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Freedonia Focus Reports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미국의 전체 소비자 정수장치 수요는 11억 달러임. - 미국의 정수장치는 크게 두 종류로, POU(point-of-use)와 Whole-House POE(point-of-entry) 시스템으로 구분돼 있으며, 그 중 POU 시스템 수요는 2012년 기준으로 7억2000만 달러, Whole-House POE 시스템 수요는 4억2000만 달러를 차지함. 미국 소비자 정수장치 수요동향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미국 소비자 정수장치 제품별 수요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 시장 전망 ○ 시장 전망 - Freedonia Focus Reports에 따르면, 2017년까지 매년 6.7% 성장률로 16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그 중, POU 제품은 2017년까지 5.3% 성장률로 9억3000만 달러, Whole-House POE 시스템 수요는 2017년까지 9.1% 성장률로 6억5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수요 증대 예상요인 - 경기회복, 환경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강한 인식 등이 수요증대 요인으로 파악됨. ○ 무역관 전망 - 환경제품 수요는 매년 오르고 있으며 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강해지고 있음. - 특히 수질이 좋지 않은 미국 서부지역 주민은 수질관리에 대한 인식이 있어 정수장치 수요는 지속적으로 상승될 것으로 전망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패턴 ○ 주요 소비자계층 - 주요 소비자 계층은 20대에서 60대의 여성주부가 소비자군에 속함. - 아파트 및 주택에 거주하는 소비자는 주방조리대 설치용 제품 또는 정수기 냉장고 제품을 선호함. - 피쳐형 정수기 제품은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음. ○ 소비자 구매 동기 - 주방 조리대 설치용, 정수기 냉장고, 피쳐형 제품은 정수필터만 정기적으로 교체해 사용하는 제품으로 소비자가 이용하기 편리함. □ 수입동향 ○ 개관 - 미국 정수기(HS Code 8421.21) 제품군의 2013년 수입액은 9억7668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0.38% 감소함. - 2013년 기준 한국은 전년대비 8.76% 상승, 3497만 달러를 기록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5개국의 수입 동향(한국수입통계 포함) 미국의 정수기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8421.21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총계 | 925.8 | 980.4 | 976.7 | 100 | 100 | 100 | -0.38 | 1 | 캐나다 | 276.6 | 275.7 | 263.5 | 29.9 | 28.1 | 27.0 | -4.41 | 2 | 중국 | 202.5 | 230.3 | 247.8 | 21.9 | 23.5 | 25.4 | 7.6 | 3 | 멕시코 | 111.3 | 115.5 | 101.7 | 12.0 | 11.8 | 10.4 | -12.02 | 4 | 독일 | 44.6 | 47.3 | 44.9 | 4.8 | 4.8 | 4.6 | -5.00 | 5 | 일본 | 48.4 | 50.3 | 43.0 | 5.2 | 5.1 | 4.4 | -14.44 | 6 | 대만 | 39.4 | 44.5 | 36.4 | 4.3 | 4.5 | 3.7 | -18.18 | 7 | 한국 | 28.7 | 32.2 | 35.0 | 3.1 | 3.3 | 3.6 | 8.76 | 8 | 프랑스 | 35.5 | 32.5 | 34.8 | 3.8 | 3.3 | 3.6 | 6.98 | 9 | 헝가리 | 4.7 | 7.7 | 22.3 | 0.5 | 0.8 | 2.3 | 187.72 | 10 | 이탈리아 | 21.5 | 19.5 | 21.5 | 2.3 | 2.0 | 2.2 | 10.12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 내용 - 소비자 정수 장치에 대한 인증 또는 규제내용은 없으나, 제품 인증을 받음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음. 미국 정수장치 인증으로는 NSF 인증이 있으며, 음용수 관련기기 및 건강식품 등을 인증하고 있음. NSF 인증은 NSF International에서 승인한 제 3자 기관에서 제품 테스팅을 받은 후 발급받을 수 있음. □ 관세율 ○ 조세율: 관세율(0%), 물품세(0~10% 수준) - 물품세(Sales Tax)는 판매세라고도 불리는데 Montana, Oregon 등 일부 주는 0%지만 일반적으로 6~10% 수준(캘리포니아 8~10%, 뉴욕 7~8.875% 등) ○ 통관시 유의사항 - FTA 협정에서 정한 원산지 기준 충족을 보여주는 원산지증명이 필요함. □ 주요 유통채널 ○ 소비자 정수장치 제품은 Walmart, Target, Home Depot, Lowe's 등의 소매업체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온라인시장을 통해서도 제품을 구입할 수 있음. 3. 경쟁동향 □ 미국 정수기 시장 특징 ○ 미국의 정수기 시장은 크게 두 종류로, POU(point-of-use)와 Whole-House POE(point-of-entry) 시스템으로 구분돼 있음. ○ POU 시스템은 한 곳에만 정수시스템을 설치해 설치한 곳에서만 정수된 물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며, 싱크대 하단(Under-the-Sink), 주방 조리대(Countertop), 수도꼭지(Faucet-Mounted), 통과액(Flow-Through), 피쳐(Pitcher), 그 밖의(Other Types) 부착형 제품 등이 포함됨. ○ Whole-House POE 시스템은 가정 전체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를 하는 시스템으로, 가정 내 어느 지점에서 물을 사용해도 여과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질중화제(Water Conditioners), 진입점 정수(Point-of-Entry Water Purification) 제품 등이 포함됨. □ 경쟁제품 ○ 미국 주요 소비자 정수장치 생산업체로는 General Electric,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Brita(The Clorox Company)가 전체 시장 판매량의 26%를 차지함. ○ GE사의 매출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1474억 달러이며, POE 및 POU용 정수기, 연수기, 필터 카트리지, 필터 하우징, 교체용 필터, 피쳐형 정수기 등을 생산하며 판매하고 있음. ○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의 매출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7억 달러이며, 미국 전체 소비자 정수장치시장의 9%를 차지함. 약 90개 국에 800개 매장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며, 생산하는 POE 제품으로는 Gold, Medalist, Total Home, Iron-Cleer, Sulfur-Cleer이 있으며, POU 싱크대 하단 부착형 제품으로는 Aqua-Cleer, Culligan Preferred Series, AC-30 Good Water Machine 등이 있음. ○ The Clorox Company의 매출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55억 달러로 미국 전체 소비자 정수장치시장의 8%를 차지하며, 자회사 Brita를 통해 피쳐형 정수기 및 교체용 필터를 생산함. 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미국 달러) 업체명 | 브랜드명 | 가격 | 원산지 | 종류 | The Clorox Co. | Brita | 25.99 | 미국 | POU | | GE | GE | 27.50 | 미국 | Culligan Intl. Co. | Culligan Intl. Co | 26.57 | 미국 | Oasis Intl. | Oasis | 499.00 | 폴란드 | Clover | Clover | 455.27 | 한국 | The Clorox Co. | Brita | 6.99 | 미국 | GE | GE | 21.95 | 미국 | Culligan Intl. Co. | Culligan Intl. Co | 16.79 | 미국 | Watergroup Co. Inc. | Pura UV | 528.55 | 미국 | Whole-House POE | | Viqua | Sterilight Cobalt | 611.25 | 캐나다 |
자료원: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체 조사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으로는 코웨이, 이롬이 있으며, 한인사회 위주로 한국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는 좋은 상황임. -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 제품은 타 경쟁사 대비 높은 품질과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를 직접 찾아가는 방문서비스를 제공해 서부지역은 4개월에 한번씩, 수질이 좋은 동부지역은 8개월에 한번씩 정수기 필터교체 및 제품세척 서비스를 제공해 지속적인 고객관리를 하고 있음. - 또한, 정수기 대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소비자에게 고가의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부담감을 덜어주며, 구매하는 것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이용할 수 있음. ○ 선호브랜드 - 코웨이 제품은 주방조리대, 싱크대 하단, 냉온용 제품 등으로 제품 대여 가격은 18.99~36.99달러이며, 구입비용은 1199달러임. 코웨이, 이롬 가정용 정수기 자료원: 각 사 웹사이트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WEFTEC - The Water Quality Event | 전시회명(한국어) | 수질환경기술 박람회 | 전시품목 | 수질 관련 제품, 기술 및 서비스 | 개최국가/도시 | 미국/뉴올리언스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4년) | 2014년 9월 29일~10월 1일 | 웹사이트 | www.weftec.org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가격경쟁력 및 품질경쟁력을 중시하며, 긴 수명의 필터, 에너지 효율 및 기존제품보다 뛰어난 새로운 기능성을 선호함.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고품질 제품과 소비자에게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상품으로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마케팅을 해야 함. □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타깃 고객층: 타깃 고객층은 아파트 및 주택에 거주하는 20대에서 60대의 여성주부 ○ 마케팅 방안 - 시장조사기관 The Freedonia Group, Inc.에 의하면 현재 물 여과장치 연구개발은 지속적인 과정이며, 뛰어난 기능성, 긴 수명의 필터, 에너지 효율 및 복합적인 오염물질 감축기술에 초점을 둔다고 명시함. - 따라서 한국 기업은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제품 품질성, 효율성, 기능성이 잘 갖춰진 제품을 출시해 프리미엄 제품으로 미국시장에 접근해야 함. - 또한 가정용 뿐만 아니라, 상업용 고품질 제품을 출시해 병원, 학교 등 깨끗한 물이 필수적인 기관을 집중적으로 공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제목 | 미국 접착 테이프 시장동향 |
---|
작성일 | 2014-08-15 | 국가 | 미국 | 작성자 | 백은선(로스앤젤레스무역관) | 품목 | 롤상의 것(폭이 20센티미터 이하인 것에 한한다) |
---|
품목코드 | 391910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미국 접착 테이프 시장규모 - 산업정보 전문 조사기관인 Freedonia Group의 조사에 의하면 2013년 미국 내 접착 테이프 수요는 71억 ㎡에 달함. 접착 테이프 시장은 크게 포장용, 사무용, 일반 가정용으로 쓰이는 일반 테이프와 전자전기용, 의학용, 산업용 등과 같은 특수용도 테이프로 구분되며 전자가 전체 접착테이프 전체 수요에서 더 큰 규모를 차지함. - 미국 접착 테이프의 수요는 2007년도 이후 2009년도까지 미국 경기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했으며 이후부터 최근까지 서서히 그 수요량은 회복되고 있음. 미국 접착 테이프 수요 동향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최근 3년 간 미국 접착테이프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백만, %) 구분 | 2011 | 2012 | 2013 | | 규모 | 증가율 | 규모 | 증가율 | 규모 | 증가율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457.0 | 3.3 | 467.9 | 2.4 | 477.0 | 1.9 |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자료 기준 □ 시장 세부현황 ○ 미국 접착 테이프 시장 - 미국 접착 테이프 시장을 품목별로 구분하면 박스테이프(Carton Sealing)가 58.5%로 수요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마스킹 테이프(Masking) 8.5%, 양면 테이프(Double-sided) 5.7%, 전기·전자 테이프(Electrical & Electronic) 4.9%, 의학용 테이프(Medical) 4.9%로 조사됨. - 재질별로 구분하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58.3%로 접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주된 재질로 수요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종이(Paper) 14.3%, 폴리염화비닐(PVC) 5.6% 등의 순으로 나타남. 미국에서 용도 및 재질별 접착용 테이프 수요 비중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 시장 전망 ○ 접착용 테이프 수요의 꾸준한 증가 예상 - 미국 접착용 테이프의 수요는 2013년 이후 연평균 3.1%씩 성장해 2018년에는 83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현재까지는 박스테이프(Carton Sealing)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성장폭은 제품 카테고리 중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됨. - 접착용 테이프의 재질 중 종이(Paper)재질 제품의 수요는 평균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종이(Paper)를 재질로 한 접착용 테이프는 2018년까지 매년 5.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마스킹 테이프(Masking tape)의 판매 증가로 인해 종이(Paper)를 재질로 한 테이프의 수요가 증가 접착용 테이프 수요(2008, 2013, 2018년) (단위: US$ 백만, %)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 무역관 전망 - 경기 침체 시기가 지난 이후 점차적으로 접착 테이프 생산량이 회복되고, 인터넷 쇼핑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상거래의 발달이 접착 테이프의 수요를 꾸준히 증가시키고 있음. - 미국 환경 보호청(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EPA)에서 규제하는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배출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테이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국 내 유통이 불가능한 물질을 배제하고 가급적 친환경적인 원료의 제품을 제조하는 노력이 필요함. - 기존의 정형화된 테이프 이미지에서 탈피해 소비자의 사용에 더욱 편리하게 디자인된 테이프 개발을 시도하면 저렴한 중국산 제품과 잘 알려진 미국의 브랜드 제품 사이에서 포지셔닝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 □ 주요 소비자 및 구매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각종 테이프 전문 수입 및 유통업체 - 대형 및 개인 문구점 - 테이프 관련 취급 공장 및 기업 - 개인 소비자 ○ 소비자 구매동기 - 기존 접착 테이프와의 차별화(가격, 접착력, 친환경 제품 등) - 가정 및 산업용으로 필요 ○ 구매 연령 및 성별 - 과거 2010년에는 45~54세의 연령대가 25.3%로 구매비중이 제일 높았지만 2012년에는 18~34세 연령대의 청·장년층이 27.6%로 제일 높았음. - 보통 여성보다는 남성이 접착 테이프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으로 확인됨. 풀 및 접착 테이프 구매 연령 | 구매 성별 | (단위: %) | |
자료원: Home Channel News □ 수입동향 ○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수입품의 비중 - 2013년 기준 미국에서 사용되는 접착용 테이프 제품 중 고급형 접착 테이프 및 신기술 접목제품은 일본이나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등 선진국가 제품이 많이 수입됐으며, 저가형 제품으로는 중국산 제품의 수입량이 많았음. ○ 접착용 테이프의 최근 3년간 미국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 미국의 전체 접착용 테이프 수입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약 4억 달러 규모이고 이중 중국에서 수입되는 금액이 약 9600만 달러로 전체의 24%를 차지함. - 2011년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1000만 달러에 달했으나, 2013년에는 600만 달러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하락했고 수입시장 점유율도 1.4% 수준을 보임. 미국의 접착용 테이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919.10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전체 | 384.1 | 394.7 | 405.3 | 100.0 | 100.0 | 100.0 | 2.7 | 1 | 중국 | 68.0 | 87.6 | 95.6 | 17.7 | 22.2 | 23.6 | 9.1 | 2 | 대만 | 90.5 | 83.7 | 91.5 | 23.6 | 21.2 | 22.6 | 9.2 | 3 | 캐나다 | 96.9 | 88.1 | 82.1 | 25.2 | 22.3 | 20.3 | -6.7 | 4 | 멕시코 | 39.7 | 41.8 | 44.4 | 10.3 | 10.6 | 10.9 | 6.2 | 5 | 일본 | 16.4 | 20.6 | 19.4 | 4.3 | 5.2 | 4.8 | -5.9 | 6 | 독일 | 11.3 | 12.9 | 17.3 | 2.9 | 3.3 | 4.3 | 34.0 | 7 | 인도네시아 | 14.1 | 17.0 | 13.8 | 3.7 | 4.3 | 3.4 | -19.1 | 8 | 인도 | 4.3 | 6.5 | 9.2 | 1.1 | 1.7 | 2.3 | 40.4 | 9 | 이탈리아 | 6.8 | 6.8 | 7.0 | 1.8 | 1.7 | 1.7 | 3.1 | 10 | 한국 | 9.9 | 6.1 | 5.5 | 2.6 | 1.6 | 1.4 | -10.7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 및 인증 ○ 수입규제 - 접착 테이프 제품에 대한 특별한 수입규제 혹은 요구하는 인증은 없으나, 제품 원료에 있어서 미국 EPA에서 규제하는 성분은 포함하고 있지 않아야 함. - 고형 폐기물의 감소, 재활용 그리고 대기오염 등 환경에 대한 우려로 연방정부 혹은 주정부 차원에서 접착제와 실란트의 사용을 규제하는 법규가 있음. -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EPA)은 접착제와 실란트를 포함한 소비품목에 대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의 배출의 기준에 관련 법규를 두고 있어, 이러한 성분에 있어 규정치 이상을 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 - 주별로 규제하는 성분의 기준치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음. http://www.adhesives.org/resources/volatile-organic-compounds-(voc)-regulations ○ 기본 인증 취득 필요 - 강제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인증은 명시돼있지 않지만, UL(Underwriters Laboratories)과 같은 자율인증이 권장됨. □ 관세율 ○ 관세율 - 접착 테이프의 HS Code는 3919.10에 해당하며 일반 관세율은 6.5%와 5.8%이었음. 2012년 3월 15일 한미 FTA 발효 이후 기존 관세는 10년 균등 철폐되며 2014년도 현재 관세율은 각각 4.5%와 4%임. 2021년에 관세가 완전 철폐될 예정(아래 도표 참고) 접착 테이프 관세율 HS Code | 일반 세율 | 한미 FTA 적용관세율 | 비고 | 3919.10.10 | 6.5% | 4.5% | Self-adhesive plates, sheets, film, foil, tape, strip and other flat shapes, of plastics, whether or not in rolls: In rolls of a width not exceeding 20 cm: Having a light-reflecting surface produced in whole or in part by glass grains (ballotini) | 3919.10.20 | 5.8% | 4% | Other |
자료원: US ITC Tariff Database ○ 소비세율 - 미국에는 특별히 적용되는 부가가치세는 없으며 판매세(Sales Tax) 및 이용세(Use Tax)가 있음. 그러나 주별 또는 시별로 판매세율과 이용세율이 달리 적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히 확인 필요 - 제품이 판매될 때 적용되는 세율인 판매세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경우 최소 7.5%에서 9.50% 판매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로스앤젤레스 시의 경우 9.0%의 판매세가 적용됨. - 캘리포니아 주의 지역별 판매세는 아래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http://www.boe.ca.gov/pdf/boe95.pdf) □ 통관 시 유의사항 ○ 한미 FTA 관세특혜 관련 원산지 증명서 - 2012년 3월 15일 한미 FTA 발효로 양국의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를 구비해야하며 미국 세관에서 당장 제출을 요구하지 않아도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함. - 최근 미국 세관에서 한미 FTA를 포함한 다른 무역협정에 대한 원산지 사후 검증을 강화하고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많은 한국 업체가 한미 FTA 관련 원산지 증명서 및 필요 서류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 서류검증 실패로 관세철폐 혜택이 무효화되고 밀린 관세를 한꺼번에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 - 따라서 한미 FTA 관세율 혜택을 받기 위해서 사전에 미리 원산지 증명서와 필요서류를 구비하고 납품업체에 원자재 확인서를 받아 보관하는 것이 중요. 관련 서류는 통관일로부터 5년 동안 보관해야하며 통관 시에 세관에서 요구하지 않더라도 원산지 증명서는 법적으로 미리 갖추고 있어야함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 □ 주요 유통채널 ○ 대형 철물 전문매장(주로 산업용 테이프 등이 해당) - 미국 내 접착용 테이프, 산업용 테이프 뿐 아니라 각종 철물 등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매장 ○ 전문점 - 각종 테이프 및 접착용 테이프를 전문적으로 취급 ○ 백화점 - 품목은 많지 않으나 유명한 브랜드의 대표적인 테이프 등을 판매 풀 및 접착 테이프 - 유통채널 (단위: %) 자료원: Home Channel News 3. 경쟁동향 □ 주요 시장동향 ○ 시장 트렌드 -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이어 미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접착 테이프 시장임. - 2006년 경기후퇴로 접착테이프의 생산량과 수요량이 적어졌지만, 2009년부터 꾸준히 생산량이 늘고 있으며 수요 역시 증가 중임. 현재 2013년 미국 내 접착 테이프 수요는 최근 10년 동안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함. - 온라인 쇼핑의 보편화 또한 지속적인 테이프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침. - 친환경에 대한 관심고조 및 노동자의 안전에 대한 주의가 커짐으로써,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재료가 적게 사용된 친환경적 제품이 선호됨. □ 경쟁 동향 ○ 미국 접착 테이프 기업 - 미국 접착 테이프 시장의 3분의 2 이상을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브랜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 기업 제품은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 - 미국 접착 테이프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의 35%이상을 3M 기업이 주도하고 있음. 그 외 대표적인 기업으로 Berry Plastics Corporation, Shurtape Technologies, Avery Dennison Corporation, Intertape Polymer Group(캐나다), Tesa Tape(독일) 그리고 Nitto Denko Corporation(일본) 등 다양한 기업이 활동하고 있음. - Top10 가정용 테이프 브랜드를 조사한 SymphonyIRI Group Inc.에 따르면, Scotch 브랜드가 총 판매수익 1억20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가장 높았고, 그 외 Scotch Magic, Duck Tpe, Duck, Manco, Gorilla Tape, Scotch Long Mask, United States Postal, Scotch Blue, Quick stick 등의 순서로 나타남. 주요 기업 현황 (단위: 미국 달러) 제조업체명 | 브랜드명 | 시장점유율 * | 원산지(수출국) | 3M (미국) | Microfoam, Nexcare, Photoluminescent, Scotch, 3M 등 | 약 310억 | 미국 싱가포르 등 | Berry Plastics Corporation (미국) | Berry plastics, Ludlow m-tak, Ludlow t-tak, Nashua, Polyken 등 | 약 46억 | 미국, 벨기에, 멕시코, 인도 등 | Intertape Polymer Group (캐나다) | American, Corru-grip, Iron grip, Red alert, Xtratape 등 | 약 8억 | 미국, 캐나다, 포르투갈 등 |
주: 시장점유율 자료가 없어 시장 점유율은 2013년 총 판매액으로 대체함.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미국 내 Top 10 가정용 테이프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제조업체명 | 브랜드 국가 | 제조 국가 | 판매량 | 그림 | 1 | Scotch | 미국 | 미국, 중국 등 | 121.7 | | 2 | Scotch Magic | 미국 | 미국 등 | 46.2 | | 3 | Duck Tape | 미국 | 미국 | 15.3 | | 4 | Duck | 미국 | 미국 | 8.3 | | 5 | Manco | 미국 | 미국 | 3.4 | | 6 | Gorilla Tape | 미국 | 미국 | 2.7 | | 7 | Scotch Long Mask | 미국 | 미국 등 | 2.0 | | 8 | United States Postal | 미국 | 미국 | 1.9 | | 9 | Scotch Blue | 미국 | 미국 | 1.9 | | 10 | Quick Stick | 미국 | 미국, 중국 등 | 1.2 | |
주: 미국 브랜드 제품으로 미국에서 제조되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료는 해외 수입을 하는 경우도 있음. 자료원: SymphonyIRI Group, Inc.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산업용 테이프, 마스킹 테이프, 의료용 테이프 등 특수 용도의 테이프가 미국에서 유통되긴하나 대체로 미국으로의 진출 규모가 뚜렷하지 않고 Ebay, Alibaba, Amazon 등의 온라인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되는 경우가 많았음. - 현재 미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국 제품의 경우 중국에서 제조돼 한국을 통해 유통되는 경우도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는 낮은 편임. ○ 선호 브랜드 - 특별히 시장에서 선호되는 브랜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됨.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National Stationery Show | 전시회명(한국어) | 뉴욕 문구류 박람회 | 전시품목 | office product 등 |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 미국/뉴욕/매년 | 규모(참가업체수) | 약 700개 | 개최기간(2015년) | 2015년 5월 17~20일 | 웹사이트 | http://www.nationalstationeryshow.com/ |
자료원: 해당 전시회 홈페이지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시장 특성상 브랜드 인지도가 높거나 기존에 사용하던 브랜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경우, 혹은 사용하던 제품에 특별한 문제가 없거나 신제품의 가격이 월등히 저렴하지 않다면 사용 제품을 잘 바꾸지 않는 성향이 있음. - 최근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에 의해 만들어진 테이프에 대한 관심 증가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시 우선 고려사항 - 품질 및 제품에 대한 신뢰 확보 - 기존 사용제품 및 높은 인지도의 브랜드 제품 대비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대로 어필 - 친환경 설비에 의한 제조로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함을 강조 - 접착용 테이프시장 뿐만 아니라 함께 구매 가능한 주변 시장도 공략 □ 마케팅 방안 및 타겟 고객층 ○ 시장 트렌드 파악 - 미국에서의 테이프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에서 현재 주력 테이프의 성격을 분석 후 이에 비해 가격, 성능 및 친환경 재료사용 등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해 미국시장 공략 - 테이프 제조과정 중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물질을 사용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화학성분을 배출하는 제품대비 환경 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니 이와같은 성향에 부합하는 친환경 제품 생산이 중요 ○ 타깃 고객층 - 접착 테이프 전문 유통업체, 각종 산업용품을 취급하는 유통업체 - 다양한 생활용품을 취급하는 대·소형 유통 업체나 소비자와 같은 자율인증이 권장됨. 제목 | 미국 헤드폰 시장동향 |
---|
작성일 | 2014-08-15 | 국가 | 미국 | 작성자 | JoyceChoi(로스앤젤레스무역관) | 품목 | 헤드폰과 이어폰(마이크로폰이 부착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마이크로폰과 한 개 이상의 확성기로 구성된 세트 |
---|
품목코드 | 851830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미국의 가전제품 생산자 협회인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CEA)는 2014년 1월 발간한 소비자 가전제품 판매 및 전망(U.S. Consumer Electronics Sales and Forecasts)자료에서 미국의 헤드폰 제품의 시장규모를 2013년 기준, 전년보다 18% 증가한 약 14억1800만 달러 규모로 예측함. 최근 3년간 미국 헤드폰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백만, %) 구분 | 2011 | 2012 | 2013 | | 규모 | 증감률 | 규모 | 증감률 | 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718 | -3.8 | 1,199 | 67 | 1,418 | 18 |
자료원: CEA, US Consumer Electronics Sales & Forecasts (January 2014) - 2013년도 헤드폰 제품의 평균가격은 약 21달러로 예측됐으며 2014년도의 평균가격도 약 21달러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아래 도표 참고) 헤드폰 판매현황 및 평균가격 자료원: CEA, US Consumer Electronics Sales & Forecasts (January 2014)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요인 - 미국의 전문 산업조사 기업인 NPD의 자료에 의하면, 미국시장의 헤드폰 사용 증가는 휴대용 전자제품 사용급증으로 인한 것으로 파악됨. - 전자제품의 휴대성과 활동성이 강조됨에 따라 집안이 아닌 밖에서 뮤직비디오, 영화, 드라마 등의 다양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헤드폰 제품의 수요가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진단됨. - NPD는 또한 최근 붐이 인 휴대용 건강관리기기와 높아진 건강관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스포츠용 헤드폰제품 사용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 연결해 헤드폰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소비자기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함. 미 소비자가 헤드폰을 연결해 사용하는 주요 전자제품 자료원: The NPD Group, Headphones Ownership and Application Report ○ 무역관 전망 - 헤드폰 등 휴대용 전자제품 액세서리의 수요는 휴대용 전자제품 인기가 급증함에 따라 같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또한 미국시장에 불고 있는 웨어러블 휴대용 건강관리 전자제품의 인기는 운동할 때 음악청취를 즐기는 미국 소비자를 고려한 스포츠형 헤드폰 수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저가의 제품뿐 아니라 블루투스 연결, 마이크로폰 장착 등의 기능성 헤드폰 제품의 수요증가로 연결되며 음질, 디자인과 기능의 삼박자를 갖춘 프리미엄 헤드폰 제품을 찾는 소비자도 증가하고 있음.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CEA의 'CE Accessories at Retail' 자료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제품 액세서리를 구매하는 주요 소비자층은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소비자층으로 56%가 휴대용 전자제품 신규구매에 맞추어 액세서리를 같이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30세에서 49세 사이의 소비자 중 54%가 신규 전자제품 구매와 함께 액세서리를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됨. - 젊은 소비자는 신기능 제품, 새 트렌드 등에 민감해 유행이나 새로운 제품 출시에 맞추어 사용하는 제품을 바꾸는 등 구매가 활발한 것으로 조사됨. ○ 소비자 구매 동기 - 주 소비자층인 하이틴 및 젊은 소비자가 헤드폰을 포함한 휴대용 액세서리를 구입하는 시기는 연말에 휴대용 전자제품을 선물 받거나 선물로 받은 상품권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 휴대용 건강관리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 헤드폰을 구매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구입하거나 연초에 신년계획으로 건강관리 계획을 세우며 실천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조사됨. □ 수입동향 ○ 개관 - 헤드폰 제품은 HS Code 8518.30.2000의 'Headphones and Earphones'에 해당. - 미국의 관련 제품 수입은 2013년 기준 약 16억437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2% 성장함. 2013년 기준, 한국산 제품수입은 전년 대비 13.7% 상승한 400만 달러로 전체 헤드폰 및 이어폰 수입 시장 점유율의 0.2% 차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미국 헤드폰·이어폰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518.30.2000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2/13 | | 총계 | 1,173.9 | 1,547.7 | 1,643.7 | 100 | 100 | 100 | 6.2 | 1 | 중국 | 943.1 | 1,332.9 | 1,420.2 | 80.3 | 86.1 | 86.4 | 6.6 | 2 | 멕시코 | 43.2 | 49.1 | 56.7 | 3.7 | 3.2 | 3.5 | 15.5 | 3 | 태국 | 60.3 | 39.7 | 38.8 | 5.1 | 2.6 | 2.4 | -2.4 | 4 | 말레이시아 | 31.3 | 29.3 | 23.2 | 2.7 | 1.9 | 1.4 | -20.9 | 5 | 홍콩 | 8.9 | 11.1 | 18.9 | 0.8 | 0.7 | 1.2 | 70.1 | 6 | 대만 | 10.1 | 16.3 | 17.9 | 0.9 | 1.1 | 1.1 | 10.0 | 7 | 일본 | 8.4 | 11.6 | 11.1 | 0.7 | 0.8 | 0.7 | -4.5 | 8 | 독일 | 9.2 | 8.9 | 9.5 | 0.8 | 0.6 | 0.6 | 7.5 | 9 | 베트남 | 2.7 | 7.7 | 8.9 | 0.2 | 0.5 | 0.5 | 16.5 | 10 | 싱가포르 | 15.8 | 9.8 | 7.7 | 1.4 | 0.6 | 0.5 | -21.6 | 13 | 대한민국 | 6.2 | 3.5 | 4.0 | 0.5 | 0.2 | 0.2 | 13.7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미국 관련 제품 규제 - 현재 미국에는 휴대용 전자제품 및 액세서리 관련 수입 규제는 없음. - 제품에 따라 UL 인증을 받기도 하나 UL은 자발적 인증으로 헤드폰 제품 관련 강제적인 인증 및 규제는 없음. □ 관세율 ○ 관세율 - 헤드폰 제품은 HS Code 8518.30.2000의 'Headphones & Earphones, Whether Or Not Combined W/A Microphone, And Sets Consisting Of A Microphone & One Or More Loud Speakers, Nesoi'에 해당되며 일반 관세율은 4.9% 적용 - 한국산 제품은 한미 FTA 발효로 인해 현재 무관세가 적용됨. ○ 통관 시 유의사항 - 한미 FTA 발효로 한미 FTA 협정상의 원산지 결정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원산지 증명서를 통관 이전에 미리 구비해야 하며 세관에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아도 갖추고 있어야 함. - 최근 미국 세관에서 한미 FTA를 포함한 다른 무역협정에 대한 원산지 사후검증을 강화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많은 한국 기업이 한미 FTA 관련 원산지증명서 및 필요 서류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 서류검증을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 - 이로인해 받았던 관세철폐 혜택이 무효화되고 밀린 관세를 한꺼번에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 따라서 한미 FTA 혜택을 받기 위해서 사전에 원산지증명서와 필요서류를 구비하고 납품업체에 원자재 확인서를 받아 보관하는 것이 중요함. 관련 서류는 통관일로부터 5년 동안 보관해야 하며 통관 당시 세관에서 요구하지 않더라도 원산지 증명서는 법적으로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함. □ 주요 유통채널 ○ 미국의 소비자는 주로 가전제품 전문매장 및 온라인에서 휴대용 가전제품용 액세서리 제품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CEA의 설문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자제품 전문 매장에서의 구매는 약 66%, 컴퓨터 온라인 구매는 31%, 휴대용 기기를 사용한 온라인 구매는 2%, 기타 구매가 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됨.(복수응답, 아래 도표 참고) 미 소비자의 주요 헤드폰 구매처 자료원: CEA, US Consumer Electronics Sales & Forecasts (January 2014)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중저가 제품의 주요 경쟁사로는 Sony, Philips, SkullCandy 브랜드가 있으며 고가의 프리미엄 헤드폰시장의 주요 경쟁사로는 Beats Electronics의 Beats by Dr. Dre, Bose의 QuietComfort, Sennheiser 및 Sol Republic, Monster사의 제품이 있음. - 프리미엄 헤드폰 제품의 경우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는 Beats Electronics의 Beats by Dr. Dre 브랜드로 전체 프리미엄 헤드폰 시장에서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음. (단위: 달러) 제조업체명 | 브랜드명 | 가격 | 시장점유율 (프리미엄 헤드폰) | 원산지 | Beats Electronics | Beats by Dre | 299.95 | 61.7% | China | Bose | QuietComfort | 299.95 | 21.7% | USA/Canada | JayBird | Bluebuds X | 169.95 | 3.1% | China | Monster | N-Tune | 119.95 | 3.0% | China | Sony | MDR-ZX | 79.99 | 1.9% | China | Samsung | Level-On | 179.99 | 7월 신규 출시 | China |
자료원: KOTRA LA 무역관 자체 조사 □ 한국제품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한국산 전자제품의 품질은 높이 평가되고 있고 인지도가 높은 편으로, 현지에서 삼성, LG를 선두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제품으로 인기를 얻음. - 삼성은 지난 4월, 프리미엄 헤드폰 제품인 LEVEL 브랜드를 출시해 7월부터 미국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해 약 150달러에서 400달러 사이에 판매하고 있음. ○ 선호 브랜드 - 현지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는 Beats by Dre제품으로 미국의 유명 힙합 뮤지션인 Dr. Dre와 음반 프로듀서인 Jimmy Lovine이 2008년도에 Beats Electronics사를 설립하고 새로이 프리미엄 헤드폰 시장을 형성 - 첫 출시 이후, 깔끔한 디자인과 다양한 색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다수의 유명 연예인이 애용하는 헤드폰으로 소비자에게 인식, 이제는 헤드폰을 넘어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 - 최근, 애플(Apple)사가 Beats Electronics사 인수를 확정, 발표했으며 애플은 약 30억 달러를 투자해 Beats사를 인수하고 독자적인 브랜드로 운영할 것을 발표했음. - 애플은 Beats Electronics 인수를 통해 다소 약화됐던 iTunes 음원판매를 더욱 강화하고 프리미엄 헤드폰시장에서도 본격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측됨. - Beats by Dre의 성공과 프리미엄 헤드폰시장의 형성으로 유명 뮤지션과의 프리미엄 헤드폰 콜라보레이션은 더욱 활발해져 Jay-Z와 Skullcandy, Ludacris와 Soul의 콜라보레이션이 그 대표적인 사례임. 아메리칸 아이돌의 독설가로 유명한 Simon Cowell은 Sony와 협력했으며 Monster는 Nick Cannon, Noel Lee, Miles Davis 와 협력, 50 Cent는 Timberland와 헤드폰 프로젝트에 협력하고 있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Consumer Electronics Show(CES) | 전시회명(한국어) | 국제 전자제품 전시회 | 전시품목 | 소비자 전자제품 |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 미국/라스베이거스, 연 1회 | 규모(참가업체수) | 160,498개 사(2014년) | 개최기간 | 2015년 1월 6~9일 | 웹사이트 | http://www.cesweb.org/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미국 소비자는 음질 뿐 아니라 헤드폰의 다양한 기능에도 관심이 높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선호 - 프리미엄 헤드폰 소비자는 헤드폰 구매에 앞서 기본적인 음질, 디자인, 색상뿐 아니라 방수기능, 블루투스 무선 기능, 소음차단 기능, 리모트 컨트롤, 마이크로폰 장착의 스마트폰 연결 기능 등을 구체적으로 고려해 구매하고 있어 단순한 소리전달의 기능이 아닌 사용이 편리한 기능성 제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함.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시 우선 고려사항 - 소비자의 주요 헤드폰 사용 용도는 스마트폰·태블릿 PC·홈시어터·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 사용으로 관련 제품과의 연결 가능성이 가장 중요 -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기반의 휴대폰, 태블릿에 자유롭게 연결되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 - 이미 헤드폰 제품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 중 55% 가량이 운동할 때도 제품을 사용하고 있어 프리미엄 헤드폰시장보다 스포츠용 헤드폰으로의 시장진출을 고려해 땀과 수분에 강한 방수제품이나 조깅 등의 활동적인 운동에도 귀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는 것이 중요함. □ 마케팅 방안 및 타깃고객층 ○ 주요 소비자층은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남녀 소비자로 이미 스마트폰 사용에 능숙하고 인터넷을 통한 제품정보 비교분석, 가격동향과 신제품 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함. - 적극적인 소비자 참여를 유도하는 SNS 마케팅을 활용하고 각종 이벤트를 활용한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 25세부터 34세 사이의 남녀 소비자는 인터넷 사용이 능숙해 제품별 기능, 가격, 사용자 후기 등 구매결정 요소를 온라인에서 꼼꼼히 비교 분석해 구매하는 것이 특징인 만큼,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성향 등을 꼼꼼히 파악해 Youtube, Facebook 등을 통해 제품리뷰를 공개하는 등의 소셜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음. ○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이용한 패션 아이템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고려해 미국 소비자가 선호하는 다양한 색상의 제품을 출시해 소비자의 눈을 사로잡는 것도 중요함. - Beats by Dre 제품의 인기는 유명 가수의 뮤직비디오에 제품을 등장시키는 간접광고(Product Placement) 마케팅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 - 현지 유명 뮤지션의 뮤직비디오 간접광고는 Beats by Dre 헤드폰을 순식간에 '핫 아이템'으로 부각시켜 Lady Gaga, Soulja Boy, New Kids On The Block & Ne-Yo, Snoop Dogg, Busta Rhymes, Nelly, Pussycat Dolls 등의 유명 뮤지션의 뮤직 비디오에 다수 등장, 현재까지도 전체 뮤직비디오의 67% 가량에 제품이 등장하고 있어 광고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음. 제목 | 미국 남성용 습식 면도기 시장동향 |
---|
작성일 | 2014-09-30 | 국가 | 미국 | 작성자 | 송용진(로스앤젤레스무역관) | 품목 | 면도기 |
---|
품목코드 | 821210 | --> -->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시장조사업체 Euromonitor의 Men's Grooming in the US 보고서(2014년 7월)에 따르면 남성용 면도기 및 면도날 시장규모는 매출 기준으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0.6%의 성장률을 보임. - 2013년 총 시장규모는 매출 기준으로 23억1480만 달러로 추산됨. 최근 미국 면도기 및 면도날 시장규모 및 연평균 성장률 (단위: US$ 백만,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2,305.7 | 3.9 | 2,330.7 | 1.1 | 2,314.8 | -0.7 |
자료원 : Euromonitor 보고서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요인 - 남성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및 가처분소득 증가, 생필품으로서의 면도기 및 면도날 교체수요 존재 등이 수요증대 요인으로 파악됨. ○ 수요감소 예상요인 - 면도날 가격 상승, 제품의 내구성 향상 등이 교체수요 증가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음. 최근 남성이 수염을 기르는 트렌드도 수요감소 요인으로 파악됨. ○ 무역관 전망(해외 현장에서 보는 향후 시장전망) - 메트로섹슈얼(Metrosexual, 외모관리에 많은 시간과 돈을 들이고 쇼핑을 좋아하는 남자를 의미)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피부와 미용, 패션에 관심이 많은 남성의 수가 증가함. - Euromonitor에 따르면 미국 남성용 면도기 및 면도날시장은 매출 기준으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0.2% 성장해 2018년에는 시장규모가 23억19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경기회복에 따른 가처분 소득 증가, 남성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상승 등의 요인을 고려할 때 향후 남성용 면도기시장은 연평균 0.2%대의 점진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주요 소비자 및 구매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전 연령대 남성 성인소비자 ○ 소비자 구매 동기 - 면도를 통해 매끈한 피부와 깨끗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구매 □ 수입동향 ○ 개관 - 2013년 미국 남성 면도기시장 수입액은 HS Code 821210 기준으로 약 4억233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 증가 - 멕시코 수입액은 1억3,060만 달러로 30.9%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뒤이어 그리스가 1억600만 달러로 25.0%, 중국이 7970만 달러로 18.8%의 시장점유율 기록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한국수입통계 포함) 미국 남성용 면도기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21210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총계 | 423.1 | 411.6 | 423.3 | 100 | 100 | 100 | 2.8 | 1 | 멕시코 | 163.7 | 145.8 | 130.6 | 38.7 | 35.4 | 30.9 | -10.4 | 2 | 그리스 | 92.8 | 84.5 | 106.0 | 21.9 | 20.5 | 25.0 | 25.5 | 3 | 중국 | 95.7 | 87.7 | 79.7 | 22.6 | 21.3 | 18.8 | -9.2 | 4 | 폴란드 | 18.2 | 32.6 | 29.1 | 4.3 | 7.9 | 6.9 | -10.8 | 5 | 브라질 | 9.7 | 17.5 | 25.9 | 2.3 | 4.2 | 6.1 | 48.5 | 6 | 프랑스 | 14.4 | 12.2 | 13.1 | 3.4 | 3.0 | 3.1 | 7.0 | 7 | 독일 | 3.8 | 7.8 | 12.1 | 0.9 | 1.9 | 2.9 | 55.1 | 8 | 한국 | 6.9 | 7.7 | 7.1 | 1.6 | 1.9 | 1.7 | -8.1 | 9 | 일본 | 6.6 | 5.2 | 6.8 | 1.6 | 1.3 | 1.6 | 30.3 | 10 | 이집트 | 2.9 | 2.3 | 3.2 | 0.7 | 0.6 | 0.7 | 35.2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 내용 - 남성용 면도기(습식)에 관한 특별한 규제나 인증은 없음. 단, 참고로 건식 면도기인 전기 면도기의 경우는 UL 인증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함. □ 관세율 ○ 조세율 : 관세율(0%), 물품세(0~10% 수준) - 남성용 면도기 제품의 경우 무관세 - 물품세(Sales Tax)는 판매세라고도 불리는데 Montana, Oregon 등 일부 주는 0%이지만 일반적으로 6~10% 수준(캘리포니아 8~10%, 뉴욕 7~8.875% 등) ○ 통관 시 유의사항 - 관세사에 따르면 특별한 유의사항은 없음 □ 주요 유통채널 ○ 남성용 면도기는 Walmart, Target, Walgreens, CVS, Rite Aid, Kmart 등 생활용품 관련 유통체인을 통해 유통됨. ○ 또한 Amazon, Drugstore, Overstock 등 온라인 유통체인을 통해서도 유통됨. ○ 최근에는 회원으로 가입해 일정한 금액을 내면 면도날과 면도기를 배송해주는 The Dollar Shave Club, Bevel, Harry's 등 온라인 업체를 통해서도 유통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바이어에 따르면 남성 면도기 제품시장은 대기업이 장악하고 있음. Euromonitor에 따르면 2013년 Procter &Gamble이 소유하고 있는 Gillette는 66.3%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며 Energizer Holdings의 브랜드인 Schick-Wilkinson Sword은 18.1%, Bic Corp의 Bic 브랜드는 7.2%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2013년 미국 면도기 및 면도날시장 업체별 시장점유율 자료원: WSJ, 유로모니터 ○ 면도기 제품은 형태, 크기와 디자인, 기능, 제품에 포함된 면도날 및 면도기의 개수, 면도날 교체사용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이 존재함. 매장실사 결과, 제품의 가격은 6~18달러 선에 형성돼 있음. - 참고로 건식 면도기는 Philips, Braun, Remington 등이 주요 브랜드이며 가격은 50~230달러 선에 형성돼 있음. 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US$, %) 업체명 | 브랜드명 | 소매가 | 시장점유율 | 원산지 | P&G | Gillette | 6~18 | 66.3 | 멕시코, 브라질 | Energizer Holdings | Schick-Wilkinson Sword | 12~14 | 18.1 | 중국 | BIC USA | Bic | 6~11 | 7.2 | 그리스 |
자료원: Target 매장 실사, 시장점유율은 Euromonitor 참조 Gillette의 주력 상품인 5개 면도날의 Fusion Proglide 자료원: Gillette 웹사이트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미국에서 한국산 미용 및 세면 관련용품에 대한 전반적 인지도는 개선되는 추세이나 남성 면도기시장에서 한국제품의 인지도는 아직까지 낮은 상황임. ○ 선호브랜드 - 미국시장에 잘 알려진 한국산 브랜드가 없으므로 선호하는 한국제품 브랜드도 없음. - 소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는 Gillette, Schick-Wilkinson Sword, Bic 등임.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Cosmoprof North America | 전시회명(한국어) | 북미미용용품 박람회 | 전시품목 | 피부관리용품, 모발관리제품, 화장품, 스파용품, 면도용품 | 개최국가/도시 | 미국/라스베이거스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4년) | 2014년 7월 13~15일(2015년 7월 12~14일) | 웹사이트 | www.cosmoprof.com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현지 바이어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품질이 검증된 메이저 브랜드를 선호하는 편임. 기능 및 가격경쟁력도 주요 고려 사항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현지시장에서 국산 브랜드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으므로 비슷한 가격대의 제품과 비교해 우수한 품질 수준을 적극 부각시키면서 세련된 디자인, 색감이 접목된 제품으로 차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 - 특히 교체하는 면도날의 가격이 Gillette의 경우, 개당 2.60~3.75달러 수준으로 비싸므로 면도날의 가격경쟁력을 부각시키는 것도 중요함. - 미국 바이어는 미국에 물류창고를 보유해 소량주문이 가능하고 빠른 제품수급이 가능한 업체를 선호하는 편 □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타깃 고객층 - 수염이 나는 10대부터 전 연령대 남성 성인소비자 ○ 마케팅 방안 - 소비자는 과거에는 주로 메이저 브랜드인 Gillette, Schick-Wilkinson Sword, Bic 중에서 제품을 선택함. - 그러나 최근에는 Gillette의 면도날 가격이 4달러에 육박하고 다른 메이저 브랜드의 교체하는 면도날의 평균가격도 2달러를 상회하면서 면도날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는 인식이 확산됨. - 이에 따라 한달마다 일정한 금액을 내면 면도날과 면도기를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기업의 인기가 높아딤. - The Dollar Shave Club, Bevel, Harry's 등이 그 예로 The Dollar Shave Club은 저렴한 가격에 면도날과 면도기를 제공한다는 점, Bevel은 흑인 남성에게 특화된 제품, Harry's는 디자인과 색감이 뛰어난 면도기로 차별화된 마케팅을 펼침. - 2012년에 출범한 The Dollar Shave Club의 경우, 2014년에 6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2013년에 비해 3배 증가한 수치임. 이 업체는 자사 제품이 출하량 기준으로 미국 시장에서 8.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발표함. - 한국 기업은 이 온라인 기업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하면서 우수한 기술, 세련된 디자인,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차별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 특히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미국 소비자의 특성을 감안해 인종의 특성에 따른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한국 제품을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해 무료샘플 제공 등 판촉행사를 통해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볼 만함. - 현재 부상하는 주요 온라인 기업에 납품하는 방안을 타진하거나 직접 온라인 플랫폼을 개설하고 정액제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현지 소비자를 공략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