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인 주인공 ‘나’는 ‘영혼의 방랑자’ 조르바를 만나 자유를 배우고 만끽하고 세상에 알린다
‘자유인’조르바 그를 생각하며 나의 선택, 나의 자유를 한번 생각해보자
세계인을 매혹시키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단순히 ‘점심에 뭘 먹을 것인가’에서부터 ‘신은 있다 혹은 없다’라는 어마어마한 명제에 이르기까지. 그 선택이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면 상관없지만 인생 전체를 뒤흔드는 것이라면 신중하게 임해야 한다. 《그리스인 조르바》는 처음부터 끝까지 선택을 고민하게 만드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내가 없다고 확신해도 엄연히 존재하는 사안이 있다는 게 인생의 난제다. 나의 확신으로 완결되는 것과 확신으로 완결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지, 그것에 대한 생각을 정립한 뒤 《그리스인 조르바》를 대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20세기 문학의 구도자로 불리는 그리스 작가다. 《그리스인 조르바》는 마치 종교 서적처럼 마음을 확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세계는 물론 우리나라 명사들도 가장 감명받은 책으로 스스럼없이 꼽는 소설이다. 매혹적인 질문과 답변, 함께하고 싶은 공간과 음미하고 싶은 말들이 책 갈피갈피에서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무방비로 끌려가기보다 나만의 답변을 생각하며 책을 대하면 좋을 듯하다.
이 책의 화자는 35세 남자로 방안에서 원고를 쓰고 책 읽는 데 빠져 산다. 방안에서 자판만 두드리거나 모바일로 천하를 주유하지만 제대로 된 경험이 없는 요즘 사람을 닮았다. 책벌레라는 놀림을 받던 나는 크레타 해안의 갈탄 광산을 개척하러 떠나기로 결정한다.우연히 만난 65세의 알렉시스 조르바가 자신도 데려가 달라고 말한다. 세 살 난 아들을 잃은 뒤 방랑자로 살아가는 조르바가 툭툭 내뱉는 말은 경이롭기 그지없다. 여행과 경험, 만남과 부딪침에서 비롯된 생생함에 책만 읽던 나는 곧바로 매혹당한다. 이후 두 사람이 갈탄 광산을 운영하면서 나누는 대화와 소소한 사건들이 이 소설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조르바는 실제 인물이다
조르바는 실제 인물이다. 카잔차키스는 34세였던 1917년에 조르바와 함께 갈탄 채굴 사업을 한 경험을 60세 때 《그리스인 조르바》에 담아 발표했다. 호메로스와 베르그송, 니체, 부처, 조르바에게 사상적 영향을 받은 카잔차키스는 《그리스인 조르바》에서 ‘내 스승이신 부처’로 인한 깨달음을 계속 토로한다. 그런가 하면 ‘하느님’에 대해서는 ‘조롱’과 ‘불신’으로 일관한다. ‘최후의 인간 부처’로부터 많은 깨달음을 얻지만 ‘확인할 수 없는 하느님’에 대해서는 회의와 의문을 품는다.
카잔차키스는 “최후의 인간은 자신을 비울 줄 안다.그안에는 씨앗도 똥도 피도 없다. 모든 것이 언어가 되고 언어가 모여 음악이 돼도 최후의 인간은 절대 걸음을 멈추지 않는다. 그는 절대 고독에서 음악을 침묵으로, 방정식을 환원하는 것이다”라며 감격한다. 그런가 하면 인간은 하느님과 악마를 동시에 갖고 있고, 하느님이건 악마건 두려워하지 않는 게 젊음이라고 부추긴다.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이 두 가지 가운데 선택하기 쉬운 쪽은 어느 것일까. 주인공 나는 눈에 보이는 최후의 인간을 선택하지만 이 책은 보이지 않는 것, 알 수 없는 신의 영역에 대해 계속 생각하게 만든다.
금서가 된 ‘자유’의 책
이 책이 왜 사람들에게 매혹적으로 다가올까. 이유는 ‘하고 싶은 걸 즉시 실행하는’ 조르바의 삶의 방식에 있다. “내게 중요한 것은 바로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라고 말하는 조르바는 춤추고 싶을 때 마구 뛰어오르고, 여자를 외롭게 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떠나고 싶으면 바로 달려 나가는 자유인이다. 조르바를 추종하지만 나는 “종이와 잉크는 지옥에 보내버려! 재산이나 이익 따위를 던져보라고요! 광산, 인부, 수도원 이런 건 쓸데없어요. 춤을 배우고 내 말을 배우면 우리가 서로 나누지 못할 이야기가 어디 있겠소!”라는 조언에 완전히 빠져들지 못한다. 하지만 조르바와 함께 지내면서 훨씬 자유로워진 나는 조르바 이야기를 세상에 전하면서 그가 만끽한 자유를 세상에 알린다.
1953년 그리스정교회가 신성모독을 이유로 금서로 지정한 《그리스인 조르바》는 어느덧 세계인들이 즐겨 읽는 책이 됐다. 조르바의 여성관과 ‘하느님’에 대한 도발적인 표현들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렇더라도 역경과 고난을 온몸으로 헤쳐 온 조르바가 뿜는 혜안에 귀 기울이며 나의 선택, 나의 자유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이다.
자유와 관련해 사람들이 보이는 입장과 태도를 보면 크게 두 가지 부류로 구분할 수 있지 않다. 관념적·이념적으로 자유로운 사람과 삶 자체가 자유로운 사람이다.
전자가 ‘자유주의자’라고 한다면 후자는 ‘자유인’이라고 부를 수 있다. 아마도 필자는 물론 독자들 대부분도 관념적·이념적으로는 자유롭지만 실제 삶에서는 자유롭지 못한 사람들에 해당할 것이다.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는 이념과 사상으로 배운 ‘관념의 자유’가 ‘삶의 자유’ 앞에서 얼마나 무기력하고 허망하게 무너지는지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인류의 역사에 출현한 가장 위대한 정신적·철학적 스승들로부터 얻지 못한 ‘삶의 자유’를 자신의 이름조차도 쓰지 못하는 일자무식의 그리스 민중 조르바를 통해 깨닫게 되는 카잔차키스의 여정은 우리가 진정 자유로운 삶을 갈망한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깊이 고민하고 성찰하게 한다.
『그리스인 조르바』의 저자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온 몸으로 자유를 갈망한 작가였다. 죽음 이후에도 자유롭고자 했던 카잔차키스는 자신의 묘비명조차 이렇게 썼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렵지 않다. 나는 자유다.”
카잔차키스는 ‘영혼마저도 자유로운 존재로서의 인간’이기를 바랐다. 그런 카잔차키스가 삶과 죽음을 초월한 자유를 엿본 유일한 인간은 조르바였다. 카잔차키스는 말년에 저술한 『영혼의 자서전』에서 자신의 삶은 자유를 찾아가는 반항과 투쟁의 여정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진실로 나의 영혼을 처음으로 뒤흔들어놓은 것은 두려움이나 고통도 아니었고 쾌락과 오락도 아니었다. 그것은 바로 자유를 향한 갈망이었다. 나는 자유를 쟁취해야 했다. 그러나 무엇으로부터 그리고 누구로부터 자유를 찾는다는 것인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는 거칠고 불친절한 자유의 오르막길에 천천히 올라갔다. … 모든 것 중에서 먼저 터키인으로부터 자유를 쟁취하는 것, 그것이 최초의 단계였다. 그 다음 단계는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터키인-다시 말해 무지와 악의와 시기로부터, 두려움과 나태함으로부터, 정신을 현혹시키는 그릇된 사상으로부터, 그리고 최종적으로 가장 존경받고 사랑받는 존재들까지 대상으로 하는 모든 우상들로부터 자유를 쟁취하려는 새로운 투쟁이 시작되었다.” (『영혼의 자서전』, 「크레타 대 터키」)
카잔차키스는 자유를 갈망한 자신의 삶의 여정에는 모두 네 개의 결정적인 오름의 단계가 있었다고 말한다.
첫 번째 오름의 단계는 카잔차키스가 ‘그리스의 할아버지’라고 부른 호메로스와의 만남이었다. 카잔차키스는 호메로스가 『일리아스』와 『오딧세이』에 새긴 가르침을 통해 세계사에서 그리스가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가치와 철학적 의무는 ‘고전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자유를 위한 투쟁’에 있다는 사실을 깨우쳤다.
“나는 동양과 서양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그리스의 역사적 임무를 더욱 분명하게 보았다. 나는 그리스가 이룬 최고의 업적은 아름다움에 있지 않고 자유를 위한 투쟁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영혼의 자서전』, 「그리스 순례」)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