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LTH clearly parts company with health if it makes you nervier, boozier or fatter. But finding data to prove the links is tricky. A new paper* for America’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by Tinna Laufey Asgeirsdottir of the University of Iceland and her colleagues has given some unusually precise answers.
돈 때문에 안절부절하고 술에 빠지고 살찌게 된다면, 돈과 건강은 분리 된다. 그러나 이런 관련성을 입증하기 위해 자료를 찾는 것은 복잡하다. 아이슬랜드 대학의 Tinna Laufey Asgeirsdottir와 그녀의 동료가 미국의 경제 (학술)연구부에 발표한 새로운 논문이 좀 이례적인 명확한 대답을 하고 있다.
Until autumn 2008 Iceland’s economy was happily frothing with borrowed money. Bank deposits were 14 times larger than the country’s GDP. In the space of a few weeks it collapsed. Iceland defaulted and nationalised its banks; the currency plunged by 36%. Businesses collapsed and many households lost their savings. GDP fell from peak to trough by 15%. Incomes plunged and anxiety levels soared.
2008년 가을까지 아이슬랜드 경제는 운좋게 빚으로 거품이 일고 있었다. 은행 저축액은 아이슬랜드 GDP보다 14배 더 컸지만, 몇 주만에 무너졌다. 아이슬랜드는 자국의 은행들을 디폴트(지불실패) 시키고 국유화 하였으며, 통화는 36%로 곤두박질 쳤다. 기업체들이 무너지고 많은 가계들은 예금손실을 입었다. GDP는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15% 떨어졌다. 수입이 심하게 줄었고 불안수치는 치솟았다
That was sad for Icelanders but nice for economists. It gave a useful and rare example of the effects of a big, sharp and general economic shock. What the authors term their “clean and well-stocked laboratory” also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lifestyle of a representative sample of 9,807 Icelanders, surveyed in 2007 and again in 2009.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media.economist.com%2Fsites%2Fdefault%2Ffiles%2Fimagecache%2F290-width%2Fimages%2Fprint-edition%2F20120728_IRC706.png)
이런일이 아이슬랜드 사람들에겐 슬픈일이었지만, 경제학자들에겐 좋은일이었다. 이는 크고 모질고 다병면에 걸친 경제충격 효과에 유용하고 드문 사례를 보여주었다. 이 논문 저자들이 그들의 "깨끗하고 잘 구비된 실험실" 이라고 부르는 것도 9,807명의 아이슬랜드 사람들의 대표적인 사례의 건강과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시켰으며, 2007년에 조사하고 다시 2009년에 조사했다.
The study measured 11 forms of behaviour, including the use of alcohol, tobacco, indoor tanning, sugary drinks and snacks; and (on the positive side) sleep, exercise and fresh food. One finding (see chart) is that all unhealthy forms of behaviour fell, especially among those of working age. That may reflect falling income levels (alcohol is notoriously pricey in Iceland). People ate less confectionery and fast food (though that also may reflect what the authors call “extreme supply-side changes”, as McDonald’s closed its Icelandic branches). But their diets worsened overall (Iceland produces little fresh food, and import!!s became costly).
이 연구는 술을 포함하여 담배, 실내 일광욕, 달콤한 음료와 스낵, 긍정적인 행동으로는 수면, 운동, 신선한 음식등 11개 형태의 행동을 조사했다. 차트에서 볼 수 있는 한가지는 특히 노동 연령대에서 모든 건강하지 못한 행동들이 줄었다는 것이다. 이는 수입이 줄엇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잇다.(아이슬랜드에서 술은 비싸기로 유명하다.) 사람들은 과자류와 패스트 푸드를 덜 먹었다.(이는 맥도널드 아이슬랜드 지사들이 문닫은 것을 보면, 논문 저자들이 "극도의 공급측면을 중시하는 변화" 라고 말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의 식단은 전반적으로 악화되었다.(아이슬랜드는 신선한 먹거리를 거의 생산하지 못하고 수입은 비용이 많이 든다.)
On the plus side, the incidence of marriage rose. (Ms Asgeirsdottir herself wed her long-term partner: for love, she stresses.) Icelanders worked fewer hours. Their worries did not keep them awake—time spent asleep increased, particularly for men. That may reflect the opportunity cost: in a boom skimping on sleep may mean you can earn more (though, like many things that seem a good idea at the time, the true costs may show up later). Now economists are licking their lips at the feast of new data that will doubtless emerge from woes elsewhere in Europe.
또한 결혼이 증가했다. Asgeirsdottir여사 자신이 오래 사귄 파트너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사랑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슬랜드 사람들의 노동 시간은 적다. 걱정때문에 아이슬랜드 사람들이 자지 못한 것이 아니었고, 특히 남성들에겐 잠으로 소비된 시간이 증가했다. 이는 기회비용을 나타낼 수 있다. 경제가 좋을땐 잠을 절약하는 것이 돈을 더 버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당시에는 좋은 생각으로 보이는 많은 것들처럼, 설사 실제비용은 나중에 나타날지라도) 지금 경제학자들은 유럽 도처에 널려있는 재난에서 발생하게 될 새로운 보고서들의 잔치에 입맛을 다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