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질 람(濫)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 목(目)자의 변형인 신하 신(臣)자에 ‘𠂉’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를 했습니다. 쪽 람(藍), 누더기 람(襤), 잡을 람(擥)자들은 볼 감(監)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남기(濫騎) 남독(濫讀) 남기(濫記) 남승(濫乘) 남위(濫僞) 남수(濫收) 남벌(濫伐) 남상(濫賞)
볼 람(覧,覽)자는 의부(義符)로 볼 견(見)자에 성부(聲符)로 볼 감(監)자를 했습니다. 볼 감(監)자는 눈을 뜻하는 신하 신(臣)자 옆에 손을 표시한 또 우(又)자를 하고 그릇 명(皿)자는 했습니다. 제사상을 살피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또는 세수 대야에 물을 담아 놓고 세수하려다가 물에 비친 얼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분히 나르시스(自己愛)적인 글자입니다. 퍼질 람(濫), 쪽 람(藍), 누더기 람(襤), 바구니 람(籃), 잡을 람(擥), 그르칠 람(㜮)자들은 닻줄 람(䌫,纜)자가 들어 있어서 ‘람’으로 읽습니다. 남승(覽勝) 남고(覽古) 남침(覽寢) 남필(覽畢) 일람(一覽) 남서(覽書) 열람(閱覽) 회람(回覽)
꺾을 납(拉)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설 립(立)자를 했습니다. 설 립(立)자는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나무 꺾을 납(柆), 날 납(翋)자는 설 립(立)자가 들어 있어서 ‘납’으로 읽습니다. 납정(拉丁) 납치(拉致) 납답(拉踏) 납후(拉朽) 피랍(被拉) 납배(拉杯) 납북(拉北) 추랍(推拉)
복도 랑(廊)자는 의부(義符)로 집 엄(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사나이 랑(郞)자를 했습니다. 사나이 랑(郞)자는 좋을 량(良)자에 읍 우(邑,⻏)자를 했습니다. 읍 우(邑,⻏)자는 사람이 많이 모여 사는 읍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읍에 좋은 사람(良)이 많이 모여 산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회랑(回廊) 사랑(舍廊) 낭하(廊下) 낭대(廊臺) 낭방(廊坊) 낭장(廊墻) 낭자(廊子)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