 기록 갱신이 조만간
될 듯 한 기분입니다. 요즘엔 좀 성적이 부진한 듯 한 PV 가 상금랭킹이 엄청 높은거 보고 확실히 예전에
이뤄둔 게 많긴 하구나 싶기도 하고..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사실 완성덱 및 컬럼 게시판에 자기가 만든 덱을 올려도 되느냐 아니냐 논쟁이었는데,
결론은 모 프로님들 빼고는 안되는걸로(...)
프로 플레이어에 관심있는 분들께 참고가 되었기를 바라며 이만 마칩니다.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좋은글이네요.
뭬얏
앗 나 GP에서 상금타서 1점있는데 ㅠ 프로가 아니구나...하긴 이미 옛날...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