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 하기 쉬운 '다시 한번'과 '다시 한 번'의 차이점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함을 나타내거나 기회 있는 어떤 때, 또는 강조 등을 의미할 때입니다. 이 외의 경우, 주로 '한번' 뒤에 다른 언어 요소가 덧붙는 경우에는 '시도', '기회', '강조'의 의미보다는 '횟수'의 의미가 뚜렷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횟수의 의미가 강한 경우에는 합성어로 보기 보다는 구 구성으로 보기 때문에 '한번'이 아니라 '한 번'으로 띄어 씁니다.
즉, '다시 한번'과 '다시 한 번'의 차이점은 횟수의 의미가 뚜렷한가 뚜렷하지 않은 가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시 한 번'에 문맥상 횟수의 의미가 있는 경우는 띄어 씁니다.
좀더 빠른 이해를 위해서 예문을 들어 보겠습니다.
'한번 해보자'에서는 한 번이라는 의미가 횟수의 의미 보다는 시도의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붙여 썼습니다. 문맥에서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올바른 국어를 사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 역시 지금까지는 무조건 '다시 한 번'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서 의미에 따라서 맞춤법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첫댓글 1) '다시 한번'과 '다시 한 번'의 의미의 차이점 ->> '다시 한번'과 '다시 한 번'의 차이점 * 조사 '의에 해당하는 말을 생략할 수 없으며 또 즐겨 사용하는 것이 일본어의 특징입니다. 2) '다시 한번'과 '다시 한 번'의 의미상의 차이점은 횟수의 의미가 뚜렷한가 뚜렷하지 않은 가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좀 더 살피세요. 3) 좀더 빠른 이해를 위해서 -> 4) ' 한번 해보자'에서는 한번이라는 의미가 횟수의 의미 보다는 시도의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 5) 의미상 강조되는 부분이 어느 것인지를 파악 한다면 맞춤법에서 실수 하는 경우가 줄어 들겠지요. ->
5) 이렇게 알 게 되니 새삼, 저의 맞춤법이 온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 비문입니다.
수정하였습니다.
6) 합성어로 보기 보다는 구 구성으로 보기 때문에 ->>