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스톡홀름에 사는 페테르 그레게포르스(68)는 연금으로 한 달에 8만4000스웨덴크로나(약 1100만원)를 수령한다. 은퇴 전 소득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30년간 연금 계좌를 주식 위주로 운용한 결과다. 그는 “100세 때까지 노후 걱정이 없다”며 “매년 봄을 이탈리아에서 보내고 여름엔 핀란드 별장에서 지낸다”고 했다.
"죽을 때까지 월 1100만원씩 연금 탄다"…어떻게 했길래?
스웨덴은 ‘연금 생활자의 천국’으로 불린다. 1913년 공적연금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는 등 현대 연금 체계의 기틀을 다졌다. 공적연금 수익률은 연평균 8~15%로 세계 1위를 달린다. 위기가 없던 건 아니다. 1990년대 저출생·고령화로 마이너스 성장에 빠졌고 연금 고갈 우려가 불거지자 사회적 합의를 거쳐 ‘낸 만큼 돌려받는’ 방식으로 제도를 개혁해 위기에서 벗어났다. ‘스웨덴 모델’로 불리는 이 개혁 방식은 같은 문제를 겪는 노르웨이 영국 일본 등에서 벤치마크했다.
◆주식 비중 70% 넘어
스웨덴 연금제도의 핵심은 ‘자율 경쟁’에 있다. 평등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북유럽 사회민주주의 대표 국가지만 연금제도에서는 미국보다 더 냉정하게 경쟁의 가치를 중시한다.
"죽을 때까지 월 1100만원씩 연금 탄다"…어떻게 했길래?
스웨덴 공적연금의 가장 큰 특징은 기금을 6개 독립 펀드로 나눠 경쟁을 붙이는 것이다. 각 펀드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모두 다르다. 독립적인 법인으로서 자산 운용의 자율성을 보장받고, 각 펀드 이사회가 조직과 경영을 책임지도록 하고 있다. AP6 펀드는 중소기업과 스웨덴·북유럽 지역 비상장 회사에 투자하고, AP7 펀드는 프리미엄연금으로 규정해 다양한 글로벌 자산에 투자하며 민간 자산운용사와 경쟁한다. 사적연금인 퇴직연금 시장에까지 국민연금을 진입시켜 포트폴리오를 일원화하려는 한국 정치권의 움직임과 반대다.
-------------------------------------------
<스웨덴의 성공적인 연금 제도에 대해 핵심 내용>
1. 성공 사례 - 페테르 그레게포르스(68세)는 월 1100만원 상당의 연금을 수령 - 30년간 주식 위주 운용으로 은퇴 전 소득과 비슷한 수준 유지 - 여유로운 노후 생활 영위 (이탈리아 봄 휴가, 핀란드 별장 등)
2. 스웨덴 연금 제도의 특징 - 1913년 세계 최초로 공적연금 도입 - 연평균 수익률 8~15%로 세계 1위 - 6개 독립 펀드로 나눠 자율 경쟁 체제 운영 - 주식 비중이 70% 이상으로 매우 높음 (한국 41%) - AP3 펀드의 5년 연평균 수익률 8.1% (한국 4.2%)
3. 1998년 연금 개혁의 핵심 - 7개 정당이 참여하는 '연금 실무작업단' 운영 - '낸 만큼 받는' 방식으로 전환 (확정급여→확정기여) - 연금 총자산 감소시 지급액 자동 조정 - 최저보장연금 도입으로 취약계층 보호 - 오래 일할수록 연금이 늘어나는 구조로 설계
이 '스웨덴 모델'은 노르웨이, 영국, 일본 등 유사한 문제를 겪는 국가들의 벤치마크가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